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70~1980년대 동해안 어촌사회의 권력구조 변화

        이중구(Lee, Jung-gu) 실천민속학회 2020 실천민속학연구 Vol.36 No.-

        이 글은 경북 울진군 평해읍 거일1리를 사례로 1970~80년대 어촌사회의 권력구조 변화 양상과 그 의미를 파악한 것이다. 거일1리의 권력구조는 1970년대 중반을 기점으로 집중화에서 분권화 단계로 변화했다. 1970년대 중반 이전에는 노반계가 의사결정 주도, 자치제도제정, 동유자원의 관리, 공동체제의 주관, 대외적 분쟁 해결 등 마을 내 주요 역할을 독점했다. 특히 사회질서를 해치고, 공유경제의 가치를 훼손하는 행위에 대해 물리적 제재와 심리적 제재를 가하면서, 권력을 공고히 할 수 있었다. 1970년대 중반 이후에는 다양한 사회조직이 결성되면서, 노반계의 입지가 좁아졌다. 바다와 관련해서는 어촌계의 성장이 두르러졌다. 어촌계에서는 노반계와 갈등을 빚으며, 1종 공동어장의 분할 운영을 실현했고, 이웃마을과 어장 관련 분쟁을 해결하면서 위상을 높였다. 내륙의 문제와 관련해서는 새마을운동의 영향으로 개발위원회 등 행정조직의 영향력이 강화됐다. 한편 1970년대 중반 이후에는 어업종사자의 수적 증가와 어업에 대한 몰입도가 높아지면서 노반계는 계승의 문제와 마주하게 됐다. 1980년대 어업활동에 지장을 초래하는 동임에 대한 기피 현상과 젊은 남성들의 도시 이주로 인해 노반계의 계승이 단절될 위기에 처했다. 이에 노반계에서는 회유와 압박을 통해 권력 유지를 꾀했지만 상황은 나아지지 않았다. 결국 사회조직의 역할 분담과 주민들의 경제적 실리 추구, 인구구조의 변화에 따라 노반계의 입지가 약화되면서 마을의 권력구조는 변화한 것이다. This article is to identify the shifts in the power structure and its meaning in fishing towns from the 1970s to 1980s based on the case of Geoil1-li, Pyeonghae-eup, Uljin-gun, Gyeongsangbuk-do. The power structure of Geoil1-li changed from centralization to decentralization starting from the mid-1970s. Before the mid-1970s, Nobangye dominated the major roles in the town by leading decision-making, establishing its system of self-government, managing the town’s resources, supervising the community system, resolving external conflicts, etc. In particular, it could consolidate its power by imposing physical and psychological sanctions on the acts that undermine the social order and damage the value of sharing economy. As different social organizations were established after the mid-1970s, Nobangye started to lose its ground. Regarding the sea, the growth of the fishing town was notable. As having conflicts with Nobangye, the fishing town realized the separate operation of first kind common fishing ground and raised its status by resolving the dispute over the fishing ground with a neighboring village. Regarding the inland issues,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like the development committee gained its influence due to the influence of Saemaul Undong. Meanwhile, after the mid-1970s, Nobangye faced the problem of succession as the number of fishers and the level of engagement on fishery increased. In the 1980s, the succession of Nobangye was in danger of getting severed due to the avoidance of being town executives which interfered with fishing activities and the migration of young males to the cities. Nobangye tried to maintain its power through conciliation and pressure but the situation did not improve. In the end, the power structure of the town changed as the influence of Nobangye became weaker due to the role allocation of social organizations, the residents pursuing economic benefits, and the change in the demographic structure.

      • 누구를 위한 개발인가 -전남 영광군 H마을의 "문화,역사마을 가꾸기" 사업의 사례-

        홍성흡 ( Sung Heup Hong ) 전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3 현대사회과학연구 Vol.17 No.-

        전라남도 영광군 H마을에서 2004년부터 2009년까지 전개된 "문화·역사마을 가꾸기" 사업은 "위로부터의 의사결정과 지원"이 "아래로부터의 요구 및 노력"과 결합하는 구체적인 사례로서 마을 단위에서 펼쳐지는 개발 사업에 대한 다양한 문제들을 되돌아보게 해준다.개발이라는 이름하에 펼쳐지고 있는 마을 단위의 다양한 개발 사업은 담론 수준에서 경제주의와 정부지원 의존으로부터의 탈피를 내세우고 있지만 실제 현실은 개발독재 시대의 양상과 크게 다르지 않다.마을은 개발 사업의 대상으로 여전히 다루어지고 있고, 마을공동체의 균열과 정치지형의 분절화가 심화되었으며, 개개의 주민들은 이해관계를 위해 경쟁하는 양상을 더 키워주는 결과를 가져 왔다.마을에는 흉물스러운 시설물만이 전혀 관리를 받지 못한 채 남아 있고, 주민들의 기억 속에는 개발과정에서 남은 서로에 대한 앙금만이 남아 있다.이는 자생적 혁신역량을 키우는 과정은 생략된 채, 사업기간 중의 지원예산에만 관심을 기울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deal with the process of "Revitalization Project of Culture and History Village" at H village of YoungGwang Gun in Chonnam Province.This project stated from combination of budget support of government and demand of village level.But actually villagers depended on excessively government support and government treated village as subject of experiment or experimental target area.As a result, village community segmented and weakened community spirit.In addition, distrust and conflict prevailed among villagers.This consequence is due to lack of endogenous, spontaneous, and self sustainable innovation power of villagers.

      • KCI등재

        「일기」를 통해 본 1970년대 농촌개발정책과 마을사회의 변화

        이성호(Lee, SungHo),문만용(Moon, Manyong) 한국지역사회학회 2014 지역사회연구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anges of rural lives and society through Changpyung Diary. During the 1970s, Korea experienced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due to the central government’s modernization policy. State bureaucracy propelled rural development policy with state power dominant over the civil society, modern mindset and policy ability of the state elite. Formal modern elements, such as agricultural technology, village landscape, housing style, and the compression of distances between villages and cities were introduced in rural society during the 1970s.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 of the rural changes in the 1970s w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 power for the strengthening of the national mobilization system and the correspondence of rural residents to cope with the state power. The state could incorporate rural residents into the nation by overwhelming material domination and moral and intellectual hegemony.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state could mobilize the physical and spiritual efforts of rural residents. The state power could mobilize human, physical, and political resources from rural areas to achieve modernization effectively. The rural residents who were in adverse market positions wanted to recover their losses by depending on support from the state. The effects of the material and technological support from the state were very helpful not only for the individual and but also for rural communities. The vertical domination system of the state system over villages could only be attained by voluntary mobilization and participation of the resi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