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러시아 연해주 지역 항일여성운동, 1909~1920

        반병률(Ban, Byung Yool)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5 역사문화연구 Vol.23 No.-

        이 논문에서는 한말이후 1920년에 이르는 시기에 러시아 연해주지역에서 전개된 민한인여성운동을 살펴보았다. 이시기의 항일한인여성은 대체로 러시아혁명이전에는 여성의 교육함양과 상호부의 성격이 강했고, 러시아혁명이후 특히 3․1운 동이후 민족운동이 크게 활성되면서 여성들도 항일민족운동에 적극 참여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예외적으로 선구적인 볼쉐비키 지도자인 여성혁명가 김알렉산드라를 간략히 소개하였다. 현재 남아 있는 문헌에서 러시아지역의 최초의 여성단체는 블라디보스톡 구개척리에서 1909년 12월 28일에 조직된 자혜부인회 (慈惠婦人會)이다. 이 단체는 여성의 교육함양과 상호부조를 목적으로 하였고, 블라디보스톡 한인사회의 유지인 최봉준, 차석보, 이상운, 이형욱 등 유력인사들의 부인들이 중심인물이었다. 자혜부인회는 1911년 중반 구개척리가 폐쇄되고 한인들이 신한촌으로 이주하게 되면서 여성기독교도들에 의하여 재조직되었다. 자혜부인회에 이어 1913년 6월경 대한여자단이라는 단체가 조직되었는데, 공동출자에 의하여 설립한 상점을 공동운영하여 남은 이익을 한인사회의 공동목표를 실현하는데 사용하고자 하였다. 자혜부인회와 대한여자단은 1914년 4월경 한민학교내 여학생을 위한 교실건축비 모금운동을 계기로‘신한촌 대한부인회’로 통합되었다. 자혜부인회나 대한여자단과 같은 조직을 통한 여성운동에 못지않게 연해주의 한인여성들은 한인학교나 권업회,『권업신문』에 대한 재정적 지원, 헤이그 밀사 이준의 전기간행과 유족후원, 애국지사 이갑의 병치료비 후원 등 한인들의 애국 적인 모금활동에 참여하였다. 러시아 2월혁명 이후 한인사회에서 한인여성들의 참여와 비중이 확대되어갔지만, 전체적인 면에서 이들 여성의 위상이 괄목할 정도로 높아진 것은 아니었다. 예를 들어 앞에서 언급했던 바 1917년 6월에 결성된 고려족중앙총회나 1918년 6월에 결성된 전로한족중앙총회 (全露韓族中央總會)와 같은 전체한인의 대표기구의 결성과정이나 집행간부진 참여에서 배제되고 있었던 것이다. 러시아지역 한인사회에서 단연 주목해야 할 인물은 김알렉산드라 스탄케비치이다. 김알렉산드라는 여성운동가로서가 아니라 탁월한 볼쉐비키로서 러시아극동지역 한인사회에 사회주의를 전파하는데 선구적 역할을 담당하였다. 최초의 사회주의정당인 한인사회당은 보편적 이념으로서의 사회주의 도입과 러시아혁명세력가의 연대를 추구했다. 1919년 3․1운동 이후 블라디보스톡의 신한촌을 비롯한 연해주 각지에서의 독립운동이 크게 고조되었다. 대한부인회는 3․1운동이후 부인독립회로 명칭을 바꾸었는데 애국부인회로 불려지기도 했다. 부인독립회는 각 지방에 지회를 설치하는 등 종전에 비하여 활동을 크게 강화하였다. 부인독립회는 점차 이의순, 채계복, 이혜근, 우봉운 등 간도를 거쳐온 온 젋은 애국적 여성들이 가세하면서 활동이 활발해졌다. 이들 부인독립회 간부들은 국치일기념행사, 3․1독립선언기념행사 등의 한인집회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맡았고, 교육활동은 물론 새롭게 고조되고 있던 독립군운동을 적극 후원하거나 직접 참여하기도 했다. 1919년 말부터 1920년 봄에 걸쳐 부인독립회는 미국의 원조를 받아 항일무장투쟁에 대비하여 독립군간호를 위한 간호부양성계획을 추진하기도 했는데, 1920년 봄 현재 50여명의 한인여성들이 단기속성과정에 참여하고 있었다. 1920년 4월 4-5일밤 일본군은 연해주일대의 러시아혁명세력과 한인사회에 대한 대대적인 체포, 구금, 학살을 자행하였다. 일본군이 일으킨 이 4월참변으로 연해주지역의 한인독립운동의 기반이 송두리채 파괴되었다. 블라디보스톡의 주요한인단체 간부들이 일본군의 탄압을 피해 중국이나 러시아농촌지방 또는 아무르 주로 도피하게 되는데, 부인독립회 주요간부들인 이의순, 채계복, 우봉운 등 역시 중국과의 국경지대인 이만의 한인부락인 다반촌으로 도피하였다. 이후 이들 부인독립회 간부들은 이후 상해 또는 국내로 무대를 옮겨 애국적 항일운동을 계속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rvey the anti-Japanese activities of Korean Women from 1909 to 1920 in the Russian Maritime Province. Kim Aleksandra is briefly introduced. She was the first Korean Bolshevik and she suggested that Korean patriots overcome their factional struggle based on regionalism to seek cooperative work with Russian Bolsheviks. The first organization of Korean women in Russia was the Jahye Buinhoe (Women's Association for Benevolence) which was organized on December 28, 1909 in Gaecheok-ri (Old Korean Village), a Korean village in Vladivostok. The association aimed to provide more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to promote mutual assistance among Korean women. Key members of the association were wives of influential Koreans living in Vladivostok, such as Choe Bong-jun, Cha Seok-bo, Yi Sang-un and Yi Hyeong-uk. The Jahye Buinhoe was reorganized by Korean women Christians in Sinhanchon (New Korean Village), to which Koreans were forced to move in the middle of 1911. Another Korean women's association called the Daehan Yeojadan (Women's Union of Great Korean) was organized in June, 1913 in Sinahanchon. The Daehan Yeojadan established a big shop by members' joint investment and aimed to support Korean communities by profits earned by the company. The two Korean women's associations, the Jahye Buinhoe and the Daehan Yeojadan cooperated in a campaign for raising funds to build classrooms for girl students at the Hanmin Hakgyo (Korean People's School).In addition to the activities of the two women's associations, Korean women in the Russian Maritime Province donated money for supporting Korean schools, the Kweoneophoe (Work Promotion Association), the Kweoneop Sinmun (Work Promotion Gazette), the publication of the biography of Yi Jun, King Kojong's emissary to the Hague, Yi Jun's family and a sick Korean patriot Yi Gap. We can say that after the Russian Revolution, the role of Korean women in the Korean communities increased, but the status of Korean women among Korean communities was not enhanced. For example, there were no Korean women among the key members of the Koryeojok Jungang Chonghoe (Central Executive Committe of Koreans) organized in June, 1917 and Jeonro Hanjok Chungang Chonghoe (the Central Executive Committee of All Koreans in Russia) organized in June, 1918. Before the Russian Revolution in 1917 the Korean women's movement aimed to provide more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to promote mutual assistance among Korean women. After the March First Movement in 1919, more young Korean women took part in anti-Japanese activities, including educational activities and supporting the military activities of Koreans in Manchuria and Russia. Daehan Buinhoe was renamed the Buin Doknipdan (Women's Union for the Independence) and established its branches in the Russian Maritime Province. Young Korean women such as Yi Eui-sun, Chae Gye-bok, Yi Hye-geun, U Bong-un, who came from North Chientao, took the leadership of the Korean women's anti-Japanese movement in the Russian Maritime Province. In order to prepare for future anti-Japanese military activities, they started a short-term course for training nurses with the help of the U.S. Red Cross. Japanese military forces attacked Russian revolutionaries and Korean anti-Japanese patriots in the Russian Maritime Province on the night of April 4-5, 1920 and Korean women leaders including Yi Eui-sun, Chae Gye-bok and U Bong-un ran away to a Korean village near Iman, After several months, they continued their anti-Japanese activities in Shanghai and Korea.

      • KCI등재

        『춘희(椿姬)』의 번역 계보와 문학사적 의의

        김영애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9 한국어문교육 Vol.29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nd reveal the genealogy of the translated novel, Chunhee. Chunhee is a translated work of La Dame aux Camélias by Alexandre Dumas Fils, a French novelist (1848). During the Korean colonial period, Jin Hakmun, Na Dohyang, Shimhyangsanin, Kim Jahye, and Park Luweol translated some works of Dumas Fils. Especially, Park Luweol's work is a film novel. Not much has been known about this work until recently. This paper deals with the translation genealogy and literary historical meaning of Chunhee. Except for The Hongru by Jin Hakmun, not much research has been done on other works. There is a need for a systematic study of the translation genealogy of Chunhee. Thus, this paper 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works, and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literary and historical implications of the genealogy. When translating Japanese works, Jin Hakmun and Na Dohyang modified titles or names, making them Korean ones, and translated the whole original works. Shimhyangsanin, Kim Jahye, Park Luweol, on the other hand, accepted the title of Japanese version, ‘Chunhee’, and made a condensed translation. 이 논문의 목적은 식민지시기 번역소설 『춘희(椿姬)』의 계보를 밝히고 그 문학사적 의미를 분석하는 데 있다. 소설 『춘희』는 프랑스 소설가 알렉상드르 뒤마(Alexandre Dumas Fils)의 『La Dame aux Camélias』(1848)를 번역 번안한 작품이다. 뒤마의 원작을 번역 번안한 작품으로 진학문의 『홍루』(1917), 나빈의 『동백꽃』(1927), 심향산인의 『춘희』(1929), 김자혜의 『춘희』(1933) 등이 소개된 바 있다. 본고는 여기에 박루월의 『춘희』(1930)를 추가하여 『춘희』의 번역 번안 계보와 그 문학사적 의미를 다루었다. 특히 박루월의 『춘희』는 지금까지 번역소설이나 영화소설 연구에서 구체적으로 분석된 적이 거의 없고, 진학문의 작품을 제외한 나머지 번역소설에 관한 개별적인 연구 또한 찾아보기 어렵다는 점에서 본격적인 논의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고는 『춘희』가 우리 문단에 번역 소개되어 온 역사적 정황을 작품별로 제시하고, 그 계보의 문학사적 의미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식민지시기 『춘희』의 번역사를 조망하고자 했다. 진학문, 나도향은 일본소설을 대본으로 번역 번안했으나 제목이나 인명 등을 조선적인 표현으로 바꾸었고 축역이나 경개역이 아닌 완역에 해당하는 작품을 선보였다. 반면 심향산인, 김자혜, 박루월은 공통적으로 일본소설 제목 ‘춘희’를 그대로 수용하고 줄거리 중심의 축역, 경개역에 해당하는 작품으로 고쳤다는 점에서 앞선 작가들과 변별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