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당근 종모 형질 관련 EST profiling과 이를 이용한 EST-SSR 및 SNP 마커 개발

        오규동(Gyu-Dong Oh),황은미(Eun-Mi Hwang),심은조(Eun-Jo Shim),전상진(Sang-Jin Jeon),박영두(Young-Doo Park) 한국원예학회 2010 원예과학기술지 Vol.28 No.6

        당근(Daucus carota L. var. sativa)은 세계적으로 널리 이용되는 작물 중 하나이다. 또한 Vitamin A의 전구체인 β-carotene의 함량이 높아 영양적으로도 주요한 작물이다. 하지만 종자 표피세포에서 생성되는 종자모는 종자발아시 흡수를 저해하며 발아를 억제하여 기계적인 제모작업을 거쳐 상품화되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가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무모종자 당근 품종의 육종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단모종자 표현형 CT-ATR615 OP 666-13 개체와 control 유모종자 표현형 CR-ATR615 OP-CK1-9개체의 종자 cDNA library를 작성하여 EST sequence비교를 통해 표현형의 차이에 따라 종자모 형성에 관련하여 발현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BlastX 결과를 바탕으로 개체간 동일한 결과를 제외한 EST sequence를 각각 FunCat 기능별 category로 분류하였다. Metabolism category에서 단모종자표현형 개체가 오히려 유모종자 표현형 개체보다 높은 발현량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단모 및 장모종자 개체간의 protein folding and stabilization, subcellular localization category에서 나타난 뚜렷한 발현량 차이는 종자모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또한 분석된 EST sequece를 바탕으로 개체별로 각각 50개 및 59개의 SSR site를 확인하였으며, 각각 2개씩의 SNP site를 확인하였다. 이들 SSR 및 SNP site의 primer 작성하여 마커로 개발하였으며, 이를 종자모 형성에 관련된 분자마커 개발에 이용하는 것은 물론 당근의 계통 분류 및 여러가지 형질 관련 분자마커 연구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Carrot (Daucus carota L. var. sativa)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crops in the world. Moreover it is an important crop because of its high content of β-carotene, well-known as the precursor of vitamin A carotenoid. However, seed-hair which is generated in epidermal cell of seeds inhibits absorption and germination. For that reason, carrot seeds are commercialized after mechanical hair removal process. To overcome such cumbersome weaknesses, new breeding program for developing hairless-seed carrot cultivar has been needed. Therefore, in this study, cDNA libraries from seeds of short-hair seed phenotype CT-ATR615 OP 666-13line and hairy seed CT-ATR615 OP-CK1-9 line were constructed and expression patterns related to generation of seed-hair were analyzed by comparison of EST sequences. Differential EST sequence results between two lines were classified into FunCat functional categories based on the results of BlastX search. Higher expression quantities belonging to metabolic category were shown on short-hair seed line than hairy-seed one. Differential expression quantities between those two lines in the protein folding and stabilization, subcellular localization categories were supposed to contribute variously on the generation of seed-hair. We confirmed 50 and 59 SSR sites, and 2 SNP sites by analyzing EST sequences in two lines; thereafter, we designed SNP and SSR primer sets from these EST sequence information as a molecular marker. These markers are thought to be used in research of molecular markers for classification of carrot family and related to various traits, as well as seed-hair characteristic.

      • KCI등재

        당근 종모 형질 관련 cDNA Library 작성 및 EST 분석

        오규동(Gyu-Dong Oh),심은조(Eun-Jo Shim),전상진(Sang-Jin Jun),박영두(Young-Doo Park) 한국원예학회 2013 원예과학기술지 Vol.31 No.6

        당근(Daucus carota L. var. sativa)은 세계적으로 널리 이용되는 작물 중 이며, 영양학적으로도 중요한 작물이다. 하지만, 종자 표피세포에서 생성되는 종자모는 발아를 억제하고 흡수를 저해하여 육묘에 어려움을 야기한다. 이러한 어려움을 타파하기 위해 당근 종자는 기계적인 제모작업을 거쳐 상품화 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생산상의 여러 가지 단점들이 발생하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단모종자 당근 품종의 육종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단모종자 표현형 CT-ATR 615 OP 666-13개체와 장모종자 표현형 CT-ATR 615 OP 671-9개체 및 단모종자 표현형 CT-SMR 616 OP 659-1 개체와 장모종자 표현형 CT-SMR 616 OP 677-14개체 등 두 조합의 종자 cDNA library를 작성 후 EST 염기서열의 비교분석을 통해 당근 종자모 형질관련 연구에 이용하고자 하였다. 첫째로 EST 염기서열의 BlastX 결과를 바탕으로 각각의 EST를 FunCat 기능별 category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Metabolism category와 protein folding 및 stabilization, protein binding, C-compound binding category에서 2조합 모두 동일한 유의적인 차이를 확인하였다. 두 번째로 EST 염기서열의 GO data를 바탕으로 seed trichome differentiation 및 cellulose biosynthetic process에 관련된 EST를 선발하였다. 이러한 FunCat category에서의 차이점과 GO data 분석을 통해 확인된 후보 EST 들이 당근 종자모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분석된 개체 별 EST 염기서열을 바탕으로 33개의 SNP site, 741개의 SSR site를 확인하였다. 확인된 SNP 및 SSR site는 당근 종자모 형성에 관련된 분자마커 개발에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 당근의 여러 형질에 대한 연구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Carrot (Daucus carota L. var. sativa)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crops in the world and is nutritionally important crop. However, seed-hair which is generated in epidermal cell of seeds causes the difficulty of the seedling process, because of the seed germination and absorption inhibitions. For these reasons, carrot seeds are commercialized after mechanical hair removal process. However, in this process, various damage and seed loss occur and breeding of hairless-seed carrot cultivar is needed to overcome these various weaknesses and additional seed production costs. In this study, cDNA libraries using 2 combinations, which were composed of short-hair seed CT-ATR 615 OP 666-13 & long-hair seed CT-ATR 615 OP 671-9, and short-hair seed CT-SMR 616 OP 659-1 & long-hair seed CT-SMR 616 OP 677-14, were constructed and EST sequences of each individuals were analyzed to reveal carrot seed-hair characteristics. Firstly, analyzed EST sequences were classified into FunCat functional categories. As a result, significant differences have been identified in metabolism category, protein folding and stabilization, protein binding, C-compound binding category from both of two combinations. Secondly, several candidate EST sequences related to seed trichome differentiation and cellulose biosynthetic process were selected based on GO data of EST sequences. These differences based on FunCat categories and candidate EST obtained by GO data analysis are thought to be involved in the formation of carrot seed hair. Finally, 741 SSR sites and 33 SNP sites were identified from analyzed EST sequences of two combinations. Then we designed SNP and SSR primer sets to develop molecular markers. These molecular markers will be used for classification of carrot cultivars and study seed-hair characterist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