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명리원전 『命理正宗』에 함축된 病藥사상 고찰

        김만태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7 東洋學 Vol.67 No.-

        In the late Ming Dynasty of China, Jangnam(張楠) pointed out the errors of the theory, japyeongmyeongli, from an analytical and critical perspective and tried to correct and improve the theory. As part of his efforts, Jangnam, in his book, 『Myeongrijeongjong (命理正宗)』, presented byeongyak(病藥) principle (method of illness and medication) in full extent. Although the byeongyak principle has been already employed in many other literature including 『Yeonhaejapyeong (淵海子平)』, 『Myeongrijeongjong 』 was the first literature to name it as byeongyak principle and organize its ideas. The byeongyak principle (method of illness and medication) bases on the phrases of 『Oeondokbo (五言獨步)』 that “It is nothing special that one never gets sick and becomes valuable only in the face of an illness. If an illness is removed in the constitution of Sajupalja, wealth and happiness are accompanied together(有病方爲貴, 無傷不是奇, 格中如去病, 財祿喜相隨)”. In addition, four illnesses(彫枯旺弱) potentially occurring in the original constitution of palja were listed and explained along with four medications(損益生長) of them. Jangnam’s byeongyak principle contradicts to the existing balancing theory of japyeongmyeongli because sajumyeongli had a different perspective on what the balancing was. Jangnam’s byeongyak principle, too, seeks balancing but the focus is not on balancing the entire saju based on the thing or ten celestial stems of birthday, the main part of sajupalja; but its focus was on the utilized gods by the ten celestial stems. For this reason, if the utilized gods got sick,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focus and secondary focus were reversed in trying to treat the illness. It is deemed that this is because of the gap in the theoretic frame and viewpoints between the classical japyeongmyeongli and contemporary japyeongmyeongli. 明代 말, 張楠은 기존 子平命理 이론의 오류를 분석적이고 비판적인 관점에서 지적하면서 수정 보완하고자하였다. 그 일환으로 장남은 자신의 저술 『命理正宗』에서 病藥法을 본격적으로 제시하였다. 물론 『淵海子平』 과 다른 문헌들에서도 이미 병약법을 취하고 있었지만 이를 ‘病藥說’이라고 이름붙이고 그 개념을 체계화한 것은 『명리정종』이 처음이다. 병약설은 “病이 있어야 비로소 귀하고, 傷함이 없으면 뛰어나지 않은 것이다. 格 중에서 병을 제거하면 재물과 복록이 기쁘게 서로 따른다(有病方爲貴, 無傷不是奇, 格中如去病, 財祿喜相隨).”라는 「五言獨步」의 구절에 그 근거를 두었다. 또한 팔자 원국에서 출현할 수 있는 4가지 병[彫枯旺弱]과 이를 치료하는 4가지 약[損益 生長]도 열거하며 설명하였다. 장남의 병약설이 기존 자평명리의 中和論과 상반되는 원인은 사주명리의 中和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서 기인한다. 즉 장남의 병약설도 중화를 목적으로 하지만 중화의 초점이 사주팔자의 주인공인 日干, 혹은 體를 중심으로 한 사주 전체의 중화에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일간이 사용하는 用神에 맞춰져 있어 용신이 병들면이를 치료하고자 하는데 있어 主客이 전도되었다. 이는 고전 자평명리학과 현대 자평명리학의 이론적 틀과 관점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醫易을 명리학에 적용한 命理正宗 의 「病藥說」 연구

        이용문(Lee Yongmoo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0

        명대(明代)의 장남(張楠)의 『명리정종』은 「병약설」로 대표되지만 서락오의 「병약용신취용법」의 모태(母胎)이론으로 알려져 있어 정작 「병약설」의 원뜻은 제대로 전해지지 않고 있다. 「병약설」은 사주원국에서 ‘병(病)’을 진단하고 그 병에 대한 ‘약(藥)’을 쓰는 개념으로 전통의학의 치병의 원칙과도 유사한 개념이다. 사주 8글자를 인체에 비유하며 설명하고 있는 장남은 8글자에서 병이 되는 것을 문제로 삼고, 그 문제를 해결해주는 것을 약으로 쓰는 방식으로 간명한다. 『黃帝內經』과 明代 張介賓의 『類經圖翼』 등을 통해 「병약설」의 이론과 비교해본 결과 방식은 매우 유사하였으며 明代 의학을 특징짓는 醫易사상의 영향을 배제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음양오행학이 가장 발달하여 전수되어 온 동양의학을 통해 학습하고 曆法과 易法을 참구하며 명리를 연구한다는 것은 술사로서 지극히 당연한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장남의 「병약설」은 동양의학과 『周易』에 그 이론의 근원을 두고 있어 기존의 자평학이 오행의 중화를 추구하는 반면 장남은 동양의학에서 병을 치료하는 원칙인 음과 양의 균형으로 사주를 보는 근본 원칙으로 삼는다. ‘병과 약’은 ‘음과 양’의 개념과 같이 대대관계를 이루며 서로 상반되지만 상호 감응함으로써 조화되어 서로를 완성시켜 준다는 의미가 된다. 장남은 이 둘 사이의 균형을 이루는 것을 중화라고 보는 관점에서 실전명조의 해석을 통해 명리정종 을 완성시켰다. 『Myeongrijeongjong(命理正宗)』 written by Jangnam(張楠) of the Ming period, is represented by 「Byeongyakseol(病藥說)」, but is known as the parent theory of Seorak-oh’s 「Byeongyakyongsinseol(病藥用神說)」, so the original meaning of 「Byeongyakseol(病藥說)」 is not properly conveyed. 「Byeongyakseol(病藥說)」 is similar to the principle of oriental medicine by diagnosing the diseaseand using the medicine for the disease. JangNam(張楠) explains by comparing the eight letters offortune to the human body. And The way he sees fate is to diagnose becoming a disease amongthe eight letters and use it as a medicine to solve it. As a result of comparing 『黃帝內經』 and 『類經圖翼』of JangGaebin(張介賓) with 「Byeongyakseol(病藥說)」, they were very similar. Perhaps the influence of the idea that medicine and the scienceof change are the same, which characterizes medicine of ming period, cannot be ruled out. Professional diviner should learn through oriental medicine, which has been passed on withthe most development of yin-yang and Five-Elements theory, and Oriental calendar and Scienceof Changes. Traditional “Japyeonghak(子平學)” value the even arrangement of five elements(五行). But histheory is different. His theory is the concept of discovering problems in Saju 8 characters andusing solutions to them. His theory developed from Oriental medicine. So he makes it a rule tobalance yin and yang. This is the principle of treating diseases in Oriental medicine. His conceptof ‘problems(病) and solutions(藥)’ is the same as ‘yin and yang’. this means that they are opposedto each other but harmonize and complete each other. He thought it was important to strike abalance between the two. Then, he applied his theory to interpret the actual Saju and completed 『Myongrijeongjong(命理正宗)』.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