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의성요소와 감성디자인의 평가방법 관계에 대한 연구

        이성필 ( Sung Pil Lee ),홍정표 ( Jung Pyo Hong ) 한국감성과학회 2010 감성과학 Vol.13 No.1

        현대사회를 감성사회라고 말한다. 감성사회에서 感性디자인은 상품의 가치를 높여 부가가치를 높여준다. 많은 연구자들이 감성디자인에 대하여 주장을 하고 있지만 감성제품과 일반 제품의 관계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판단기준이 무엇인지 명확하게 밝히거나 무엇이 감성제품인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연구된 사례가 많지 않다. 따라서 감성디자인에서, 사용자에게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디자인요소가 무엇이며, 감성디자인의 분류와 판단기준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첫 번째로 선행 연구된 디자인 창의성 평가 요소와 감성디자인의 관계, 소비자에게 선호되는 감성디자인은 어떤 창의성평가요소와의 디자인요소가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는지를 제안하고, 두 번째로, 감성디자인유형별로 중요하게 표현되는 이미지와 창의성평가요소와의 관계는 무엇인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들에게 제품을 보여주고 감성디자인이라고 생각하는 제품을 선정하게하고, 선정된 제품을 디자인유형별로 나누어 창의성평가요소와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또한 선정된 제품에서 느끼고 있는 디자인이미지를 알아보고 이미지와 창의성평가요소와의 관계도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감성디자인은 시대의 변화, 환경, 사용자에 따라 중요한 창의성평가요소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선호하는 디자인은 어떤 이미지를 갖는 디자인이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This modern society is said to be more typical of an emotional society. In such a society, emotional design adds value to products, hence bringing about value-enhanced products. Despite many claims of little substance about emotional design, there have been only a few researches that have identified what criteria to be applied to distinguish between emotional products and generic products or even have clearly defined what emotional products are. This leads to a clear need for providing more definite criteria for defining and classifying design elements useful and available for users. To fill the ga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on elements for creative design and emotional design, and, based on that, identify some of the most importantly valued elements, and secondly, to examine how the images importantly used for expression relate to creativity evaluation elements according to classified types of design. In this study, chosen products were presented to selected users so that they can choose what they think possesses emotional design elements. Then the products so chosen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design type for examination of their respective relationship with creativity evaluation elements. In addition, the identification was performed of perceived design images about the selected produc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ose images and creativity evaluation element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 chance to be aware of the fact that essential creativity evaluation elements can vary depending on changing times, environments, and users, and as well, to offer an insight into what images design should be possessive of for it to be preferred by consumers.

      • KCI등재후보

        음악영재 교육대상자 선발을 위한 수업 내용 및 평가 방안

        고영신 ( Young Shin Go ) 한국예술교육학회 2009 예술교육연구 Vol.7 No.2

        대부분의 음악영재교육대상자 선발은 1회의 오디션을 통해 `성취된 결과`만을 중심으로 평가되며 이루어진다. 음악영재란 또래 아이들에 비해 음악적 능력이 뛰어나고 음악적 잠재력이 크며 음악에 대한 강한 열정과 동기를 가진 아동이다. 음악영재를 선발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가진 음악적 능력이나 잠재성을 평가자와 학생의 상호작용을 통해 다양한 요소와 관점에서 평가해야하며 그 보완적 방안으로 수업관찰평가를 들 수 있다. 이는 음악 영재성을 드러난 현상만을 중심으로 인위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인 맥락을 고려하여 음악적 잠재성이 자연스레 드러나는 것을 평가의 중요한 관점으로 다루는 것으로 음악영재의 선발을 위해 필요한 하나의 과정이라고 본다. 본 연구는 음악영재 교육대상자 선발을 위해 먼저 음악적 영재성 또는 음악적 능력을 다양한 요소와 범주로 나누고 이를 평가하기 위한 수업 내용을 교수·학습 활동으로 구성하였으며 수업관찰을 통하여 평가할 수 있도록 평가표를 제시하였다. 성취된 결과만을 중심으로 음악영재를 선발하는 방식을 극복하기 위해 음악영재성에 내포된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수업관찰평가가 실제 음악영재선발과정에 적용될 수 있어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 better method in selecting gifted children in music. Gifted children in music have an outstanding ability in music comparing with a group about young one`s age. They have three abilities: musical ability, ability to perform musical tasks, musical creativity. Musical ability includes musical sense, aesthetic understanding and expressivness, musical creativity, and motivation in music. Musical Ability of gifted children in music needs to be evaluated in a many-faceted perspective and the overall context. Most school for gifted children in music is selecting them by evaluating through one-time audition focused on an instrumental skill or accomplished outcome. Because a method of evaluation through music class includes the comprehensive overall process to measure musical ability and potential by observing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it, as a better method, can be applied for selecting gifted children in music.

      • 초등학교 체육교과 표현활동영역 창의성 평가 요소 탐색

        이나영(Na-Young Lee),김영욱(Young-Wook Kim) 한국여성체육학회 2017 한국여성체육학회 학술세미나자료집 Vol.201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체육교과 표현활동영역 창의성 평가 요소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표현활동영역의 창의성 평가 요소(안)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세 차례의 델파이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표현활동영역의 창의성 평가 요소는 상상력, 독창성, 구성력이다. 둘째, 평가 요소에 대한 내용 타당도가 확보 되어 추출된 3요소를 확정하였다. 셋째, 평가 요소에 대한 현장 적용 타당도 검토결과 상상력, 구성력, 독창성 순으로 타당도가 확보되었다. 본 연구에서 추출된 창의성 평가 요소는 초등학교 표현활동 영역의 객관적인 창의성 평가를 위해 구체적인 준거설정과 성취수준의 핵심 요인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reative elements of the evaluation elementary expressive activities. For this study, the creativity evaluation factor of the expressive activity was developed and three Delphi studie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reativity evaluation factors of elementary school expression activities are imagination, originality, and compositional power. Secon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evaluation factor was secured and the extracted three factors were confirmed. Third, the field validity of the evaluation factor was verified in the order of imagination, composition, originality. The creativity evaluation factor extracted from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key factor in the reference setting and achievement level for creativity evaluation of elementary school expressive activiti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