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악적 말년성: 담론과 실천

        조현리 ( Cho Hyunree )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21 이화음악논집 Vol.25 No.1

        이 논문은 비판적 관점에서 음악적 말년성 개념을 탐구한다. 논문은 먼저 음악분석과 아도르노의 ‘말년의 양식’ 개념 사이의 상호작용을 고찰하고, 최근 음악학에서 사이드의 ‘말년의 양식’ 개념이 수용되는 방식을 살펴본다. 또한 음악적 말년성 담론의 대표적인 텍스트인 “베토벤의 말년 양식”(1937)을 비롯한 아도르노의 텍스트를 비판이론의 시각에서 재해석하는 과정을 통해, 다채로운 스펙트럼을 구성하는 베토벤적 말년성 개념의 역동적 측면과 일관된 미학적 지향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마지막으로 최근의 말년성 담론에서 나타나는 여러 비판적 경향을 분석함으로써 음악적 말년성 개념의 문제적 측면을 검토하고, 음악적 말년성 담론이 어떤 의미에서 현재의 음악학적 실천을 위한 메타담론으로 기능할 수 있는지를 묻는다. 궁극적으로 이 논문은 음악적 말년성을 비롯한 문제적 개념의 수용과 적용에 영향을 끼치는 음악학적 담론과 실천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고자 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concept or musical lateness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It first examines the interaction between music analysis and the notion of late style, and investigates the recent reception of Edward Said’s concept of late style within musicological studies. Analyzing Adorno’s seminal essay, “Late Style in Beethoven” (1937) and other writings on the composer’s late style from a perspective of Critical Theory, the paper explicates the dynamic nature and intentionality of the idea of Beethovenian lateness. The paper then delves into the current discourse of musical lateness in which various critical perspectives are applied to the concept of musical lateness. Ultimately, the paper trie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ological discourse and practice that impinges upon the reception and application of problematic musicological concepts such as musical lateness. It discusses whether the discourse of musical lateness can serve as a meta-discourse for present musicological practices.

      • KCI등재

        음악교수법연구 : 베토벤 후기 피아노 소나타 Op. 101 3악장, Op. 106 4악장, Op. 110 3악장에 대한 분석적 비교

        손선호 ( Sunho Son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4 음악교수법연구 Vol.13 No.-

        본 연구는 베토벤 후기 작곡시기의 독창적인 작곡기법에 대한 고찰 및 Op. 101, Op. 106, Op. 110 피아노 소나타 마지막 악장의 분석을 통해 베토벤 후기 소나타의 마지막 악장에 호모포니(homopony)적 요소와 폴리포니(polyphony)적 요소를 결합시키고 다양하게 발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고 이러한 요소의 결합이 일반적인 푸가기법과 어떻게 다른지를 분석하여 연주자들의 악곡해석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또한 베토벤의 초기, 중기, 후기 작곡시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소나타의 작곡기법을 이해함과 동시에 Op. 101, Op. 106, Op. 110 각각의 소나타에서 보여 지는 상반되는 두 요소인 호모포니와 폴리포니적 요소의 결합이 하나의 새로운 형식으로 자리매김 된 것을 알아 가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atch Beethoven``s unique compositional style in his late period, and analyze the last movement of Op. 101, Op. 106 and Op. 110. In this study, I carefully researched each last movement and found out that there were many possibilities to combine the homophonic and polyphonic techniques. For example, the homophonic style and the polyphonic style exist as an independent movement, and each style being diverse. During Beethoven``s early period, he was inspired by Mozart, and most of his works show a classical tradition. Unlike Beethoven``s early works, the unique and with non-tradition of features (use of variation, contrapuntal textures, non-traditional movement plans, and the development of theme and motives) occurred in his late period works. Furthermore, Beethoven combined the thematic unity of the Fugue, and a firm structure of sonata form in the last movement of Op. 101, Op. 106 and Op. 110. Therefore, this thesis suggested that Beethoven created a new form; a polyphonic and homophonic style were both contrasted with each other, and in harmony to each other.

      • KCI등재

        베토벤의 후기 피아노 소나타에서 나타나는 변주 기법 연구

        정희원 서울대학교 서양음악연구소 2018 음악이론연구 Vol.30 No.-

        Whereas a theme-and-variations movement had been considered a less important movement in a multi-movement piece, Beethoven grants a new status to this form by concluding a large-scale work with a slow variation movement. This study focuses on the last movements of Piano Sonatas Op. 109 and Op. 111. These variation sets show that Beethoven relied on primary elements of tonal relationships for musical materials and creates large-scale movement from those basic ideas. Also remarkable is the way he unfolds variations with those materials. The variation form is transformed into a large-scale organic structure with a new level of complexity, as Beethoven integrates variations with the individual formal designs. Beethoven makes listeners participate in a dramatic procedure of the variation-set by adding the feeling of release that comes with the return of the theme. These features in the variations sets remind us of the important concept of Beethoven’s late style, continuity and synthesis. 본 연구는 베토벤의 후기 피아노 소나타 중 작품번호 109와 111의 마지막 악장에서 주제와 변주 형식이 사용된 것에 주목하여, 이 곡들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변주 기법이 사용되었는지 고찰한다. 두 변주곡 악장에서 주목할 점은 음악 재료에 있어서 조성 언어의 매우 기본적인 요소를 택해 변주곡 전체를 발전시킨다는 점이다. 즉, 변주가 진행됨에 따라 텍스처는 달라지더라도 주제의 아이디어는 단순하고 기본적인 형태로 제시된다. 또한 이 두 변주곡의 형식적인 측면을 보면 극적인 구성이 결합되어 마지막 주제가 원래의 형태로 돌아올 때 긴장의 해결감을 준다. 이는 각각의 변주가 서로 연결될 뿐 아니라 변주곡 악장 전체가 하나의 유기적이고 극적인 구조로 짜여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 KCI등재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Op. 101》에 대한 기호학적 해석 또는 탐정 보고서

        박유미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19 이화음악논집 Vol.23 No.1

        Beethoven Piano Sonata Op. 101 was written in 1816 and it is considered as the first sonata of his late style. This work is much deviated from conventional sonata writing, as exemplified by the intimidate and condensed form of first movement, unexpected returning of the first movement’s thema at the finale as well as the interpolated fugato in the development of the finale. Consequently, normal mode of the analysis is not sufficient to grasp the whole richness of this work. In this paper I try to interpret the work with the aids of 3 distinct scholars (or detectives). It has done by a new strategy, namely semiotic approach, expecting to broaden the scope of the analysis as well as bringing an expressive reading of this music. It can be summarized as having three main issues as the pastoral character, Fantasie-like form and the improviser’s own voice. Finally, these features are overall examined with details. 본 글은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Op. 101》의 해석을 통해 베토벤 후기의 작품양식 경향과 그 배경에 놓인 작곡가의 창작 상태를 이해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쓰였다. 이 곡은 베토벤의 창작이 잠시 위축되었던 1816년 작곡된 곡으로 그의 피아노 소나타들 가운데서 후기 양식을 여는 첫 작품이 된다는 점에서 연구의 가치가 있다. 형식적인 면에서 기존의 소나타 관습에서 많이 벗어나 있는 이 작품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전통적 방식의 분석의 틀에 의해서보다는 작곡가의 내면적 이해와 그것을 음악에 담는 방식을 탐구하는 연구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글에서는 이러한 의도로 기호학적 접근 방식을 취하여 작품의 곳곳에 숨겨져 있는 표현적 단서들을 포착하고 그것을 해명하고자 하였다. 음악 기호에 대한 이해는 서양 음악 문화에 대한 깊은 지식을 요하므로 베토벤 그리고 기호학 전문가들(탐정)의 해석을 빌어 왔고 이를 토대로 작품의 의미를 재구성해 보았다. 여기에서 드러나는 3가지 키워드는 이 소나타의 전원적 성격, 환상곡적 성격, 그리고 즉흥연주자로서의 베토벤의 목소리로 요약할 수 있다. 종합 검토에서는 이들 각각의 성격에 대한 타당성이 검토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