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맹자 윤리사상의 특징 - 良心을 중심으로

        김상래 동양고전학회 2013 東洋古典硏究 Vol.0 No.52

        인간은 사회를 구성하여 자신의 삶을 영위해 가는 존재이다. 그리고 그 사회 속에서 윤리 도덕적으로 올바른 행위를 추구하고자 한다. 이때 어떤 행위가 올바른지에 대해 윤리도덕적 판단이 수반하게 된다. 동양의 유가사상은 이런 문제들에 대해 오래 동안 많은 논의를 전개 해 온 학문적 전통을 지니고 있다. 공자의 학설을 정통으로 계승하였다고 인정받고 있는 맹자의 윤리사상은 인간을 윤리적 존재로 파악하는 것에서 논의가 전개된다. 맹자의 사유의 근저에는 인간은 선천적으로 도덕적 마음(良心)을 지니고 있는데, 이것이 바로 인간과 다른 동물을 구별하는 본질적 특징이며, 윤리도덕을 실현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동기라는 생각이 자리하고 있다. 맹자가 설명하는 윤리도덕의 학설과 이론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맹자가 인간의 윤리도덕을 설명하는 방법에 ‘良心’이라는 용어를 최초로 도입하였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에 의하면, 이 良心은 인간의 마음에서 나오는 것으로 생득적으로 善한 것으로 규정된다. 이런 사유방식을 토대로 그는 性善說로 자신의 윤리적 논의를 확대시킨다. 맹자의 윤리사상의 구조 속에서 良心과 性善說은 仁義禮智라는 도덕적 가치와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다. 맹자의 윤리설은 良心에 대한 존재를 확인시키는 것에서 시작하여, 인간의 본질적 성품은 착하다는 것으로 전개되며, 仁義禮智라는 인간의 대표적인 도덕적 덕목들을 실현하는 것이 삶의 목표가 되어야 한다는 것으로 요약될 수 있다. This paper is focus on reading the characteristic and structure of the Mencius' moral theory. Mencius had taken a step to analysis on the innate emotional mind at first. That mind have a moral characteristic of human given by the heaven, with connected with the goodness. Mencius had thought that human nature is intrinsically good, the moral doing is the ability to do get the four moral value like the inherent morality of human being which driven by the moral mind. In this paper, I have presented Mencius' moral theory firstly based on the the universe is a moral universe is a given. Humans are situated in this moral universe, from which we derive our own morality. Mencius like Confucius talk about ‘Heaven’s Mandate’—the moral commandment from Heaven. Mencius said that Nature does not have moral attributes; rather, Nature is rendered moral by humans’ moralistic interpretation. Mencius insisted that morality is merely determined by human conventions and that there are no moral truths independent of human judgments and beliefs. And in the Mencius' moral theory our human society is a combined intellectual quest. The understanding of one’s moral essence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moral essence of the universe can complement each other.

      • KCI등재

        일반논문 : 맹자(孟子) 성선설(性善說)의 근거-량심(良心)

        김상래 ( Sangrae Kim ) 온지학회 2015 溫知論叢 Vol.0 No.45

        공맹이후 유학사상에서 인간은 배우는 존재이며, 도덕적인 존재로 정의된다. 공자의 사상이 집약된 <「논어(論語)」>가 학습의 문제에 대한 언급으로 시작되며, 인간의 윤리적 행위의 올바름에 대한 내용들이 주로 포함되고 있다는 사실을 인정한다면, 인간을 배움의 존재와 윤리도덕의 실천자로 규정하는 것은 공자 이래 유학사상의 주요한 학문적 전통이라고 할 수 있다. 공자는 인간의 어떤 행위가 최고의 도덕적 규범인 <인(仁)>에 해당하며, 인간의 이상적 윤리적 목표를 현실사회에서 실현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에 관한 다양한 담론들을 우리들에게 제공하였다. <맹자(孟子)>는 윤리 도덕적 행위의 심리학적이고 철학적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공자 이래의 유가사상의 학문적 깊이를 보완한 사상가이다. 그는 성품(性)과 마음(心)의 문제에 대한 해명으로부터 인간의 도덕적 문제를 해결하고 윤리적인 사회를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깊이 있는 논의 를 전개하였다. <성선설(性善說)>의 확립과 마음에 대한 깊이 있는 해명들이 이에 속한다. 맹자가 인간의 윤리도덕적 문제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한 인성론의 구조에는 마음과 성품의 관계에 대한 문제가 중심을 이루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논문은 유학의 인간 이해에 대한 정통적 이론으로 평가되는 맹자성선설의 근거에는 마음에 대한 다양한 분석, 특히 ‘<양심(良心)>’이라는 개념을 창출하여 인간의 윤리 도덕적 행위를 설명하는 방식이 엄존해 있음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위한 방법론으로 맹자의 인간이해와 윤리이론의 중심을 이루고 있는 인성론과 심성론의 주요 문제들을 ‘양심’과의 연계라는 관점에서 해명하였다. 논자는 이미 이 주제와 관련있는 선행연구(「맹자 윤리사상의 특징」- 良心을 중심으로(「동양고전연구」(제52집), 2013)를 발표하였다. 이 논문은 이 연구성과를 원용하면서 성선설로 대표되는 맹자 윤리학설을 이해하는 핵심적 개념으로 ‘양심’을 제시하고, ‘양심’이 맹자 윤리사상의 핵심인 성선설의 철학적 근거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방법 및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전국시대의 사상가인 맹자(372∼ 289B.C.)가 ‘양심’이라는 개념을 최초로 유학사상에 등록시켰으며, 이후 ‘양심’이라는 용어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철학과 심리학, 그리고 윤리학의 주요 학술용어로 사용되고 있으며, 둘째, 맹자의 사상체계 속에서 ‘양심’은 유가사상의 대표적인 도덕적 덕목인 <인의예지(仁義禮智)>와 깊은 연계를 이루고 있음을 해명하고자 한다. 셋째, 성선설을 주창하는 맹자의 사유구조에서 도덕적 마음의 의미를 <사단(四端)>과 <사덕(四德)>으로 분배하여 설명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성선설의 이론적 해명을 위해 ‘양심’과 ‘성선’의 윤리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This paper is focused on reading the conscience of the system in Mencius`` moral theory. In confucian tradition Mencius had shown to us the innate emotional good mind for developing moral act of human at first. That proper and good mind(良心) by Legge``s translation is connected with the human good nature. Mencius had thought that human nature is intrinsically good, the moral doing is the ability to do get the four moral value like the inherent morality of human being which driven by the moral mind. In this paper, I have presented Mencius`` moral theory which based on the proper and good mind(良心). Mencius had firstly originated the concept, the proper and good mind(良心) in his writing. This concept is mainly used to elaborate the basis of human moral act in nowadays. Mencius said that Nature (性) is rendered moral by humans’ moralistic interpretation. Mencius insisted that morality is merely determined by human mind and that there are no moral truths which is independent of human judgments and beliefs. In this point, in the Mencius`` moral theory the moral mind had the essential status for understanding the moral issues of human a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