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냉전과 토머스 쿤의 『과학혁명의 구조』

        김기윤 ( Kim Ki-yoon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8 역사학연구 Vol.71 No.-

        토머스 쿤의 『과학혁명의 구조』는 지난 50년 사이에 압도적으로 자주 인용된 학술 문헌이다. 그 간 쿤이 이 책에서 과학 활동의 성격을 탐구하면서 사용하기 시작한 개념인 정상과학, 패러다임, 또는 공약불가능성이 어떤 의미인지, 또는 그 아이디어들이 당대의 철학자들의 아이디어와 어떻게 구분되는지, 그리고 어떻게 이용될 수 있는지를 논하는 철학적 시각의 연구물들이 주로 출판되었다. 그런데 교육학에서 회계학에 이르기까지 문자 그대로 현대 학문 분야의 톤을 만들어 낸 듯 보이는 이 책의 지성사적 의미를 살펴보는 작업은 아직 미답의 경지로 남아있다. 이 논문은 우선 과학사학자들과 지성사학자들이 『과학혁명의 구조』를 어떻게 다른 방식으로 읽었는지를 살핀다. 과학사학자들이 이 책을 전형적인 사상사로서의 과학사 교과서로 읽었다면, 지성사학자들은 이 책이 냉전의 산물일 뿐 아니라, 미국 지성사의 사상적, 제도적 유산에 뿌리를 두고 있음을 읽어냈다. 다른 한 편, 현대의 과학학, 과학기술학, 또는 과학기술과 사회라는 이름의 학문 분야의 학자들은『과학혁명의 구조』의 독서로부터 과학지식의 사회적 분석이 가능할 뿐 아니라 필요하다는 결정적인 영감을 얻었다. 하지만 쿤은 자신의 책이 이들에게 영감을 주었다는 사실에 불쾌해 했다. 이들이 자신을 오해했다는 것이다. 과학학 학자 스티브 풀러는 쿤이 냉전의 전사 코넌트 총장의 대리 싸움꾼 노릇을 하면서 자신이 어떤 일을 하고 있는지 자각하지 못했다는 묘한 분석을 내 놓았다. 이 글은 『과학혁명의 구조』가 냉전의 해로운 유산을 남긴 작품이라는 과학학자 스티브 풀러의 주장을 개관하고 그 무게를 가늠한다. 『과학혁명의 구조』는 과학을 과학 이론으로 이해해 온 학계가 과학의 실제활동에 눈을 돌리게 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 책이었다. 그리고 온갖 학계가 분과 학문 분야로 전문화 되는 과정의 증후이면서 동시에 그 과정을 추동하는 힘이었다. 그 과정에서 작동했던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교육적 상황에 대한 역사적 연구는 최근 확장되어 가는 냉전 연구를 통해서『과학혁명의 구조』의 내용이나 쿤에 대한 이해를 넘어서서 쿤이 살았던 세계에 대한 이해로 확장되어 가고 있다. Thomas Kuhn's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is the most frequently cited scholarly piece of work during the last 50 years. Philosophers have been written tremendous amount of research papers on the meanings and uses of paradigm, normal science, or incommensurability, the concepts introduced through the book. Rather strangely, the intellectual history of this influential book which seemed to make the most identifiable scholarly tone for modern disciplines from education to accounting is remains untrodden area. This article starts with different readings of the book by historians of science and traditional intellectual historians. Historians of science read the book as a typical textbook of history of ideas; Intellectual historians read the book as a typical production of the Cold War mentality, yet they also traced the intellectual roots of the book from American liberal democracy. On the other hand, researchers of the science studies, or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were struck by the book which seemed to suggest the possibility and necessity of social studies of science, and many of them dubbed themselves Kuhnians in that sense. Yet frustratingly, Kuhn denied that his ideas could be interpreted as acknowledging social interpretations of science. Steve Fuller argued that Kuhn was a foot soldier of the ultimate Cod War warrior James Conant, the president of Harvard University, who lead Kuhn to be an historian of science. This article tries to evaluate Fuller's intriguing argument. Recent studies on Cold War began to provide some insightful keys to explain the intellectual status of Kuhn and his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The book has been a syndrome as well as a powerful instrument of making modern disciplines, scientific ones and others. Historical researches on the political, social, cultural, and educational background of the reception and appropriation of the book are opening new horizons not only for appreciating many intriguing aspects of the book but also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world in which Kuhn lived.

      • KCI등재

        새관점주의에 대한 비평적 이해와 제언: 과학혁명 구조와 4차원 영성을 중심으로

        곽종운 ( Kwak Jong Woon ),신문철 ( Shin Mun Chul )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21 영산신학저널 Vol.- No.55

        본 논문은 현대신학의 “뜨거운 감자”로 논쟁의 핵심에 놓여있는 바울의 새관점주의를 총체적 관점에서 비평하고 전통적 칭의론을 신학적이고 논리적으로 변호하려는 것에 일차적 목적을 두고 있다. 이차적으로는 신학적이고 실천적 방안으로서 영산 조용기의 4차원의 영성으로부터 “개념화된 칭의론”을 추출하여 실천적 차원에서 현대 칭의론 논쟁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전통적 “칭의호(號)”는 역사적으로 약 500년 전에 출항하여 신앙의 바다 위를 항해하고 있다. 하지만 새관점주의자들은 장기간 형성된 종교개혁적 칭의론을 밀어내고, 바울의 칭의론에 대한 새롭고 도전적인 칭의론을 주창하고 있다. 지금까지 형성된 “새관점주의의 한랭 전선”은 두 개의 전선으로 구분된다. 하나는 1세기 유대교에 대한 재발견이고, 다른 하나는 바울의 칭의론의 재해석이다. 본 논문은 새관점주의의 칭의론을 과학혁명구조의 논리성과 구체성을 가지고 비평하고, 궁극적으로 종교개혁적 칭의론을 적극적으로 변호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새관점주의의 대표적 신학자들, 샌더스(E. P. Sanders), 제임스 던(James D. G. Dunn), 그리고 톰 라이트(N. T. Wright)가 주창한 바울의 칭의론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총체적으로 탐색하는 한편, 새관점주의가 상정한 칭의론적 해석을 심층적으로 해석함으로써 총체적으로 비평적 이해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둘째로 토마스 쿤(Thomas S. Kuhn)이 제시한 과학혁명의 관점에서 새관점주의를 비평적으로 탐구하고, 나아가 새관점주의의 칭의론을 과학혁명구조의 관점에서 평가하였다. 과학 영역에서 새로운 이론이 수용·인정·적용되기 위해서는 “패러다임 변화(paradigm shift)”가 요구되는 바, 이는 신학 영역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하나의 새 이론이 변칙현상으로 인정되려면 “패러다임 변화”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현대 칭의론 논쟁에 대한 대안으로 영산 조용기의 “4차원의 영성”으로부터 “칭의론적 모델”을 추출하고자 하였으며, 나아가 삶의 자리에서 적용 및 훈련 가능한 신앙의 양식으로 재해석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analyze the New Perspective on Paul (NPP) in terms of its view on justification and to further suggest the newly conceptualized theory of justification extracted from Youngsan’s 4th Dimensional Spirituality as a theological and practical alternative to this debate. In essence, the rationale for NPP is insufficient in comparison to the widely accepted concept of justification that was introduced by Luther 500 years ago. However the reformative justification which has been formed through many years is being replaced by the justification of NPP which insists new and challenging theories. The NPP formed so far is divided into two. One is the rediscovery of first-century Judaism, and the other is the reinterpretation of Paul’s theory of justification. The thesis attempted to criticize the justification of NPP with the logic and concreteness of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 and ultimately to defend the theory of reformative justification. As such, the uncritical recognition of NPP exhibits a potential danger to the church. In order to get a full understanding of NPP and its movement, a review of E. P. Sanders, James D. G. Dunn, and N. T. Wright’s interpretation of Paul’s justification concepts is necessary. Accordingly, this study includes their comparative evaluation and thought processes which may have a potential impact on the existing church. We will also critically explore NPP’s theology as well as its view on justification using Thomas S. Kuhn’s model of Scientific Revolution. In order for a newly discovered scientific theory to be recognized and accepted, a “paradigm shift” needs to occur. Likewise, in the theological realm, a “paradigm shift” is necessary for a newly discovered theological concept to be accepted and to replace the traditional concepts. Lastly, this study is committed to suggest the justification model from Youngsan’s 4th Dimensional Spirituality as an alternative to the current debate surrounding the concept of justification, and furthermore, in keeping with Pentecostal theology, to be used as a manual that can be applied to our spiritual and everyday life.

      • KCI등재

        토마스 쿤의 『과학혁명의 구조』와 바울의 해석학적 패러다임

        임창건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15 문학과종교 Vol.20 No.1

        본 논문은 바울이 다메섹 도상에서 체험한 ‘회심’과 그 결과를 토마스 쿤이 과학혁명의 구조에서 주장한 ‘정상과학,’ ‘위기,’ ‘패러다임 전환’ 등 몇 가지 핵 심 개념으로 분석하였다. 회심이전, 바울의 구약해석학은 구전토라를 포함한 랍 비전통의 해석학이었고, 회심이후 그의 해석학은 그리스도 중심적 구약해석으 로 전환된다. 그의 구약해석은 이후 기독교도들에게 구약해석의 표준을 제공한 다는 점에서 쿤이 말한 “학제모형”의 성격을 띤다. 또한 그의 회심은 ‘비축적적’ 이고 돌발적인 방식으로 진행되었을 뿐만 아니라 이전의 해석학을 새로운 해석 학으로 완전히 대치했다는 점에서 쿤이 언급한 패러다임 전환의 여러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은 쿤이 언급한 과학혁명의 순서에 따라 바울의 해석 학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구성 되었다. 1장에서는 ‘정상과학’과 유대경전의 해석 학을, 2장에서는 ‘위기’와 바울의 해석적학 위기를, 3장에서는 새로운 패러다임 의 탄생과 바울의 해석학적 패러다임의 전환을 다루었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Paul’s conversion on the road to Damascu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aradigm shift in Kuhn’s theory. According to Kuhn, the paradigm shift occurs not in the form of accumulation but in the form of religious conversion or political revolution. In this context, one of the most classical conversions in Christian history is that of Paul. Paul’s conversion can be regarded not merely as a personal religious experience. It also provides Christians with a paradigm of the uniqueness of the gospel, whose structure is repeated in the lives of Christians like St. Augustine, Luther, and Wesley. Prior to his conversion, Paul’s hermeneutics belongs to the ‘disciplinary matrix’ of rabbinic tradition, whose Torah includes the oral Torah as the collective body of the hermeneutic legacy. However, his encounter with Jesus resulted in the drastic shift in his hermeneutics, that is, from the legalistic interpretation to the Christocentric interpretation of the Torah. Paul’s conversion to the new order in Christianity from the old order in Judaism fits into the definition of the paradigm shift in Kuhn’s the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