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화법의 관계 연구

        임칠성 한국화법학회 2012 화법연구 Vol.0 No.20

        Inthispaper,therearetwosub-subjectsabouttherelationshipamong participantsandoralcommunication.Thefirstoneiswhyweneedto focusontherelationshipinresearchandeducation.Thesecondoneis whatischaracteristicoftherelationship. Therearethreelevelsofsenseswhenwefocusontherelationshipin theKoreanoralcommunication. First,focusingontherelationshipispropertonatureofcommunication. Oralcommunicationisbasicallycomposedwithtwolevels,contentsand relationship.Thelatterguidestheinterpretationoftheformer.Anditalso guideshow thecontentsshouldbeshowed.So,ifcontentsshouldbe harmonywiththerelationshipthenoralcommunicationworkseffectively. Focusingontherelationshipisarespondtohistoricalchangeofrhetoric. Rhetorichasmoved thefocusfrom publicaddressintointerpersonal communicationsince1970. Second,focusing on therelationship isasuccessofKorean oral communication tradition.Korean traditionalculture,especially Korean ConfucianismandBuddhism,havetreatedoralcommunicationasatoolof thegrowingpersonality.Itmeansthatthosedidn’tfocusoncontentbut humanrelationshipoftheoralcommunication. Third,focusingontherelationshipcansolvemanyconflictsinKorean society.Somanyconflictsin Korean,forexampleregionalconflicts,generationconflictsandconflictsbetweentoprankofficersandcitizens etc.,canbesolvedbygoodcommunicationoneffectiverelationship. Thecharacteristicofrelationshiphastwolevels: innerrelationshipand outerrelationship.Thelatterisobjectiveoriented.Buttheformeris subjective oriented and ismade by theirtacitagreementby the participants. Outerrelationship iscomposed with intimacy relationship,family relationship,grouprelationship,andmassesrelationship. 이 논문에서는 화법에서 관계가 어떤 의의를 지니는지를 화법의 성격과 우리 말 문화 전통의 계승, 그리고 이와 관련하여 사회적 요구의 측면에서 살펴보아, 화법에서 관계가 아주 중요하다는 것을 밝힐 것이다. 그리고 이런 관계가 어떤 층위를 이루며, 각각은 어떤 성격을 지니는지 정리하여 관계 연구의 실마리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관계는 화법에서 네 가지 측면에서 의의를 지닌다. 첫째, 화법의 성격 측면에서 볼 때 화법은 본질적으로 내용과 관계 층위로 구성되어, 관계는 내용이 어떻게 해석되며 어떻게 제시되어야 하는지를 규정한다. 따라서 내용과 관계가 온전히 결합되어야 온전한 화법 소통을 할 수 있다. 아울러 관계는 수사학이 연설에서 대인의사소통으로 그 중심을 변화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한 것이며, 관계는 대인 관계뿐만 아니라 집단에서도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한국 전통의 계승 측면에서 볼 때, 관계는 우리 말 문화의 기본을 이루고 있으며, 유학 사상과 우리 불교에서도 화법을 관계의 측면에서 접근하였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사회적 요구의 측면에서 볼 때 관계는 우리 사회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간 대화’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고, 토론 문화와 협상 문화를 바람직하게 발전시킬 수 있게 하며, 지역 연구주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 아울러 최근 부상한 사이버 대중의 소통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다. 관계는 내적 관계와 외적 관계라는 두 층위를 가진다. 외적 관계란 공식적이고 객관적인 관계이고, 내적 관계란 주관적인 관계로서 참여자들에 의해 암묵적으로 합의된 관계이다. 외적 관계는 다시, 친밀 관계, 가족 관계, 집단 관계, 대중 관계로 나뉠 수 있다. 내적 관계와 외적 관계는 길항 관계로 발현된다.

      • KCI등재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대인관계 만족도에 관한 연구

        황보식,장해숙 한국융합보안학회 2016 융합보안 논문지 Vol.16 No.3_2

        본 연구는 사관생도의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대인관계 만족도에 관한 연구이다. MBTI 성격유형 분포를 보면 남생도의 경우 ESTJ(16.7%)로 가장 많았고, 여생도의 경우는 ENFJ(16.7%)와 ENFP(16.7%)가빈도수가 높았다. 성격유형과 커뮤니케이션 능력간의 차이가 있었고, 성격유형과 차이가 있는 지를 살펴보기 위해사후검증으로 LSD를 활용하였다. 그 결과 성격유형과 커뮤니케이션 능력간에는 E(외향형)과 I(내향형)간 차이가 있다는 결과를 얻었고, 성격유형과 대인관계 만족도의 결과에서도 E(외향형)과 I(내향형)간 대인관계 만족도에 영향을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대인관계 만족도와의 상관관계에서 매우 정적인 상관(r=.604(p<.01) 을 보였다. 결국 본 연구의 의의는 사관생도의 성격유형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대인관계 만족도가 통계적으로유의미하다는 것을 증명하였고, 성격유형에 따른 훈육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의의가 있다고 할 수있다. This study explores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satisfaction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ccording to MBTI personality patterns. Looking at the distribution of MBTI personality patterns among male cadets, number of ESTJ(16.7%) is the highest, For female cadets, the highest in number is ENFJ(16.7%). There is discrepancy in communication competence depends on personality patterns, in order to verify such disparity, LSD was applied as a post-verification. As a result, there was discrepancy in communication competence between E(extravert) and I(introvert), also in satisfaction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between E(extravert) and I(introvert). Correlation between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satisfaction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showed static relation(r=.604(p<.01).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es significant relation of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satisfaction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ccording to cadet's personality patterns statistically. Also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can indicate directions that needs to be taken for discipline of cade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