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의 전통 식생활교육을 위한 탐구 수업 모형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김유정(Yu-Jeong, Kim),오수진(Soo-Jin, O),이지은(Ji-Eun, Lee),유지연(Ji-Yeon, Yoo)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06 한국교육문제연구 Vol.- No.24

        청소년에게 우리나라 전통음식의 우수성과 가치를 알리고 올바른 인식을 갖도록 하기 위한 체계적인 전통 식생활교육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기술⋅가정 교과내의 전통 식생활교육에 대한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식생활 관련 문헌 고찰을 통하여 전통 식생활에 대한 개념정리를 하였으며,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에서의 전통 식생활교육 관련 내용을 분석하였다. 학습자의 발달수준, 사회적 요구, 가정과 교과의 성격을 고려하여 중학교 3학년 기술⋅가정과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 적용한 교수-학습 방법으로는 소집단 토의학습을 배경으로 한 집단 탐구수업 모형을 선택하였으며, “전통음식의 조리원리와 활용방안”을 집단탐구활동의 주제로 설정하여 총 5차시로 개발하였다. 1차시에는 상황제시 및 문제설정과 탐구계획의 단계로서 전통 식생활의 중요성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기 위해 자료를 준비하여 보여주고, 학생들이 학습주제를 탐색할 수 있도록 상황을 제시한다. 그리고 탐구주제별로 집단을 나누어 자신이 흥미를 가지고 있는 주제를 탐구하는 집단으로 들어가 토의를 통하여 계획을 수립하고 역할을 분담한다. 탐구활동의 전개단계인 2-3차시에는 전통 식생활의 우수성과 활용방안을 탐구하기 위하여 자료를 찾아 수집하고, 토의를 통하여 자료를 정리하고 종합한다. 또한 4차시의 조리실습은 탐구전개과정의 연장으로서 학생들은 실습을 통해 전통음식의 조리원리를 이해하게 된다. 5차시에는 학생들이 전통 식생활에 대한 긍지와 올바른 인식을 함양했는지 확인하고, 집단탐구활동에 대한 소감문을 작성한다. A systematic education of Korea's traditional eating habits is required to awaken our juveniles to the excellency and worth of Korean traditional food and to inspire them with correct recognition of the habits. Thu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teaching-learning model concerning the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eating habits in the technical & home economics curriculums for middle-school students. To do so, the conception of Korean traditional eating habits was defined through reviewing the relevant literature and the contents related to the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eating habits in practical arts(technical & home economics) curriculum were analyzed. In consideration for the developmental levels of learners, social needs and the characteristics of home economics, the author developed a teaching-learning model applicable to technical & home economics curriculums for third-year students at middle schools. The teaching-learning method employed in this study adopted the group investigation model with the background of small-group discussion learning, and “the principles of cooking Korean traditional food and their application plan” were selected as a subject for group investigation activity. In total, five steps were designed. In the first step for situation presentation, problem posing and inquiry planning, various materials to attract students' attention about the significance of Korean traditional eating habits are provided for them and an appropriate situation is presented so that they can inquire into the given learning subject. And grouping is performed by inquiry subjects so that individual students are assigned to groups inquiring into the subject they feel interested, and planning and deciding who does what were conducted through discussion. In the second and third steps corresponding to the development phases of inquiry activity, data are collected, and they are sorted and generalized through discussion, in order to inquire into the excellency and application plans of Korean traditional eating habits. Next, in the fourth step, students perform cooking practices as a part of inquiry development and naturally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cooking the traditional food. Finally, in the fifth step, it is checked whether students have been inspired with pride in and correct recognition of Korean traditional eating habits and the students are asked to write down their impressions of group inquiry activities.

      • KCI등재

        건강신념모델에 기초한 20대 여성의 건강 행동 실천에 대한 식생활 지침과전통 식생활의 건강신념 수준 비교 분석: 식습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형주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24 산업혁신연구 Vol.40 No.1

        본 연구는 건강신념모델에 기초한 20대 여성의 건강 행동 실천에 대한 식생활 지침과 전통 식생활의 건강신념 수준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식습관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서울에 거주하는 20대 여성 2명을 선정하여 심층 면접 사전조사를 실시한 후, 이를 토대로 선행연구와 함께 서울 지역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2021년 10월 5일부터 10월 15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식생활 지침(골고루, 싱겁게, 칼로리 낮게) 건강신념 수준은 건강 행동 실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생활 지침(체중조절) 건강신념 수준(인지된 장애, 식이 자아효능감)은 건강 행동 실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생활 지침(건강기능식품) 건강신념 수준(식이자아효능감)은 건강 행동 실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전통 식생활 건강신념 수준(인지된 이익, 식이 자아효능감)은 건강 행동 실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식습관(식품선택 습관)은 식생활 지침(골고루, 싱겁게, 칼로리 낮게) 건강신념 수준(인지된 장애, 식이 자아효능감)과 건강 행동 실천 간에, 식생활 지침(체중조절) 건강신념 수준(식이 자아효능감)과 건강 행동 실천 간에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식습관(식 행동)은 식생활 지침(체중조절) 건강신념 수준(식이 자아효능감)과 건강 행동 실천 간에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통 식생활 건강신념 수준과 건강 행동 실천 간에 식습관(식품선택습관, 식 행동)은 조절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20대 여성들을 위한 건강 행동 실천력을 향상하는데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etary life guidelines and traditional Korean foods of health belief levels for health behavior practices of 20s’ women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In addition,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eating habits. After we had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two 20s’ women in Seoul area, a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5th to October 15th, 2021 20s’ women in Seoul.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ealth belief level of the dietary life guidelines(evenly, not salty, low calori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health behavior practices. The health belief level(perceived barriers, dietary self-efficacy) of the dietary life guidelines(weight contro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health behavior practices. The health belief level(dietary self-efficacy) of the dietary life guidelines(health functional foo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health behavior practices. Second, health belief level(perceived benefits, dietary self-efficacy) of the traditional Koran food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health behavior practices. Third, Eating habits(food selection habits) ha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health belief levels(perceived barriers, dietary self-efficacy) of the dietary life guidelines(evenly, no salty, low calorie) and healthy behavior practices. Eating habits(food selection habits) ha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health belief levels(dietary self-efficacy) of the dietary life guidelines(weight control) and healthy behavior practices. Also, Eating habits(eating behavior) ha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health belief levels(dietary self-efficacy) of the dietary life guidelines(weight control) and healthy behavior practices. Forth, Eating habits had no moderating effect between health belief levels of the traditional Korean foods and health behavior practi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gave basic data to improve health behavior practices for 20s’ wo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