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ffects of the Combination of Marital Status and Household Type on Self-Rated Health among Korean Women

        ( Ae Ji Kim ),( Jin Young Nam ) 한국보건행정학회 2021 보건행정학회지 Vol.31 No.3

        Background: Self-rated health of women according to marital status and household type has rarely been considered. This study determined the differences in the self-rated health of women according to marital status and household type. Methods: Using cross-sectional data from the seven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e included 9,990 women aged above 19 year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rated health, marital status, and household type. Results: Overall, 74.5% of the women reported poor self-rated health. Regarding marital status and household type, one-person households and unmarried women had a higher risk of poor self-rated health (odds ratio [OR], 1.45; 95% confidence interval [CI], 1.03-2.05), while multi-person households and no-spouse women had a lower risk of poor self-rated health (OR, 0.69; 95% CI, 0.58- 0.83). Furthermore, women who are one-person households and unmarried had a higher risk of poor self-rated health in those who had college or higher educational level (OR, 1.98; 95% CI, 1.25-3.13). Conclusion: Self-rated health among women was associated with marital status and household type. Future studies are required to generalize these findings by considering various household compositions to improve women’s self-rated health status.

      • KCI등재

        Parental status and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older Thais

        Nekehia T. Quashie 한국사회복지학회 2018 Asian Social Work and Policy Review Vol.12 No.3

        This study examines whether childless older Thais are more vulnerable to psychological distress relative to older adults with children. Drawing from the 2011 Survey of Older Persons in Thailand (n = 37,936), zero-inflate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ethods examine psychological distress of childless older adults relative to coresident and noncoresident parents. Analyses further explore how gender and marital status moderate this relationship. Results show that 40% of older Thais did not experience any symptoms of psychological distress in the past month. Compared to coresident parents, noncoresident parents showed a higher likelihood of experiencing psychological distress but being childless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symptoms of psychological distress. Whil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status and psychological distres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by gender, marital status present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Specifically, widowed childless older adults and widowed noncoresident parents experienced more symptoms of psychological distress relative to their married counterparts. In collectivistic societies, where the family unit is highly valued, and institutional support is weak, being childless and unmarried may negatively affect one’s psychological well-being in later life. Children and marriage are protective for older Thais’ psychological well-being. The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policies are discussed.

      • KCI등재

        비혼과 1인 가구 시대의 청년층 결혼 가치관 연구

        호정화(Jeong-Hwa Ho) 한국인구학회 2014 한국인구학 Vol.37 No.4

        비혼 및 1인 가구의 증가는 보편적 결혼과 비혼자의 가족 동거라는 전통적인 가족 규범을 벗어난다는 점에서 종종 가치관의 변화와 관련되어 논의되지만 실제로 이를 검증하는 연구는 부족하다. 이 논문은 2008년과 2012년 통계청 사회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25~39세 청년층의 결혼 가치관은 혼인 및 거주형태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결혼 가치관은 2008년과 2012년 사이에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지, 그리고 그 정도와 방향은 혼인 및 거주형태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혼인 및 거주형태는 비혼이며 1인 가구를 형성하는 경우(비혼-1인가구원), 비혼이며 가족과 같이 사는 경우(비혼-가족가구원), 그리고 기혼이며 가족과 같이 사는 경우(기혼-가족가구원)로 구분하였다. 결혼 가치관은 결혼과 이혼에 대한 태도와 결혼 문화에 대한 태도(결혼 관계에서의 가족 우선성, 비혼 상태의 동거와 자녀 양육에 대한 동의 정도)로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비혼-1인가구원은 비혼-가족가구원과 기혼-가족가구원에 비해 탈전통적인 결혼 가치관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결혼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지닐 확률과 이혼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지닐 확률이 모두 낮았으며, 결혼생활에서 당사자보다 가족을 우선시해야 한다는 의견에 대한 동의 정도가 낮았다. 반면 남녀가 결혼하지 않고 함께 살거나 자녀를 가질 수 있다는 의견에 대해서는 높은 동의 정도를 보였다. 2012년의 응답자는 2008년의 응답자보다 더욱 탈전통적인 가치관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 변화의 크기는 전통적인 결혼 및 거주규범을 따르는 기혼-가족가구원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결혼 가치관의 탈전통화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게 한다. The increase of the unmarried and one-person households among young adults characterizes family changes in Korea since 2000. This study examines how these changes relate to marriage values system. Three types of marital status and living arrangements were compared: unmarried solo residents, unmarried family coresidents, and married family coresidents. Marriage values system was measured in five domains: attitudes toward marriage, attitudes toward divorce, priority of family over individual in marriage, attitudes toward cohabitation, and attitude towards non-marital childrearing. This study relied on two waves of repeated cross-sectional data from the Korean Social Survey (2008 and 2012). Results suggest that, the unmarried solo residents tend to have less traditional values system: they were less likely to see marriage as a positive norm to follow and less likely to view divorce as a negative event. They were less likely to agree that family has priority over individuals in marriage but were more likely to agree that marriage is not a necessary condition for cohabitation and childrearing. The married family coresidents, however, have experienced greater magnitude of changes in marriage values system between 2008 and 2012. Implications on future family chang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성인이행기 남녀의 가사노동 시간에 대한탐색적 연구

        이진숙,이윤석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8 여성연구 Vol.98 No.3

        이 연구는 기존의 가사노동에 대한 연구들 대부분이 기혼을 대상으로 초점이 맞춰져 있는 것에서벗어나 미혼으로까지 확장시켜 가사노동의 젠더불평등 문제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시도하였다. 성인이행기 남녀의 가사노동 시간을 통계청 2014년 생활시간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일반적인성인이행기의 생애과정을 혼인상태와 동거형태(Living arrangements)에 따라서 4가지로 유형화하였다. 가족과 함께 사는 미혼, 혼자 사는 미혼, 자녀가 없는 기혼, 자녀가 있는 기혼으로 구분하여분석한 결과 여성은 어느 유형에서도 남성보다 가사에 참여하는 비율이 높았고, 가사노동 시간 또한긴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은 성인이행기 중에서 결혼이라는 생애단계를 경험하며 가사노동 시간량이 급증했으며, 자녀가 생기면 더욱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목할 점은 기혼 여성뿐만 아니라미혼 여성 또한 남성보다 많은 가사노동을 하고 있었으며, 혼자 사는 미혼 여성은 다른 유형의 여성들보다 가장 적은 가사노동을 시간을 보내고 있었다. 반면 혼자 사는 미혼 남성은 다른 유형의 남성들보다 가장 많은 가사노동을 하고 있었고, 가족과 함께 사는 남성은 가사에 참여하는 비율이 낮고, 시간 또한 적었다. 이는 여성이 남성보다 가사노동을 수행하도록 사회화되었으며, 실제로 젠더행하기 역할을 이행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