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간표상의 유형 및 공간관계에 따른 1, 2세 영아의 공간표상능력

        김영실 ( Kim Young-sil ),최진숙 ( Choi Jin-suk ),고은실 ( Ko Eun-sil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연구 Vol.38 No.4

        본 연구는 공간표상의 유형 및 공간관계에 따라 1, 2세 영아의 공간표상능력은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으로 전라북도 G시에 소재한 2개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1, 2세 영아 40명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 2세 영아는 공간표상이 비디오일 때보다 사진일 경우 공간표상능력이 높았다. 1세보다 2세가 더 높게 나타났으나, 영아 간 개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1, 2세 영아는 위상적 과제보다 위상적 개념이 반영되지 않은 기본과제에서 공간표상능력이 높았다. 1세보다 2세가 더 높게 나타났으나, 영아 간 개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1, 2세 영아의 공간표상능력은 공간표상 의 유형 및 공간관계에 따라 연령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공간표상이 비디오인 경우에 위상적 과제에서 연령 간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patial representation ability of 1 and 2-year-old infants according to spatial representation types and spatial relationships. 40 infants aged 1 and 2 were selected for the study in two day care centers in G city, Jeollabuk-d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1 and 2-year-old infants exhibited a higher spatial representation ability when the space representation was presented to them in the form of photograph than as a video. 2-years-old infants showed higher spatial representation ability than 1-year-old infants, but there were a large individual differences between infants. Second, the infants displayed a higher spatial representation ability in basic tasks which did not reflect topological concept than with those involving topological task. 2-years-old infants showed higher spatial representation ability than 1-year-old infants regarding topological concept as well, but there were a large individual differences between infants. Third, the infants’ spatial representation ability showed no difference according to spatial representation types and spatial relation. However, when the spatial representation was in the form of video, there was significant age-related result in the topological task.

      • KCI등재

        표상물과 참조공간의 공간관계에 따른 3, 4세 유아의 공간표상

        민미희 ( Mi Hee Min ),이순형 ( Soob Hyung Yi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연구 Vol.32 No.6

        이 연구는 공간관계에 따른 유아의 공간표상을 살펴보기 위해 유아기에 위상적, 사영적, 유클리드 공간관계에 대한 이해가 동시에 발달하는지에 대한 이론적 논쟁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유아의 공간표상이 표상물의 종류, 즉 모형과 지도에 따라 다른 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3세 유아 40명, 4세 유아 40명, 총 80명이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의 공간관계에 대한 이해는 위상적, 사영적, 유클리드 공간관계의 순서로 발달하는 것이 아니라, 유아기에 동시에 나타나서 점차 심화되고 발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표상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위상적 공간관계, 사영적 공간관계(방위, 각도), 유클리드 공간관계(축척)에 대해 3세 유아도 기초적인 이해가 가능하였다. 4세 유아는 더욱 더 향상된 능력을 보여주었다. 둘째, 유아의 공간관계에 대한 이해는 공간관계의 특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유아는 위상적 공간관계를 포함할 때가 위상적 공간관계를 포함하지 않을 때에 비해 공간표상이 더 낮았고, 표상물과 참조공간이 0도, 90도, 180도 방위로 회전되어 배치될수록 공간관계 이해에 어려움을 겪었다. 또한 1:7 축척의 표상물보다 참조공간을 더 작게 축소한 1:16 축척의 표상물 이해가 더 어려웠다. 셋째, 공간관계에 따른 유아의 공간표상은 표상물 종류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이 연구는 유아의 공간표상 발달에 있어 3세와 4세가 중요한 시기임을 밝혔고, 3세에 위상적 공간관계, 사영적 공간관계, 유클리드 공간관계에 대한 이해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4세경에 보다 안정적으로 발달한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공간관계에 대한 이해가 유아기에 동시에 나타나서 점차 통합되어지고 발달되어진다는 사실을 밝혔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children`s spatial representation and understanding of spatial relations between the spatial product and the reference space, and to examine whether these effects differ in accordance to both types of spatial product (scale model, map). Participants were 40 three-year-olds and 40 four-year-olds. Study results reveal that both three-year-olds and four-year-olds can understand the spatial relations between the spatial product and the reference space (topological, projective, Euclidean). Even three-year-olds can identify various analogous locations (topological spatial relations) and understand viewing azimuth when the scale model (or map) and the referent space are misaligned by 90° or 180°; they can also understand viewing angle, that is, the vantage point along the vertical dimension, as in viewing a space from directly overhead as well as oblique viewing angles. They also understand scale, that is, the ratio between the size of the referent space and scale model (or map) from 1:7 scale to 1:16 scal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ildren`s spatial representa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spatial product (scale model, map). Most importantly, the results reveal that the children`s spatial representation and understanding of spatial relations between the spatial product and the reference space is developmental and that spatial representation and understanding of spatial relations between spatial product and reference space develop gradually from when they are three to when they turn four.

      • 표상물과 공간관계에 따른 1, 2세 영아의 공간표상능력

        김영실,최진숙,고은실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8 No.-

        본 연구는 표상물의 종류 및 공간관계에 따라 1, 2세 영아의 공간표상능력은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으로 전라북도 G시에 소재한 2개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1, 2세 영아 40명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 2세 영아는 표상물이 비디오일 때보다 사진일 경우 공간표상능력이 높았다. 1세보다 2세가 더 높게 나타났으나, 영아 간 개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1, 2세 영아는 위상적 과제보다 위상적 개념이 반영되지 않은 기본과제에서 공간표상능력이 높았다. 1세보다 2세가 더 높게 나타났으나, 영아 간 개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1, 2세 영아의 공간표상능력은 표상물의 종류 및 공간관계에 따라 연령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표상물이 비디오인 경우에 위상적 과제에서 연령 간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