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ffect of three nanobiomaterials on microhardness of bleached enamel

        Maryam Khoroushi,Farinaz Shirban,Sara Kaveh,Samaneh Doustfateme, 대한치과보존학회 2016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41 No.3

        Objectives: The aim of this in vitro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incorporating three different nanobiomaterials into bleaching material on microhardness of bleached enamel. Materials and Methods: The crowns of 24 extracted sound human molars were sectioned. Sixty enamel specimens (2 × 3 × 4 mm)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five groups (n = 12): Group 1 received no bleaching procedure (control); Group 2 underwent bleaching with a 40% hydrogen peroxide (HP) gel; Groups 3, 4, and 5 were bleached with a 40% HP gel modified by incorporation of bioactive glass (BAG), amorphous calcium phosphate (ACP) and hydroxyapatite (HA), respectively. The enamel microhardness was evaluated. The differences in Knoop microhardness data of each group were analyzed by one-way ANOVA, followed by post hoc Tukey tests.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study groups. The enamel microhardness changes in Groups 1, 3, 4, and 5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Group 2 (p < 0.001). Conclusions: Withi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incorporation of each one of the three tested biomaterials as remineralizing agents might be effective in decreasing enamel microhardness changes subsequent to in-office bleaching.

      • KCI등재

        Effect of three nanobiomaterials on microhardness of bleached enamel

        Khoroushi, Maryam,Shirban, Farinaz,Kaveh, Sara,Doustfateme, Samaneh The Korean Academy of Conservative Dentistry 2016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41 No.3

        Objectives: The aim of this in vitro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incorporating three different nanobiomaterials into bleaching material on microhardness of bleached enamel. Materials and Methods: The crowns of 24 extracted sound human molars were sectioned. Sixty enamel specimens ($2{\times}3{\times}4 mm$)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five groups (n = 12): Group 1 received no bleaching procedure (control); Group 2 underwent bleaching with a 40% hydrogen peroxide (HP) gel; Groups 3, 4, and 5 were bleached with a 40% HP gel modified by incorporation of bioactive glass (BAG), amorphous calcium phosphate (ACP) and hydroxyapatite (HA), respectively. The enamel microhardness was evaluated. The differences in Knoop microhardness data of each group were analyzed by one-way ANOVA, followed by post hoc Tukey tests.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study groups. The enamel microhardness changes in Groups 1, 3, 4, and 5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Group 2 (p < 0.001). Conclusions: Withi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incorporation of each one of the three tested biomaterials as remineralizing agents might be effective in decreasing enamel microhardness changes subsequent to in-office bleaching.

      • KCI등재

        칼슘 포스페이트 골 시멘트에서의 테트라사이클린 방출 거동

        홍민호,김경남,김광만,이용근 大韓齒科器材學會 2009 대한치과재료학회지 Vol.36 No.3

        골 시멘트 자체 기능 외의 특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조성의 비정질 칼슘 포스페이트 분말을 개발하였다. 이 분말로 만든 골 시멘트에서의 테트라사이클린 방출 거동은 두 가지 항생제 담지 방법으로 비교하였고, 이 전 논문에서 이미 입증된 조성의 브러샤이트계 시멘트와도 비교하였다. 첫 번째 담지 방법은 시편의 마이크로 기공에 의해 발생하는 삼투압 현상으로 항생제 약물에 시편을 담그어 담지시키는 방법이고, 다른 방법은 분말과 항생제를 용해시킨 액상을 섞 는 방법이다. 비정질 칼슘 포스페이트 분말은 유리 제조의 전형적인 방법인 용해 후 급냉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얻은 비정질 칼슘 포스페이트 유리를 갈아서 얻었다. 시멘트 페이스트를 섞을 때 중합열이 없기 때문에, 우리는 테트라사이클 린의 변성없이 골 시멘트 시편을 만들 수 있었다. 골 시멘트로부터의 테트라사이클린 방출 시험은 6일 간 진행되었고, 그 결과 첫 번째 항생제 담지 방법으로 만든 시편보다 두 번째 방법으로 만든 시편으로부터 테트라시이클린 방출이 더욱 지속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항생제 담지에 따른 물리적 성질의 변화를 고려하여 압축강도 시험을 하였다. 그 결과 테트 라 사이클린을 담지한 시편과 그렇지 않은 시편과의 통계학적 유의차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새로 운 조성의 비정질 칼슘 포스페이트 시멘트는 다른 재료의 골 이식재처럼 생물학적 인자 혹은 약물 전달 시스템에 있어서 충분한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Release of Tetracycline from Calcium Phosphate Glass Bone Cement

        홍민호,김경남,김광만,이용근 대한치과재료학회 2009 대한치과재료학회지 Vol.36 No.3

        골 시멘트 자체의 기능 외의 특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조성의 비정질 칼슘 포스페이트 분말을 개발하였다. 이 분말로 만든 골 시멘트에서의 테트라사이클린 방출 거동은 두 가지 항생제 담지 방법으로 비교하였고, 이 전 논문에서 이미 입증된 조성의 브러샤이트계 시멘트와도 비교하였다. 첫 번째 담지 방법은 시편의 마이크로 기공에 의해 발생하는 삼투압 현상으로 항생제 약물에 시편을 담그어 담지시키는 방법이고, 다른 방법은 분말과 항생제를 용해시킨 액상을 섞는 방법이다. 비정질 칼슘 포스페이트 분말은 유리 제조의 전형적인 방법인 용해 후 급냉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얻은 비정질 칼슘 포스페이트 유리를 갈아서 얻었다. 시멘트 페이스트를 섞을 때 중합열이 없기 때문에, 우리는 테트라사이클린의 변성없이 골 시멘트 시편을 만들 수 있었다. 골 시멘트로부터의 테트라사이클린 방출 시험은 6일 간 진행되었고, 그 결과 첫 번째 항생제 담지 방법으로 만든 시편보다 두 번째 방법으로 만든 시편으로부터 테트라시이클린 방출이 더욱 지속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항생제 담지에 따른 물리적 성질의 변화를 고려하여 압축강도 시험을하였다. 그 결과 테트라사이클린을 담지한 시편과 그렇지 않은 시편과의 통계학적 유의차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들로 토대로 새로운 조성의 비정질 칼슘 포스페이트 시멘트는 다른 재료의 골 이식재처럼 생물학적 인자 혹은 약물 전달 시스템에 있어서 충분한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