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Re-reading of the ‘Dis-carnate’ Incarnational Christology from the Perspectives of Neo-orthodox and Radical-orthodox Theologies

        김수연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연합신학대학원 2016 신학논단 Vol.86 No.-

        In the substantial and dualistic thinking system, the opposition between paternal presence and maternal absence tends to proffer ‘dis-carnate’ incarnation of Christology. Indeed, the conventional understanding of Christological incarnation sometimes appears to simply reveal the assumption of the de-humanized human being. An uncritical equation of God with being, ousia, prevents an understanding of the dynamic interactions between the divine and the human. Thus, in the doctrinal Christologies, Christ’s incarnation seems to be an abstract, fleshless, and thus discarnate incarnation. Moreover, the incarnation as the conjuncture of the divine and the human is easily identified with the moment of the divine human being’s birth. In this situation, the conventional understanding of Christology which focuses on the divine entity accomplish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n and the Father obscures ever the incarnate presence of God. . In this context, grappling with the theological concept of incarnation, I try to reread traditional Christologies of neo-orthodox and radical-orthodox theologians. In particular, this study will reexamine Barth’s, Moltmann’s, and Milbank’s theologies and further recent works of philosophical theologians’ postmodern interpretations of incarnation. In this vein, Athanasius’ Christology and also the Christologies of Barth, Moltmann, and Milbank, which are developed within the boundary of Orthodox theology, will be reviewed with a postmodern perspective. Their respective Christologies critically express that ‘the Word became flesh’ with their own soteriological concern. Thus, I explore their Christological theologies and further argue that their theologies have some limitations in valuing the fleshed God in the incarnation, despite their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the Christological doctrines. Nonetheless, their exploration on the reality of incarnate presence of God focuses on the contents and functions of incarnational Christology rather than its ontological foundation. I think that Barth, Moltmann, and Milbank creatively reactivate the incarnational Christology within the boundary of orthodox Christology. Within the explicitly different milieu from the age of Athanasius, Barth, Moltmann, and Milbank challenge the ambiguous metaphysical and philosophical concepts and attempt to reinterpret the orthodox Christology. Yet, Christological incarnation which is at the center of Christian faith still needs to be reread in special terms of bodily reality repressed in the divinized incarnation. In this regard, I attempt to elaborate a postmodern rereading of incarnation, retrieving the repressed bodiliness within the doctrinal Christologies. It will be meaningful and necessary, I believe, to explore the reality and further relationality effaced in the categories of substance or essence in the Christological discourses.

      • KCI등재

        A Re-reading of the ‘Dis-carnate’ Incarnational Christology from the Perspectives of Neo-orthodox and Radical-orthodox Theologies

        Sooyoun Kim(김수연)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16 신학논단 Vol.86 No.-

        이 글은 급진적-전통주의 신학의 탈근대주의 입장에서 해석하는 성육신 교리의 내용을 검토하며, 현재 기독교 안에서 ‘비육화된(Dis-carnate)’ 교리로 남아 있는 성육신 신학의 의미를 재해석하려는 것이다. 특히 그래햄 워드(Graham Ward)의 급진주의 정통신학이 바르트의 신학에서 발견하는 탈근대주의적 특징, 흔적(trace)으로서 설명되는 변증법적 하나님-이해, 몰트만(Moltmann)의 종말론적 희망이 내포하고 있는 구원의 현재성, 밀뱅크(Milbank)의 용서(for-give-ness)와 선물(Gift), 즉 원-선물의 지속적인 주어짐(the sustained giving of the original gift)으로서의 성육신 등을 구체적으로 소개하고 비판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현재에 의미 있는 신학적 언어로 전통적인 교리들이 해석될 때, 신학은 현실-변혁, 자기-개혁의 틀로서 작용할 수 있다. 오래전 교리적 기독론(doctrinal Christology)은 당시의 철학적 용어로 복음의 내용을 해석하며 당시의 역사적 한계 또한 불가피하게 담고 있기에 성육신의 교리는 현재의 언어로 재해석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사실, 그리스도의 몸-된 실재를 주장하는 교부들의 신학은, 즉 아타나시우스와 안셀무스의 기독론은 하나님의 몸-된 현실을 강조하며 동시에 또한 이는 변증되어야 하는 것으로 설명하기에, 그러한 과정에서 몸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함의하게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기독교에서 강조하는 몸-되신 하나님의 구원은 구체적인 자기-구현(the embodiment of self)이기보다는 썩어질 육체로부터의 벗어남(the redemption of the dark mortality of the corruptible body)으로 서양철학의 이분법적 논리를 반복하며 해석되는 경향이 있어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탈근대주의 입장의 급진적-정통주의 신학은 기독교의 교리가 현재에 의미 있는 방식으로 재해석 될 수 있도록, 성육신의 현재적 의미를 강조하고, 서구철학의 실체-형이상학적인 논리를 넘어서, 물질, 몸 등의 가치를 돌아보게 한다. 특히 현존(paternal presence)과 부재(maternal absence)의 이분법 속에서 해석되지 못한 타자성(alterity)을 기독론의 구체적 내용으로 드러내기에 통전적인 구원을 강조하는데 도움이 된다. 다시 말해, 탈근대신학이 주목하는 바르트의 변증법적 신학에서 흔적으로서의 텍스트(textuality), 특히 신-정통주의 신학과 급진주의-정통신학에서 강조되는 용서, 화해, 그리고 선물 혹은 증여로서의 성육신 이해 등은 현재 탈-육화(ex-carnate) 경향이 있는 기독교의 성육신 교리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이 글이 강조하고 있는 급진적-정통주의 그리고 그들이 탈근대주의 시각에서 바라보는 바르트 신학의 의미 등은 이천 년 전의 서구철학에 기초한 전통적인 기독론이 내재하고 있는 몸-적 부재의 비육화된(dis-carnate) 교리에 비판적 분석의 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이 글은 급진적-전통주의 신학의 탈근대주의 입장에서 해석하는 성육신 교리의 내용을 검토하며, 현재 기독교 안에서 ‘비육화된(Dis-carnate)’ 교리로 남아 있는 성육신 신학의 의미를 재해석하려는 것이다. 특히 그래햄 워드(Graham Ward)의 급진주의 정통신학이 바르트의 신학에서 발견하는 탈근대주의적 특징, 흔적(trace)으로서 설명되는 변증법적 하나님-이해, 몰트만(Moltmann)의 종말론적 희망이 내포하고 있는 구원의 현재성, 밀뱅크(Milbank)의 용서(for-give-ness)와 선물(Gift), 즉 원-선물의 지속적인 주어짐(the sustained giving of the original gift)으로서의 성육신 등을 구체적으로 소개하고 비판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현재에 의미 있는 신학적 언어로 전통적인 교리들이 해석될 때, 신학은 현실-변혁, 자기-개혁의 틀로서 작용할 수 있다. 오래전 교리적 기독론(doctrinal Christology)은 당시의 철학적 용어로 복음의 내용을 해석하며 당시의 역사적 한계 또한 불가피하게 담고 있기에 성육신의 교리는 현재의 언어로 재해석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사실, 그리스도의 몸-된 실재를 주장하는 교부들의 신학은, 즉 아타나시우스와 안셀무스의 기독론은 하나님의 몸-된 현실을 강조하며 동시에 또한 이는 변증되어야 하는 것으로 설명하기에, 그러한 과정에서 몸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함의하게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기독교에서 강조하는 몸-되신 하나님의 구원은 구체적인 자기-구현(the embodiment of self)이기보다는 썩어질 육체로부터의 벗어남(the redemption of the dark mortality of the corruptible body)으로 서양철학의 이분법적 논리를 반복하며 해석되는 경향이 있어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탈근대주의 입장의 급진적-정통주의 신학은 기독교의 교리가 현재에 의미 있는 방식으로 재해석 될 수 있도록, 성육신의 현재적 의미를 강조하고, 서구철학의 실체-형이상학적인 논리를 넘어서, 물질, 몸 등의 가치를 돌아보게 한다. 특히 현존(paternal presence)과 부재(maternal absence)의 이분법 속에서 해석되지 못한 타자성(alterity)을 기독론의 구체적 내용으로 드러내기에 통전적인 구원을 강조하는데 도움이 된다. 다시 말해, 탈근대신학이 주목하는 바르트의 변증법적 신학에서 흔적으로서의 텍스트(textuality), 특히 신-정통주의 신학과 급진주의-정통신학에서 강조되는 용서, 화해, 그리고 선물 혹은 증여로서의 성육신 이해 등은 현재 탈-육화(ex-carnate) 경향이 있는 기독교의 성육신 교리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이 글이 강조하고 있는 급진적-정통주의 그리고 그들이 탈근대주의 시각에서 바라보는 바르트 신학의 의미 등은 이천 년 전의 서구철학에 기초한 전통적인 기독론이 내재하고 있는 몸-적 부재의 비육화된(dis-carnate) 교리에 비판적 분석의 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