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간표상의 유형 및 공간관계에 따른 1, 2세 영아의 공간표상능력 = Spatial representation ability of 1 and 2-year-old infants according to spatial representation types and spatial relationship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928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공간표상의 유형 및 공간관계에 따라 1, 2세 영아의 공간표상능력은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으로 전라북도 G시에 소재한 2개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1, 2세 ...

      본 연구는 공간표상의 유형 및 공간관계에 따라 1, 2세 영아의 공간표상능력은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으로 전라북도 G시에 소재한 2개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1, 2세 영아 40명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 2세 영아는 공간표상이 비디오일 때보다 사진일 경우 공간표상능력이 높았다. 1세보다 2세가 더 높게 나타났으나, 영아 간 개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1, 2세 영아는 위상적 과제보다 위상적 개념이 반영되지 않은 기본과제에서 공간표상능력이 높았다. 1세보다 2세가 더 높게 나타났으나, 영아 간 개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1, 2세 영아의 공간표상능력은 공간표상 의 유형 및 공간관계에 따라 연령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공간표상이 비디오인 경우에 위상적 과제에서 연령 간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patial representation ability of 1 and 2-year-old infants according to spatial representation types and spatial relationships. 40 infants aged 1 and 2 were selected for the study in two day care cent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patial representation ability of 1 and 2-year-old infants according to spatial representation types and spatial relationships. 40 infants aged 1 and 2 were selected for the study in two day care centers in G city, Jeollabuk-d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1 and 2-year-old infants exhibited a higher spatial representation ability when the space representation was presented to them in the form of photograph than as a video. 2-years-old infants showed higher spatial representation ability than 1-year-old infants, but there were a large individual differences between infants. Second, the infants displayed a higher spatial representation ability in basic tasks which did not reflect topological concept than with those involving topological task. 2-years-old infants showed higher spatial representation ability than 1-year-old infants regarding topological concept as well, but there were a large individual differences between infants. Third, the infants’ spatial representation ability showed no difference according to spatial representation types and spatial relation. However, when the spatial representation was in the form of video, there was significant age-related result in the topological task.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성현란, "인지발달" 학지사 2001

      2 임지헌, "유아의 공간능력 함양을 위한 표상활동 프로그램 개발" 부경대학교 대학원 2018

      3 홍혜경, "유아 수학능력검사 도구 개발" 한국유아교육학회 26 (26): 377-400, 2006

      4 김남석, "영상의 이해" 두양사 2009

      5 임여정, "사물 위치에 따른 3, 4, 5세 유아의 공간 대응" 한국아동교육학회 25 (25): 359-376, 2016

      6 민미희, "과제 제시방법과 공간관계에 따른 유아의 공간표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7 노희연, "‘영아’ 관련 연구동향 분석-국내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27 (27): 277-301, 2007

      8 김영실, "‘영아’ 관련 연구동향 분석 - 2006년~2012년 국내학술지를 중심으로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86) : 79-105, 2014

      9 Hansel, L., "Young minds : The important role of brain science" 72 (72): 6-7, 2017

      10 Blades, M., "Young children's ability to understand a model as a spatial representation" 155 (155): 201-218, 1994

      1 성현란, "인지발달" 학지사 2001

      2 임지헌, "유아의 공간능력 함양을 위한 표상활동 프로그램 개발" 부경대학교 대학원 2018

      3 홍혜경, "유아 수학능력검사 도구 개발" 한국유아교육학회 26 (26): 377-400, 2006

      4 김남석, "영상의 이해" 두양사 2009

      5 임여정, "사물 위치에 따른 3, 4, 5세 유아의 공간 대응" 한국아동교육학회 25 (25): 359-376, 2016

      6 민미희, "과제 제시방법과 공간관계에 따른 유아의 공간표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7 노희연, "‘영아’ 관련 연구동향 분석-국내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27 (27): 277-301, 2007

      8 김영실, "‘영아’ 관련 연구동향 분석 - 2006년~2012년 국내학술지를 중심으로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86) : 79-105, 2014

      9 Hansel, L., "Young minds : The important role of brain science" 72 (72): 6-7, 2017

      10 Blades, M., "Young children's ability to understand a model as a spatial representation" 155 (155): 201-218, 1994

      11 Marzolf, D. P., "Transfer in young children’s understanding of spatial representations" 65 (65): 1-15, 1994

      12 Troseth, G., "The medium can obscure the message : Young children’s understanding of video" 69 : 950-965, 1998

      13 Piaget, J., "The child’s conception of space" Norton 1956

      14 Kim, M, "The ability of young Korean children to use spatial representations" 21 (21): 261-277, 2012

      15 DeLoache, J. S., "Symbolic functioning in very young children : Understanding of pictures and models" 62 (62): 736-752, 1991

      16 DeLoache, J. S., "Rapid change in symbolic functioning of very young children" 238 : 1556-1557, 1984

      17 Piaget, J., "Psychogenesis and the history of science"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9

      18 DeLoache, J. S., "Pictures and models: Studies of early symbolic understanding" 1989

      19 Barron, L., "Mathematics experiences for the early childhood years" Charles E. Merrill Publishing Company 1979

      20 Geist, E., "Infants and toddlers exploring mathematics" 58 (58): 10-13, 2003

      21 Vallaton, C. D., "Infant signs as intervention? Promoting symbolic gestures for preverbal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supports responsive parent-child relationships" 27 : 401-415, 2012

      22 Clements, D. H.,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MacMillan 420-464, 1992

      23 Tomasello, M., "Do young children use objects as symbols?" 17 : 563-584, 1999

      24 NAEYC,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and 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s: Framing the issues"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2015

      25 DeLoache, J. S., "Child psychology in retrospect and prospect: The Minnesota Symposia on child psychology vol. 32" LEA Publishing 73-101, 2002

      26 Golbeck, S. L., "Building foundations for spatial literacy in early childhood" 60 (60): 72-83, 2005

      27 이경숙, "0-3세 영유아 영상매체 시청 및 부모의 영유아 자녀 영상매체 시청 지도 행동 실태 조사"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301-321,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72 2.72 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74 2.67 3.087 0.5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