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효율적인 과제기획을 위한 국방 상향식 핵심기술 과제기획 개선방안 연구

        김세일(Seil Kim),김대호(Dae Ho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4

        한정된 예산으로 기술 자립을 위해 국방 핵심기술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핵심기술은 무기체계의 개발 및 생산에 필요한 기술로 반드시 홖보가 요구되는 기술이다. 국방기술진흥연구소(KRIT: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defense Technology planning and advancement, 이하 KRIT)에서는 상향식과 하향식 핵심기술 기획연구를 통해 과제를 기획하여 필요한 기술들을 확보하고 있다. 특히 민간의 우수한 기술을 활용하여 미래전을 선도할 수 있는 신개념 무기체계를 기획하기 위해 상향식 기획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나, 채택률은 점차 감소하며 기획연구방안의 개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방 핵심기술 사업의 기획연구 방안과 민간에서 수행 중인 상향식 기획연구 사례를 조사·분석하여 상향식 핵심기술 기획연구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상향식 핵심기술 기획연구의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제안하는 상향식 핵심기술 기획연구 방안은 효율적인 과제기획을 위해 공동연구로 국방기관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국방의 요구에 부합하는 기획연구를 수행하는 것 뿐만 아니라 민간의 국방참여를 유도하고 활성화하는데 기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Defense core technology projects are carried out to secure national competitiveness with a limited budget and to support technology independence. A Defense core technology is needed to develop and produce weapon systems and must be secured.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Defense Technology planning and advancement tasks through bottom-up and top-down core technology planning to secure core technologies. The bottom-up core technology planning is being conducted to obtain a new concept weapon system that can lead future wars using excellent technologies from the private sector. On the other hand, the adoption rate is decreasing gradually, and improvement in planning methods is needed.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and analyzed the planning of the defense core technology projects and the case of bottom-up planning conducted in the private sector and deduced the problems of bottom-up core technology planning. This paper suggests the improvement plan of bottom-up core technology planning. The proposed core technology planning is joint research for effective planning. Using a communication channel for defense institutions, it is expected to conduct planning that meets defense needs and encourages private experts to participate.

      • KCI등재

        기술수요 융합형 국방 핵심기술 과제기획 방안

        손성현(Sunghyun Sohn)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8

        첨단과학기술군 육성과 국방 연구개발 역량 강화를 위해 다양한 국방기술 연구개발사업이 수행되고 있다. 그중 핵심기술 연구개발사업은 향후 소요군에서 필요한 무기체계와 가장 밀접하게 연관이 있는 사업으로 사업의 목적과 예산의 규모를 고려할 때 중요한 사업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기술로드맵에서 식별된 핵심기술과 선행연구에서 식별된 핵심기술이 일치하지 않아 무기체계 연구개발사업에 지연이 발생하여 무기체계의 적기 전력화에 지장을 주는 요소가 식별되었다. 또한, 상향식 과제기획의 경우 2022년 공모된 418개의 과제 중 공모대상기술에 부합하지 않는 공모과제수가 293건이었다. 이는 기술로드맵에서 도출한 공모대상기술이 주요 과제제기기관인 산학연의 기술수요를 제대로 반영하지 않고 있음을 나타낸다. 핵심기술 연구개발사업 예산의 경우, 기존 핵심기술 과제기획 절차에 따라 미기획 과제에 대한 예산 요구를 수행하여 예산의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처럼 현재 핵심기술 연구개발사업은 무기체계 적용성과 예산의 체계성 측면에서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국가연구개발사업에서 활용되고 있는 기술수요조사를 현 핵심기술 사업기획 체계에 접목하여 기술 로드맵을 고도화하는 기술수요 융합형 핵심기술 과제기획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기존 기술 로드맵에서는 식별하지 못하였던 핵심기술을 식별하고 로드맵에 반영하여 무기체계 적용성을 제고할 수 있고, 기존 상‧ 하향식 과제기획에서 발생하였던 미기획 과제를 방지함으로써 예산 요구의 체계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Various research and development (R&D) projects for defense technology are being carried out to foster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army and strengthen defense R&D capabilities. A core technology R&D project is a project most that is closely related to a weapons system that is needed in the future and can be said to be an important project when considering the purpose of the project and the size of the budget. However, the core technology identified in the roadmap and the core technology identified in prior research do not match, resulting in delays in a weapons system R&D project and a bad effect that has hindered the timely deployment of the weapon system. In addition, in the case of bottom-up project planning, among 418 projects submitted for public offering in 2022, 293 projects did not conform to the technology for proposal. This indicates that the competition target technology derived from the roadmap does not properly reflect the technology demand of industry, academia, and research institutes, which are major task-proposing organizations. In the case of the budget for a core technology R&D project, budget demand for unplanned tasks is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current core-technology task-planning procedure, implying budget uncertainty. As such, the current core technology R&D project needs to be improved in terms of the application of a weapons system and systematicity of the budget. Therefore, task planning for convergence of technology demand is proposed to upgrade the technology roadmap by combining the technology demand survey used in national R&D projects with the current core technology planning system. As a result, key technology that was not identified in the current technology roadmap can be identified and reflected in the roadmap to improve the applicability of a weapons system. In addition, the occurrence of unplanned tasks in the current planning process was prevented to improve the systematicity of the core technology R&D budget.

      • KCI등재

        무기체계 패키지형 응용연구 적용을 통한 국방핵심기술의 무기체계 활용률 향상에 관한 연구

        송동건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5

        The performance analysis of the recent defense-core-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s showed that half of the projects were for weapon systems development. Hence, there was a demand for improving the utilization rate of the defense core technologies for weapon systems development in the corresponding defense-core-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s and overcoming the lack of technology. So, the Core Technology Applied Research (Weapon System Package Type) or CTAR (WSPT) was newly established to package the defense core technologies required for the weapon system development into a single project. Along these lines, this study presented the packaging of the core technologies (for a turboshaft engine development) derived using WBS-based technology research and analysis into the corresponding CTAR (WSPT) based project. Notably, three defense core technologies for the turboshaft engine development that were derived through WBS-based technology research and analysis were combined into a single project through CTAR (WSPT) to conduct a CTAR (WSPT) planning research. In addition, this study presented development plans to expand the application of the project. In effect, the CTAR (WSPT) based approach is expected to help secure the necessary technology for developing the core components of the defense systems promptly. 최근 핵심기술개발사업의 성과분석 결과에 따르면, 절반 수준의 과제들이 무기체계 개발에 활용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핵심기술개발사업의 무기체계 활용률 향상과 기술 공백 문제 해결을 위한 요구가 대두되었다. 문제점 개선과 무기체계 활용률 향상을 위해 무기체계에 필요한 핵심기술들을 단일 과제로 패키지화하는 무기체계 패키지형 응용연구 사업이 신설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작업분할구조 기반 기술 조사·분석을 통해 도출된 핵심기술들을 무기체계 패키지형 응용연구 사업에 적용한 사례(터보샤프트엔진)를 제시한다. 작업분할구조 기반 기술 조사·분석을 통해 터보샤프트엔진 개발을 위한 핵심기술들이 도출되었고, 이 중 3가지 기술을 하나의 과제로 만들어 무기체계 패키지형 기획연구를 수행하였다. 무기체계 패키지형 응용연구 사업을 통해 핵심 구성품 개발에 필요한 기술을 적시에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그리고 해당 사업의 적용 확대를 위해 발전방안을 제시한다.

      • KCI등재

        국방기술기획 대상 무기체계 선정 지표에 관한 연구

        윤일웅,김종영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7

        Defense technology planning is considering what technology to secure to achieve future military goals. Strategic technology planning must develop core technologies for future weapons systems within limited resources. The selection of weapons systems to be planned is the first step in defense technology planning, which is a process of selecting weapons systems to secure core technologies among the demands raised by the military. Until now, the weapons system to be planned has been selected by relying too much on the core power of long-term weapons system development direction published by the Joint Chiefs of Staff and the weapons system to be managed. Accordingly, planning targets have been selected and core technologies have been planned without worrying about technical factors, such as technology development trends and maturity. On the other hand, considering the fast-developing and changing technologies, such a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defense technology planning that suggest the direction of core technology development by the next 15 years, it is vital to consider the future of technology. This paper presents an evaluation index and methods for objectively and quantitatively selecting the weapons system to be planned by analyz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efense technology planning system.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strategic defense technology planning by selecting the weapons system to be planned considering both military and technical factors. 국방기술기획은 미래 군사 목표 달성을 위해 어떤 기술을 확보할지 고민하는 과정이다. 한정된 자원 내에서 미래 무기체계의 핵심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전략적인 기술기획이 필요하다. 기획대상 무기체계를 선정하는 것은 국방기술기획의 첫 단추로 군에서 제기하는 소요 중, 핵심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무기체계를 선정하는 절차이다. 그 동안 기획대상 무기체계는 합동참모본부에서 발간하는 장기무기체계 발전방향의 핵심전력과 중점관리대상 무기체계에 지나치게 의존하여 선정되었다. 이에 따라 기술의 발전추세 등 기술적인 요인에 대한 고민 없이 기획대상이 선정되고, 핵심기술이 기획되어 왔다. 하지만, 4차 산업혁명과 같은 패러다임의 변화와 인공지능의 등장 등 빠르게 발전하고 변화하는 기술의 흐름과 향후 15년까지의 핵심기술 개발 방향을 제시하는 국방기술기획의 특성을 고려할 때, 기술의 미래 모습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국방기술 기획체계의 영향 요인들을 분석하여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기획대상 무기체계를 선정하는 지표와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군사적인 요인과 기술적인 요인 모두를 고려한 기획대상 무기체계 선정으로 국방기술기획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국방기술 기획전문가제도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김도헌(DoeHun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5

        기술발전의 가속화와 기술융합의 시대로 패러다임이 바뀌면서, 국방 분야는 국방과학기술이 세계 최고 수준으로 발전하기 위해 투자 확대와 더불어 선택과 집중에 의한 국방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미래전 양상에 부합하는 신개념 첨단무기 및 핵심기술에 집중적인 투자와 함께 제한된 예산범위 내 투자 전략도 수립 중에 있다. 민간분야에서는 R&D 정책의 성과 극대화와 기획·관리의 전문성 및 책임성 제고를 위하여 PD제도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국방분야에서도 과제기획역량 강화 및 민간기술 활용 활성화의 목적으로 국방기술기획 고도화 추진계획 수립 하에 전문성을 갖춘 국방기술PD 제도를 추진 중에 있다. 핵심기술 연구개발의 일관된 기술지원과 개방형 기술기획 제도 개선 및 민·군 간 기술 연계성 확대의 필요성을 고려한다면, 국방 분야의 PD제도는 반드시 필요한 제도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유사 사례를 검토하여 국방기술PD 제도 도입 및 운영 방안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현재 추진되고 있는 국방기술PD 제도에 대한 현황을 바탕으로 작성한 것이다. As the paradigm shifts in the era of accelerated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technology convergence, the defense sector is pursuing national defense research and development through selection and concentration, as well as the expansion of investments to develop defense science and technology to the highest possible level. In addition to investing heavily in cutting-edge weapons and core technologies that are consistent with the future, the defense sector is also developing investment strategies within a limited budget. In the private sector, the PD system has been introduced in order to maximize the performance of R&D policy and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and responsibility of planning & management. In accordance with this trend, in the field of defense, the PD system of defense technology with specialization is being promoted, in order to strengthen the task planning capacity and to promote the utilization of private technology. Considering the need for coherent technical support for the core technology developed by R&D, the improvement of open technology planning systems and expansion of inter-civil & technical linkage, the use of the PD system in the defense field is indispensable. In this study, we review similar cases abroad and at home to examine the introduction and management of the PD system for defense technology. This study is based on the current state of the defense technology PD system that is being pursued.

      • KCI등재

        WBS 기반 무기체계 기술분석을 통한 핵심기술과제 기획방안 연구

        전은혜,김대호,한영진,하영석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5

        Defense technology planning can be a basis for weapon system development to meet the military's future demands in the process of analyzing required capabilities, future weapon systems, and the R&D environment, and identifying core technologies that require mid- to long-term technology development. As the linkage of developed technologies and weapon systems for efficient investment is emphasized, this paper proposes a planning method for core technology projects through a WBS-based weapon system technology analysis. We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bottom-up defense technology planning system and preemptively derive the core technology required for weapon system development. In this study, a top-down weapon system package-type project planning method was proposed that can reduce the shortage of technologies required for weapon system development and increase the linkage between required technologies. In order to analyze the case of planning applying the WBS-based weapon system technology analysis, this paper presented the results of the weapon system package type project planning for the tactical communication weapon system. Also, this study suggests ways to shorten the time to derive core technologies for the early application of technology. 무기체계 개발에 기반이 될 수 있는 국방기술기획은 군의 미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미래 소요 무기체계의 요구능력, 국방과학기술 R&D 환경을 분석하고 중장기 기술개발이 필요한 핵심기술을 식별하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효율적인 국방과학기술 투자를 위해 개발된 기술의 무기체계 연계성이 강조되는 추세에 따라, 기존의 Bottom-up 방식의 상향식 과제기획의 제한사항을 극복하고 무기체계 개발에 소요되는 핵심기술을 선제적으로 도출하여 무기체계 적용성을 높이기 위해 Top-Down 방식의 WBS 기반 무기체계 기술분석을 통한 핵심기술과제 기획 방안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무기체계 개발 시 필요한 핵심기술의 공백을 줄이고 하나의 무기체계에서 소요되는 기술간 연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Top-Down 과제기획 방식인 하향식 무기체계 패키지형 과제기획 방안을 제안하였다. WBS 기반의 무기체계 기술분석을 적용한 과제기획 사례를 분석하기 위해 전술통신 무기체계에 대한 무기체계 패키지형 과제 기획을 수행 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향후 제안방식으로 개발되는 기술들의 무기체계 조기적용을 위하여 핵심기술 도출 시기를 단축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기술패권 경쟁 우위 확보를 위한 선택과 집중의 국방전략기술 연구

        김대원(Dae-Won Kim),감혜미(Hye-Mi Gam),김문국(Mun-Guk Kim),신인태(In-Tae Shin),이재국(Jae-Guk Lee),이일로(Il-Ro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5

        미 · 중 패권경쟁의 여파가 국가안보로 확장되면서, 선도국들은 인공지능, 양자, 우주 등 나라별로 10개 내외의 기술을 선정, 국가적 안보 역량을 집중하는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북한의 위협의 수준이 점증하는 상황에서, 우리나라도 첨단 무기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핵심기술 식별 및 집중적인 투자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진은 국가안보 유지, 미래전장 선도, 국가 과학기술 융합을 고려한 전략적 투자 및 육성이 필요한 국방전략기술을 도출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방전략기술은 대내 · 외 환경 및 국방 정책 분석, 민간/주요국/국방의 주요 기술 분석, 전문가의 기술 평가 등 과정을 거쳐 식별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과학적 방법론을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공정하고 필수적인 기술이 선별되도록 하였다. 특히, 이번 국방전략기술은 주요국 및 민간 중점기술과의 연계성을 주요 요소로 고려하여 선정하였으며, 이로 인해 전략기술 연구개발 주요 성과를 더 빠르게 파급하고, 공유할 수 있을 것 예상된다. 또한, 국방전략기술은 특정 분야의 전략적 육성을 위한 법·규제 완화 등 다방면의 국방 R&D 정책/투자 전략을 수립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As the aftermath of the US-China hegemonic competition extends to national security, leading countries are announcing strategies to focus their national security capabilities by selecting approximately 10 technologies per country, including artificial intelligence, quantum, and space. In a situation where threats, such as North Korea, are gradually increasing, Korea also needs to identify core technologies and make intensive investments to establish high-tech weapon systems. The research team attempted to derive strategic defense technologies that require strategic investment and fostering, considering national security maintenance, future battlefield leadership, and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convergence. Defense strategic technologies were distinguished through processes, such as analysis of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s and defense policies, analysis of major technologies in the private/major countries/defense sectors, and expert technology evaluations. In this process, scientific methodologies were applied in a complex manner to select fair and essential technologies. In particular, this strategic defense technology was selected, considering connectivity with major countries and private key technology as a major factor. Through this, the R&D major achievements can be quickly disseminated and shared. In addition, because of the selection of defense strategic technology, it can be used to establish consistent defense R&D strategies, such as the relaxation of laws and regulations to foster strategic development in specific fields.

      • KCI등재

        국방 핵심기술 활용성 증대를 위한 개선 방안 연구

        조일륜(Il-Ryun Cho),김찬수(Chan-Soo Kim),노상우(Sang-Woo Noh)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6

        본 다양한 위협이 대두되는 현재의 안보상황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무기체계 선정과 이를 견인할 수 있는 핵심기술 개발이 필수적인 상황이다. 북한의 핵실험, ICBM 개발 등의 안보위협이 대두되는 현 상황과 경제성장률이 둔화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경제실정을 고려했을 때, 적절한 무기체계 선정과 신속하고 효율적인 국방획득제도가 절실한 시점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적절한 무기체계 선정과 이를 견인할 수 있는 핵심기술 개발이 절실하다는 점에서 현재의 국방획득제도와 국방연구개발의 추진과정이 적절하게 진행되고 있는지 그리고 개선할 수 있는 좋은 방향을 모색하는 것에서 본 연구가 시작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의 국방연구개발이 효율적으로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고민에서 발단이 되어 핵심기술이 개발되고 무기체계에 적용되는 현황, 핵심기술의 적절한 관리, 필요한 핵심기술이 기획되고 개발되는지에 대한 조사와 분석을 진행하여 핵심기술과 무기체계 개발 간 연결고리를 분석하고, 강화할 수 있는 획득시스템의 개선방안에 대해 이론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무기체계 개발과 핵심기술 개발 간 연계성 증대가 필요하다는 점과 핵심기술의 활용성의 극대화가 제도적으로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개선방안으로는 핵심기술 및 무기체계 소요기획을 통합할 수 있도록 장기무기체계 개념기획서라는 신규문서를 통해 목표지향적인 소요기획 분위기를 형성하고, 기획의 실효성 증대를 위한 사전기획연구 제도에 대한 방안을 연구하였다. Various security threats, such as North Korea`s nuclear tests and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 developments, are becoming issues. Considering the current security situation in South Korea, proper selection of weapons and efficient defense acquisition systems are essential. In this paper, we conduct a survey and analysis of the defense core technology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weapons systems, and review whether current defense research and development is carried out efficiently. A theoretical study was conducted on ways to enhance the linkage between defense core technology and weapons systems developmen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necessity for development of weapons systems and the linking of defense core technology planning with the need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 in enhanced utilization of defense core technology were derived. We propose a method for a long-term weapons systems concept plan that integrates defense core technology planning with forces planning and pre-project research programs to improve planning efficiency.

      • KCI등재

        국방기술기획을 위한 WBS 기반 기술 조사 · 분석 방법론의 효과분석 : ‘A’ 미사일 무기체계 중심으로

        김미선(Mi Seon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12

        국방 분야의 기술기획은 무기체계 개발에 필요한 핵심기술을 식별 및 조사 · 분석함으로써 전력화시기를 만족하여 무기체계 개발 가능하도록 사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핵심기술이란, 합동군사전략목표기획서에 수록된 무기체계 또는 미래 무기체계의 국내개발 또는 생산에 필요한 고도, 첨단기술로서 선진 외국에서 개발 완료되어 기술이전을 회피하거나 국가안보차원에서 반드시 확보가 요구되는 기술을 의미한다. 과거 핵심기술개발 업무는 무기체계의 주요 작전운용성능을 기반으로 핵심기술을 도출하여 과제화하는 방식으로 수행되었으나, 이와 같은 방식으로는 주요 작전운용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체계개발 시 반드시 확보되어야하는 체계종합 기술, 기타 체계 기반기술 등을 확보 불가하다. 본 논문에서는 무기체계의 작업분할구조를 기반으로 구성품 단위에서 무기체계 개발을 위하여 반드시 확보되어야 하는 핵심기술을 식별함으로써 연구개발 시점에서의 공백기술을 방지하는 작업분할구조 기반 기술 조사 · 분석 방법론을 구체적으로 제안한다. 구체적인 과정은 대상무기체계 작업분할구조 구성, 각 품목별 국내개발현황 조사, 품목 기반 요소기술 도출 및 요소기술별 수준조사 실시, 무기체계 개발시점까지 기술수준이 확보되어야 하는 핵심기술 식별 단계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론의 효과분석은 ‘A’ 미사일 무기체계를 중심으로 제시한다. Technology planning in the defense field aims to develop core technologies in order to develop weapon systems to satisfy the force integration period by researching and analyzing necessary technologies for weapon systems. In the past, core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s were conducted by deriving core technology based on the main required operational capability. But in this case, there is the limitation that technologies which are necessary to develop weapon systems but do not directly affect required operational capability, such as system integration technologies, are not consider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work breakdown structure-based technology research and analysis methodology that prevents vacant technologies by identifying core technologies that must be secured for the development of weapon systems at the component level. With the proposed methodology, it is possible to identify technologies that must be acquired to realize the required operational capability of systems or which must be secured even they do not affect the required operational capability.

      • KCI등재

        기술수요 융합형 국방 핵심기술 과제기획 방안

        손성현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8

        첨단과학기술군 육성과 국방 연구개발 역량 강화를 위해 다양한 국방기술 연구개발사업이 수행되고 있다. 그중 핵심기술 연구개발사업은 향후 소요군에서 필요한 무기체계와 가장 밀접하게 연관이 있는 사업으로 사업의 목적과 예산의규모를 고려할 때 중요한 사업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기술로드맵에서 식별된 핵심기술과 선행연구에서 식별된 핵심기술이 일치하지 않아 무기체계 연구개발사업에 지연이 발생하여 무기체계의 적기 전력화에 지장을 주는 요소가 식별되었다. 또한, 상향식 과제기획의 경우 2022년 공모된 418개의 과제 중 공모대상기술에 부합하지 않는 공모과제수가 293건이었다. 이는 기술로드맵에서 도출한 공모대상기술이 주요 과제제기기관인 산학연의 기술수요를 제대로 반영하지 않고 있음을 나타낸다. 핵심기술 연구개발사업 예산의 경우, 기존 핵심기술 과제기획 절차에 따라 미기획 과제에 대한 예산 요구를 수행하여 예산의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처럼 현재 핵심기술 연구개발사업은 무기체계 적용성과 예산의 체계성측면에서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국가연구개발사업에서 활용되고 있는 기술수요조사를 현 핵심기술 사업기획 체계에 접목하여 기술 로드맵을 고도화하는 기술수요 융합형 핵심기술 과제기획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기존 기술 로드맵에서는 식별하지 못하였던 핵심기술을 식별하고 로드맵에 반영하여 무기체계 적용성을 제고할 수 있고, 기존 상‧ 하향식 과제기획에서 발생하였던 미기획 과제를 방지함으로써 예산 요구의 체계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