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만찬과 세월호의 연관성에 대한 고찰

        이찬석 한국실천신학회 2015 신학과 실천 Vol.0 No.43

        세월호 참사로 인하여 2014년 한국 교회의 부활절은 ‘슬픈 부활절’ ‘아픈 부활절’이 되어 버렸다. 세월호 참사 는 대한민국 근현대사에서 그 이전과 이후를 나누는 결정적 사건 중 하나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고, 이 참 사를 1950년 6. 25 전쟁과 견주어지기도 하고, 1980년 5. 18 광주민주화항쟁과 더불어 이야기하기도 한다. 한 국 역사에 거대한 사건으로 자리 잡은 세월호 참사는 또 다른 참사를 끊어 버리기 위하여 한국 사람들에게 끊 임없이 회상되어져야만 하고, 그 아픔과 고난을 현재화 시켜나가야만 한다. 기독교의 전통에서 회상과 현재화의 대표적인 예전은 성만찬이다. 조상들의 고난을 회상하고, 현재화 시키는 유대교의 유월절과 깊은 연관성을 지니고 있는 기독교의 성만찬을 통하여 기독교인들은 떡과 포도주를 먹고 마시면서 예수의 고난을 회상하고, 예수의 고난에 참여하고, 종말론적으로 완성되어지는 하나님 나라의 식탁 을 미리 맛본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세월호 참사가 품고 있는 뜻들을 성만찬과의 연관 속에서 고찰하여 보려 고 한다. 조직신학자 스탠리 그렌즈(Stanley J. Grenz)는 ‘과거 지향성’ ‘미래 지향성’ 그리고 ‘공동체 지향성’이 라는 세 가지 주제로 성만찬을 설명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성만찬 이해를 중심으로 세월호 참사를 겪으면서 한국인들이 뜨겁게 토해내는 고백들 중에서 “잊지 않겠습니다!” “진실은 침몰하지 않는다!” “가만히 있지 않 겠습니다!”를 스탠리 그렌즈의 성만찬 이해와 연관시켜 보려고 한다. 성만찬이 아남네시스를 중심으로 과거 지향성을 지니고 있고, 선취를 중심으로 미래 지향성을 보유하고 있고, 참여를 중심으로 공동체 지향성을 품고 있듯이, 한국의 기독교는 세월호 참사를 과거 지향성, 미래 지향성, 공 동체 지향성을 중심으로 회상, 선취, 참여로 읽어갈 수 있다. 한국 기독교인들은 성만찬에 참여하여 하나의 떡 을 떼면서 그리스도의 고난을 회상하고, 종말론적으로 완성되어질 식탁의 교제를 맛보며, 그리스도와 성도들 과 교제를 나누듯이, 세월호 참사에 공감하는 심정으로 세월호 참사를 위한 일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희생 당한 생명들과 유가족들의 고난과 아픔을 회상하고, 신자유주의가 유혹하는 맘몬으로부터 해방되어지는 삶을 맛보아야만 한다. 한국 교회는 시간과 상황에 적합하게 예배의 형식과 구조에 변화를 시도하지만, 성만찬에 있어서는 올 곧게 일관된 형식과 구조를 보이고 있다. 세월호 참사의 희생자들과 유가족들을 위한 예배가 드려지고 있다. 이러 한 예배에서 성만찬을 행하면서 떡과 포도주를 먹고 마시면서 “잊지 않겠습니다!” “진실은 침몰하지 않습니다 !” “가만히 있지 않겠습니다!”라고 끊임없이 고백해야 한다. The Easter of Korean church in 2014 became a sad easter or a painful easter because of the Seweolho disaster. Some people among Koreans thinks of Seweolho disaster like the Korean War or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In order to stop the disaster like Seweolho, Koreans should remember the suffering of the Seweolho, regards the Seweolho disaster as the end of painful disaster. In Christian tradition, the representing liturgy in remembrance is Eucharist which was originated from the Passover in Judaism which is remembering and participating in the suffering of their ancestors. Through the Eucharist, Christian is remembering the death of Jesus, and participating into the suffering of Jesus by taking bread and wine. Therefore, this article tries to articul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weolho disaster and the Lord’s Supper in order to participate into the suffering of Seweolho’s families, and investigate the cause of the disaster. Stanley Grenz, who is a systematic theologian, explains the Lord’s Supper as ‘past directivity’, ‘future directivity’, and ‘community directivity.’ I will try to analyze the Seweolho disaster depending on Grenz’s characterizing the Eucharist. In this sense, this article tries to merge systematic theology into liturgy. It is important to merge a subject into other subject because integration is the most important method in the era. The Lord’s Supper has the directivity of past based on anamnesis, that of future based on preoccupancy, and that of community based on participation. Therefore, Korean Christian can read the Seweolho disaster as anamnesis, preoccupation, and participation. As Christian remembers the suffering of Jesus, tastes the eschatological Supper, shares fellowship with Jesus Christ and others through the Eucharist, Korean Christian should participate into revealing the fact of the Seweolho disaster, commemorates the suffering and death of the Seweolho disaster. Korean churches try to change the form and structure of worship, but do not try to change the form of structure of eucharist. The worship for Seweolho is holding. In this service, eucharist should be held in order to remember the suffering of Seweolho.

      • 담화의 맥락정보로 살펴본 담화공동체의 포지셔닝 변화"세월호"를 중심으로

        김정렬 ( Jeongryeol Kim )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5 초등교과교육연구 Vol.22 No.-

        Korean discourse community witnessed and was shocked by a sinking passenger ship, Seweolho, last year. The tragedy of perished people with the sinking ship was left in the heart of Korean community as a deep wound. As time passed by, the collaborative spirit to recover from the terrible incident became divided and was cut into frames of ideology between left and right.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transition of the discourse community from the perspective of key word in the context using a concordancer and the web-based corpus searched for keyword "Seweolho". Tagxedo and Webcorp were used to extract the content information and present the changes in word cloud. The findings are that discourse community has shifted its position and showed the division framed by the ideology. The division prevents the investigation of what really happened from being concluded.

      • KCI등재

        세월호 참사 보도에 대한 독자 프레임과 매체 프레임

        박경우 한국소통학회 2015 한국소통학보 Vol.27 No.-

        이 연구는 세월호 참사 보도에 대한 독자들의 인식과 신문의 보도기사에 나타난 이슈 프레 임을 비교 연구한 것이다. 설문 조사와 개념도 연구법을 통해 세월호 참사 보도에 대한 독자 들의 인식 구조와 그 바탕이 되는 주요 독자 프레임을 이슈에 대한 요소 현저성을 통해 조사 하고 이를 바탕으로 서울신문, 조선일보, 한겨레에 게재된 세월호 참사 관련 뉴스보 도들의 구조를 분석했다. 분석을 통해 규명하고자 했던 연구 문제는 1) 세월호 사건 보도에 대한 독자들의 프레임 구조, 2) 세월호 사건 보도와 관련하여 기사에 나타난 프레임의 구조, 3) 세월호 사건 보도의 매체 프레임과 독자 프레임의 차이 등이었다. 분석 결과, 독자들은 9 가지의 주요 프레임을 통해 세월호 참사를 인식하고 있었으며 그 중에서도 ‘재난의 원인 분석 과 재발 방지 대책’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반면 매체 프레임의 구조에서는 ‘정부 와 사회의 반응과 대응’이 가장 높은 현저성을 보였다. 또한 매체 프레임의 구조는 3개 신문이 모두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연구 결과, 세월호 참사 보도는 독자들의 프레임과는 달리 재난 의 원인 분석과 재발 방지보다는 정부와 사회의 반응과 대응에 초점을 둔 보도들이 많았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세월호 참사에 대한 보도가 독자들의 인식과 괴리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 을 뿐 아니라 일반적인 재난 보도의 형태에서도 벗어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media frames and the audience frames concerning Seweolho disaster to answer three major questions: 1) What are the audience frames of Sewolho disaster? 2) What are the media frames of Sewolho disaster? 3) What are the differences between media frames and audience frames concerning Sewolho disaster? Using surveys and concept mapping technique,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 of Seweolho disaster among the audiences and the news reports in three major newspapers: Seoul Daily, Chosun Ilbo, and the Hankyoreh. The results showed that among the major 9 frames with which the audiences were interpreting Sewolho disaster, "cause and prevention" was the most salient among audience frames while "the reaction of the government and the public" was the most salient among the media fra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