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IMSS 2019의 8학년 화학 영역과 우리나라 과학 교육과정의 비교 분석

        김현경 대한화학회 2020 대한화학회지 Vol.64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ight topics in TIMSS 2019 8th grade chemistry domains and the Korea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For this purpose, four elementary and four secondary teachers participated in physics, chemistry, biology and earth science majors, and two science education experts participated in analyzing in which grades the content elements of the TIMSS 2019 science framework are covered in the Korean science curriculum. The study also analyzed whether the content of the Korean science curriculum matches the 246 items of 8th grade in the TIMSS 2019 assessment and reflects in which grades the eight topics are cove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TIMSS 2019 evaluation topics, topics not covered at all in the Korean middle school curriculum were periodic table, matter and energy in chemical reactions, the role of electrons in chemical bonds. Second, the topic of "the periodic table as an organizing principle for the known elements" needs to be introduced in the Korean middle school curriculum, and topics such as “familiar exothermic and endothermic reactions" and "factors affecting the reaction rates" need to be discussed in consideration of the flow of international curricula. Third, the next science curriculum should be structured so that the sequence of chemistry contents and scope, especially core concepts to be included in the elementary, secondary, and higher education curriculum is linked to continuity. 본 연구의 목적은 TIMSS 2019 중학교 화학 영역의 8개 주제를 우리나라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및 2015 개정 과학 과 교육과정에서 다루고 있는지 연계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교사 4명과 중학교 교사 4명은 각각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전공별로 참여하여 총 8명의 현장교사와 과학교육 전문가 2명이 참여해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 중 TIMSS 2019 과학 평가틀의 화학 내용이 어느 학년에서 다루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TIMSS 2019 평가에서 8학년 대상의 246 개 문항과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 내용이 일치하는지 분석하여 8개 주제가 어느 학년에서 다루고 있는지도 분석에 반영하였 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TIMSS 2019 평가 주제 중에서 우리나라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전혀 다루고 있지 않는 주제는 주기율표, 화학 반응에서 물질과 에너지, 화학결합에서 전자의 역할이었다. 따라서, ‘원소를 규칙에 따라 배열하는 주 기율표’에 대한 주제는 우리나라 중학교 교육과정에 조기 도입할 필요가 있다. 둘째, ‘주변의 발열 반응이나 흡열 반응’, 그리고 ‘반응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등에 관한 주제도 국제적인 흐름을 고려하여 우리나라 중학교 교육과정에 조기 도입하거나, 수 준을 고려하면서 내용 등을 재구성하는 논의가 필요하다. 셋째, 차기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화학 내용과 범위, 특히 초·중학교 및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 포함될 개념의 범위와 순서가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것 등과 관련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

        TIMSS 2019의 중학교 과학 평가틀과 우리나라의 과학 교육과정 비교 분석

        김현경(Kim Hyun-Kyung),임희준(Lim Heej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8

        본 연구에서는 TIMSS 2019의 8학년 평가틀과 우리나라 2009 및 2015 과학과 교육과정을 비교하여 그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생명 영역에서 우리나라 교육과정과 TIMSS 2019 과학 평가 목표 사이의 차이가 가장 많았으며, 물리 영역에서는 TIMSS 2019 과학 평가 목표 중 우리나라 중학교 과학교육에서 다루지 않는 내용은없어 교육과정상 일치도는 가장 높았다. TIMSS 2019 평가틀의 8학년 생물 영역의 평가 목표 중에서 우리나라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전혀 다루고 있지 않는 내용은 ‘생 물의 특성과 생명 활동’에서 인간과 기타 척추동물 간의 기관과 기관계 비교‧대조,생태계에서의 에너지 흐름과 개체군이나 생물 사이의 공생, 개체군의 크기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그리고 건강 관련 목표들이었다. 화학 영역의 평가 목표 중에서 우리나라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전혀 다루고 있지 않는 목표는 ‘원소 주기율표’, ‘물리적 성질과 화학적 성질의 구분’, ‘화학 반응 속도’, ‘화학 결합’ 등이다. 이들 내용들은 우리 나라에서는 모두 고등학교 과정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이다. 지구과학 영역의 평가 목표 중에서는 지구의 자원과 관련된 내용이 주로 다루어지지 않고 있어 교육과정 개정 시 이들 내용에 대한 포함 여부와 정도에 대한 논의들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compared TIMSS 2019 science framework and Korean 2009 revised, and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for 8th grade. The content-domain that has mis-matching topics the most was biology. In physics domain, all the topics in TIMSS 2019 contained in Korean science curriculum. The biology topics that did not contained in Korean science curriculum were ‘comparison and contrast major organs and major organ systems in humans and other vertebrates’, ‘The flow of energy in ecosystems’, Interdependence of populations of organisms in an ecosystem’, ‘Factors affecting population size in an ecosystem’, and health related topics. In chemistry domain, the topics of ‘The periodic table of elements’,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matter’, ‘ rate of reaction’, and ‘chemical bonds’ were not included in Korean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um. In earth science domain, the topics of ‘Earth’s resources, their use, and conservation’ were not mostly included in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um. Considering the significance of the frameworks for international analysis, these un-matching topics are needed to be discussed for next curriculum revi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