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아시아의 ‘거대분단’과 한반도

        유희석 ( Yoo Hui-sok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인문학연구 Vol.0 No.56

        본고의 목적은 이삼성 교수가 다년간 개진한 동아시아 대분단체제론을 백낙청 교수가 화두로 던진 동아시아의 거대분단이라는 발상과 대비하면서 2016년 촛불 혁명의 의의를 성찰하는 데 있다. 동아시아 대분단체제론의 학문적 성취는 무시할 수 없지만 이론의 여지도 적지 않다. 단일한 ‘체제’라기보다는 느슨한 무/질서라 할 만한 현상이 한국과 북한 및 중국과 대만, 일본을 중심으로 하는 시공간에서 반복된다고 생각하는 관점에 비추면 특히 그렇다. 게다가 변혁의 잠재력은 일정한 시스템이 견고하게 작동하는 자기완결적 체제보다는 느슨하기 때문에 인간의 ‘수리작업’이 그만큼 용이한 정치 환경에서 더 커지는 경향이 있다. 이는 복잡계연구(Complexity Study)의 주요 통찰 가운데 하나지만 어찌 보면 상식에 가깝다. 인간사회이든 자연이든 닫힌 시스템은 오래갈 수 없지만 따지고 보면 완벽하게 자족적인 체제라는 것도 사람의 머릿속에나 존재하는 하나의 관념에 불과하다. 하지만 본고의 주장은 그런 ‘상식’에서 출발하여 논제를 연역하기보다는 동아시아 대분단체제론에 대한 다각도의 비판적 검토에 근거한다. 기본적으로 어찌하여 자기완결적 체제가 아닌 느슨한 무/질서의 동아시아 공간에서 변혁의 잠재력이 더 잘 발생하는가를 묻는 분석 작업이라는 것이다. 특히 한·중·일 사이를 가로지르는 역사적 단층들과 거기에 축적된 위험에너지를 엄밀하게 ‘계측’하면서 동아시아 역내 질서에 개입하는 미국의 영향력을 지혜롭게 활용할 때 비로소 한반도의 분단도 점진적 해소의 실마리를 얻기 되리라 본다. 그같은 점진적 해소의 제도적 방안을 일컬어 (낮은 단계의) 남북연합이라 칭하지만, 그 연합의 상은 이제부터 만들어가야 할 숙제로 남아 있음을 결론으로 제시한다. 동시에 그같은 숙제가 촛불혁명이 남긴 과제임을 주장한다. 그런 과제의 원만한 수행을 위해서 촛불혁명의 현재성에 대한 발본적 사유가 절실한바, 이는 미국이 상수로 개입하는 동아시아 시공간의 분열양상을 종합적으로 파악하는 데도 필수적이라는 것이 본고의 핵심 논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analyze the idea of ‘East Asia as a system of grand division’ that Prof. Lee Sam Sung has vigorously argued and vindicated. His claim that there is a persisting systemic order in current East Asia is mostly based on a particular international psycho-political structure sustained by the binary opposition; China vs. America-Japan alliance. While agreeing on the detailed descriptions on the dynamics of geopolitical confrontation/cooperation of East Asia in the 20th century proffered by Prof. Lee, I cast doubt on the existence of a system in East Asia in general. This paper argues that the spatio-temporal features of Northern East Asia in particular can be convincingly defined as a fluid situation alternately fluctuating through multilateral conflicts and collaborations among the inter-regional states. Poring on blind spots in Prof. Lee’s thesis in light of the hypothesis of macro-division of East-Asia proposed by Prof. Paik Nak-chung brings us to the awareness; by keeping in mind the lesson from the ongoing Candlelight Revolution, we can overturn the morethan-half-a-century long status quo on the Korean peninsula which was taken over by the current negotiating process epitomized by the inter-Korean summit in April 2018 and its ensuing one in June between Nor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he process as such will effectually lead to the realization of a harmonious and incremental process of re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s well as the eventual peace of East Asia.

      • KCI등재

        ㄴ첨가에 대한 표준어 규정의 연구

        엄태수 ( Aum Tae-su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0 국제어문 Vol.50 No.-

        이 논문은 ㄴ첨가 현상에 대한 표준어 규정에 대한 연구이다. ㄴ첨가 현상은 유동적인 현상으로 그동안 논란이 많았다. 먼저 ㄴ첨가 현상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검토하고 y앞에서는 규칙적이고 i모음 앞에서는 ㄴ첨가가 어휘적이라는 점을 주장했다. i모음 앞에서의 ㄴ첨가는 점차 사라지는 규칙이다. 그러한 이유는 한자어뿐만 아니라 고유어에도 점차 적용되지 않는 단어가 늘어나고, 젊은 층으로 갈수록 사용이 제한되어 가기 때문이다. 또한 i모음 앞에서의 ㄴ첨가는 y앞에서의 ㄴ첨가와는 달리 ㄴ첨가와 비첨가의 수의적 교체가 현저하게 많다. 이상과 같은 ㄴ첨가에 대한 관찰을 바탕으로 표준어 규정을 다음과 같이 할 것을 주장했다. 첫째 음운론적 단어를 이루는 어휘들의 결합에서 선행요소의 종성이 자음으로 끝나고 후행요소가 y로 시작할 경우에 규칙적으로 ㄴ을 첨가하는 규정을 정한다. 둘째, 후행요소가 i모음으로 시작할 경우에는 두 가지의 규정이 필요하다. 필수적으로 ㄴ이 들어간 경우에는 어휘화된 것으로 간주하여 규정에 단일한 표준어로 정한다. 수의적으로 교체하는 경우에는 교체된 두 가지 단어 모두를 표준어로 정한다. ㄴ이 첨가되지 않는 단어와 구의 경우에는 규정을 정하지 않는다. 어근복합어는 형태론적 규칙이 불분명하기 때문에 표면의 발음을 기저형으로 간주하여 규정에 넣지 않는다. 어근 복합어의 경우는 표면의 발음을 기저형으로 하여 표준어 사전에 수록하면 될 것이다. This paper explores the phenomenon of “n”-insertion in standard Korean`s regulation. Much debate has surrounded the “n”-insertion phenomenon, primarily centering around its fluidity of use. In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existing studies regarding “n”-insertion are reviewed. In the second part, I discuss my findings that “n”-insertion is used regularly before “y”, but only lexically before “i”. Further, “n”-insertion rule is gradually disappearing in colloquial use as language evolves away from Sino-Korean traditions, with increasingly restricted utilization among the younger generation. As a result, “n”-insertion before “i” is frequently left as a fluid option for the speaker, in contrast to the standardized use before “y”. Based on such findings, I propose that “n”-insertion` regulation should be standardized in the following manner: firstly, “n”-insertion in the phonological word in cases when the final sounds of the preceding elements is a consonant and the following element is “y”, “n”-insertion should be regularly added. Secondly, two different and dynamic rules of standardization are needed in cases when the following elements is “i”. In cases when “n” is always necessarily inserted before “i”, a single standard suffices; when “n” is optionally inserted before “i”, both of the word forms should be accepted as standard Korean`s regulation. Finally, stem-compound words should not be included in “n”-insertion rules, as the surface pronunciation is effectively accepted as the standard Kore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