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통사고 환자의 기왕증과 보험자의 보상책임

        박은경(Park, Eun-Gyoung) 한국법학회 2012 법학연구 Vol.48 No.-

        현행 자동차보험 표준약관에 의하면, 교통사고 피해자의 사망, 부상이나 후유장해가 오직 교통사고 만에 의한 것이 아니라, 피해자가 사고 전에 가지고 있었던 질병, 특이 체질 내지 신체적인 소인이 경합적 내지는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 경우에는 보상하지 않음을 명시하고 있다. 이 약관조항은 단순히 피해자에게 기왕증을 포함한 어떤 신체적 소인이 있다고 하여, 가해자의 책임 성립 및 그 범위를 판단하거나 또는 배상액을 산정함에 있어서 피해자의 이러한 사정이 고려되어야 하는가라는 논쟁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의 하나로 명문화된 것이다. 다수설과 판례는 피해자의 기왕증은 손해배상의 대상에서 제외되어야 한다는 견해를 취하고 있다. 이 글은 교통사고 피해자의 기왕증과 관련하여 자동차보험자의 면책여부가 다투어졌던 15건의 대법원 판결을 분석한 결과이다. 분석결과 대법원의 판결은 기왕증의 관여도를 비교적 높게 인정하고 있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높은 기왕증 인정비율에도 불구하고, 그렇게 판단한 것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부족하다는 점, 감정의사나 병원에 따라 기왕증 관여도를 인정하는 정도에 편차가 심하다는 문제점도 발견되었다. 기왕증의 관여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관의 설립과 자동차보험약관상 ‘기왕증 적용기준표’를 작성하여 교통사고 당사자간 이해관계의 공평을 도모하여야 한다. 2004 Car Insurance Policy revised edition provides that “In this policy, when the insurer estimates insurance amount that he must pay to any person who suffers damages from this traffic accident, insurer doesn’t compensate anamnesis which he(she) already has before accident. However, it is clear that this accident adds to his(her) anamnesis, even though he(she) has past history, the insurer shall be liable to pay those increase.” In the cases of the car insurance medical expenses connected with anamnesis, the Supreme Court has been consistently held that “It is reasonable in the point of view of equitable distribution of damage by paying the compensation responsible for the part in proportion to the entire damage of victim following the degree that is recognizable to the outcome of injury including the specific injury from anamnesis.” In this paper, the author purposed to analyze the Supreme Court precedents related to the patient’s predisposition of automobile accidents and then to point out what problems are in those precedents and how to solve those problems. First and foremost, there is need to clarify whether the proportional recognition of medical expenses considering the contribution of anamnesis is really reasonable and justifiable for the protection of victim.

      • KCI등재

        ‘소크라테스 산파술’의 구성과 적용에 관한 비판적 고찰

        이재현 대동철학회 2022 大同哲學 Vol.101 No.-

        The aim of this treatise is to critically re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versation in the question and answer (= dialectic), which is interpreted and realized by Plato as the philosophical method of Socrates, and the midwifery (= maieutics) of Socrates, which is described in Plato's dialogues Theaetetus. Therefore, I want first to critically examine an traditional interpretation, in which one tries to understand by excluding elenctic from the midwifery, and then point out that this understanding is too narrow. In relation to thi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levant texts, I claim that the midwifery described in Theaetetus are necessarily used in a method connected with the elenctic. Furthermore, it is to be proved that the midwifery of Socrates designed by Plato is to be understood as a metaphor referring to the entirety of the socratic conversation in the question and answer (= dialectic) by composing it from the elenctic and anamnesis. 본 논문은 플라톤에 의해 해석되어 구현된 소크라테스의 철학적 방법으로서 ‘문답식 대 화법(=변증법)’과 플라톤 대화편 테아이테토스에서 묘사되는 ‘소크라테스의 산파술’과 의 관계에 관한 비판적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필자는 우선 ‘산파술’에서 ‘논박술’을 배제하여 이해하려는 해석 전통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러한 이해가 편협되어 있음을 지적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필자는 테아이테토스에서 묘사된 ‘산파술’은 반드시 ‘논 박술’과 결합된 방식으로 사용되는 방법임을 관련 텍스트의 분석을 근거로 주장한다. 또 한, 플라톤에 의해 기획된 ‘소크라테스의 산파술’은 논박술과 함께 상기술로 구성됨으로써 ‘소크라테스적 문답식 대화법(=변증법)’ 전체를 지칭하는 비유로서 이해되어야 함을 입증 하고자 한다.

      • KCI등재

        Anamnesis and Prolepsis in the Modern Eucharistic Prayers of the Roman Catholic and the Lutheran Church

        Cho, Kee Yeon 한국실천신학회 2013 신학과 실천 Vol.0 No.37

        According to the Western linear time, the past no longer can be grasped in the present. In the same manner, the future is not accessible in the present because it has not yet come. Yet, Oriental cyclical time is different from the latter. Because East Asian philosophy is based on the phenomena of the organic world, it always recognizes the cycle or rotation of the phenomena in which one succeeds the otther until the starting point is reached again. In this the past, the future, and the present are continually interrelated and come together. This is same in Christian Worship. The past is not an isolated one from the present. The past is closely related to the present. This is same in the case of the future. The one embraces the other and vice versa. In Worship, all past events come together into the present with events which will occur in the future. Not only does the salvation work of Christ take the dominant role in worship, but the creation work of the Father comes together into the present time of the worship. They are together ‘experienced anew’ and the participants give thanks to God for both actions of God. Moreover, these events are related with the future consummation— the fulfillment of the Kingdom of God. The kingdom of God is foretasted and expected in its fulfillment in worship. In this sense, the Eucharist is an eschatological banquet. In other words, the entire history of creation, salvation, and consummation come gogether in worship. Worship is a focal point of all salvation history.

      • KCI등재

        성만찬 성례전 기억의 의미 : 성서와 신경과학의 관점을 중심으로

        나인선 한국실천신학회 2024 신학과 실천 Vol.- No.88

        의례는 기억이라는 기본요소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국가, 민족, 개인은 기억을 위해 비종교의 의례인 다양한 기념식, 추념식 등을 행하고 있으며, 종교의례인 기독교 성만찬 성례전은 ”이것은 너희를 위하는 내 몸이니 이것을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는 예수의 명령형식의 제정사를 통해 기억의 중요성을 분명하게 강조하는 의례이다. 이 스라엘 공동체의 출발점과 지속은 인종과 민족에 근원을 두고 있는 것이 아니라, 예 배를 통해 출애굽의 구원사건을 기억하고, 공유하고, 재현, 체험함으로 공동의 기억을 공유하기 때문에 가능하였고, 이스라엘의 정체성도 이런 구원의 기억을 통해 형성, 유 지되었다. 기독교 공동체 역시 기억 공동체로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죽음과 부 활의 사건을 기억, 재현, 체험의 과정을 통해 기억을 예배 가운데 공유함으로 기독교 의 정체성을 형성, 유지, 강화하게 된다. 기억으로 번역될 수 있는 히브리어 지카론(zikkaron)과 헬라어 아남네시스 (anamnesis)는 단순하게 과거를 언급, 지시하는 것이 아니라, 일종의 재현(re-present) 하는 것으로 과거의 사건을 재현하고 이를 지금-여기(now-here)에 현재화(realization) 하는 것을 의미한다. 구약과 신약의 기억은 종말론적 역사로서 하나님의 구원 사역의 예전적 기억이며, 예전적 기억은 예전 안에서 새로운 실재를 현실적으로 사건화한다. 본 연구는 신경과학이 제시하는 연구관점으로 성만찬 성례적이 실행하는 기억의 특수성을 발견하고, 성만찬 성례전이 실행하는 기억의 관점으로 신경과학의 기억을 상호교차의 관점으로 살펴봄으로, 성만찬 성례전이 실행하는 기억의 이해를 통해 신 경과학의 기억에 관한 연구의 증진에 기여 하고자 한다. 한편, 후속 연구를 통해 신학 과 생물학, 예배와 뇌신경과학의 융복합 학문의 연구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거대 담 론으로 발전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All religious/non-religious rituals have the basic element of remember, and various countries, ethnic groups, and individuals perform various commemorative ceremonies and memorial ceremonies that are non-religious rituals. The Christian sacrament of Eucharist, a religious ritual, is a ritual in which the importance of remember is emphasized through the enactment of Jesus' command, “This is my body, which is for you; do this in remembrance of me.” The starting point and continuation of the Israeli community are not based on race or ethnicity, but are possible because they share a common memory by remembering, sharing, reproducing, and experiencing the salvation event of the Exodus through worship, and the identity of Israel is also possible. It was formed through this remember of salvation. The Christian community also forms, maintains, and strengthens its Christian identity by sharing memories through the process of remembering, reproducing, and experiencing the events of Jesus Christ's death on the cross and resurrection during worship. The Hebrew word zikkaron and the Greek word anamnesis, which can be translated as memory, do not simply refer to or indicate the past, but are a kind of re-present, reproducing past events and bringing them into the present. It means realization in the now-here. The remember of the Old and New Testaments is the liturgical memory of God's work of salvation as eschatological history, and the liturgical remember becomes a new reality as a presence. This study discovers the special nature of the remember performed by the sacrament of the Eucharist from the research perspective presented by neuroscience, and examines the memory of neuroscience from an intersectional perspectiv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member performed by the sacrament of the Eucharist. We aim to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remember research in neuroscience through understanding remember. Through follow-up research, we hope that it can develop into a grand discourse that can produce research results from the convergence of theology, biology, worship, and neuroscience.

      • 에큐메니즘과 교파 간 상이한 성찬식 관습문제

        손정명(Son, Chungmyung)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7 이성과 신앙 Vol.63 No.-

        Inter-Communion is a topic which is often discussed during ecumenical meetings. The reason is unknown as to why the Catholic church can not share Inter-Communion with other Christian confessions. This thesis will study various materials on topics which are directly related to this problem and will try to look at the aspects of a spiritual unity through the study of the concerns with the current ecumenical situation regarding the Eucharist. The central topics to be reflected are the ‘real presence of Christ’ in the Eucharist, ‘sacrifice’ ‘Holy Communion with the blessed body and blood of Christ’, and ‘Inter-Communion’. The method of study is to reflect on the ‘ecumenical polemic knots’ ‘Lima document’s explanation about the Eucharist’ ‘the responses of some Korean churches to the Lima document’, and ‘the Eucharistic practices in Korean churches’. In the conclusion, particular focus will be on ‘Anamnesis’ and ‘Epiclesis’ and will be studied with the report, ‘From Conflict to Communion’ which resulted from the official dialogue between the Catholic and Lutheran church for the 500th year anniversary of the Reformation. As a result, the emphasis is on hope for the improvement in ecumenical relations as understood from the beautiful fruition of the ecumenical dialogue. Especially the interpretation of the word ‘Anamnesis’ reflected by the Catholic and Lutheran church, and the comparison in this theses about epiclesis among some Korean churches in Eucharist prayer, show the theological and practical presence together with Korean Eucharistic practice. All of these reflections can offer the explanation as to why it is still difficult to practice Inter-Communion. For the Catholic Church, the ‘Faith of Eucharist’ ‘ordained ministry in the Apostolic succession’ ‘ecclesiology’ are elements that need to be resolved for Inter-Communion. But more importantly, I believe that the most crucial aspects are to live in communion with the Lord, to recognize Jesus in the poorest and smallest ones and to share with them these blessings materially and spiritually as a Christian. Moreover, there is a need to continue theological study about those topics not yet solved in ecumenical dialogue, at the same time, hoping that seeds of spiritual unity already present will continue to grow and flourish. 교회일치를 향한 모임에서 가장 쉽게 나오는 대화의 주제는 영성체공유 문제이다. 그러나 가톨릭교회가 타교파와 영성체를 공유하지 못하는 이유들은 잘 알려지지 않은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 문제와 직결되는 주제들에 대한 다양한 자료들을 검토하면서 성찬례 관련 교회일치 운동의 현황과 함께 영적 일치의 측면을 보려고 한다. 연구할 중심 주제들은 성찬례에서의 그리스도의 현존, 희생제사로서의 미사, 양형 영성체, 영성체공유이다. 연구방법은 교회일치대화에서의 논쟁적 매듭들, 성찬례에 관한 리마문서의 내용 및 이에 대한 몇몇 한국교회들의 응답, 그리고 한국에서의 성찬례 실행을 다루며 결론에서는 특별히 종교개혁 500주년을 기념해서 나온 『갈등에서 사귐으로』라는 가톨릭교회와 루터교회의 공식적 대화보고서의 내용에서 ‘아남네시스’, 에피클레시스’ 등을 검토한다. 결과, 교회일치대화를 통해 얻은 아름다운 결실을 보면서 다른 교파들과의 대화에서도 그러한 관계 개선을 희망한다. 특별히 가톨릭교회와 루터교회의 대화에서 숙고된 ‘기억’(아남네시스, anamnesis)에 관한 용어 해석, 그리고 이 논문에서 다루어진 몇몇 교파들의 성찬기도문에서의 에피클레시스(성령청원기도, epiclesis)에 관한 비교는 한국에서의 성찬례 실행과 더불어 신학과 실천의 현주소를 구체적으로 알려준다. 이 모든 숙고들이 영성체공유가 아직 힘든 이유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가톨릭교회의 경우, 성찬에 대한 믿음, 직무의 사도적 계승, 교회론과 연결된 일치 없이 영성체공유를 허락하지 않는다는 자세를 취한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성찬례 중에 받은 은혜에 보답하여 그리스도인답게 주님과의 친교를 이루면서 가장 작은이들 안에 계시는 예수님을 알아보고 그들과 영적으로 물질적으로 나눔의 삶을 사는 것이라고 본다. 또한 이미 존재하는 영적 일치가 성장하길 바라고 아직 미해결된 신학적 주제들의 연구를 계속 하길 제안한다.

      • KCI등재

        예배는 신앙을 강화한다 - 예배 태도로서 ‘신앙고백적 사모함’을 중심으로 -

        박관희 한국실천신학회 2022 신학과 실천 Vol.- No.81

        Early Christian worship, like Ordo, was a religious act and training of a liturgical caring community that reorganized and organized their own lives through the experience of God's presence. Thus, in the liturgical care community, worship attitud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reinforcing faith in all areas of worship.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understand a biblical and worship theology and concretely present the 'Confessional Yearning', which as the core of 'reinforcing faith by Liturgics' is the worship attitude of the congreg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Confessional Yearning is a compound word of spontaneity (confession of faith) and purity (yearning) that sacramentally performed in worship situations. It means that my faith is the earnestness and desire to confess with my whole personality (eg: heart, mind, mouth, etc.), and that Words, Praise, and Prayer based on anamnesis and prolepsis. Therefore, the congregation can participate in the entire worship service by confessing the message of preaching, the lyrics of hymn, and the content of prayer with heart, mind, and mouth in faith. When that happens, this will give the congregation a memory (anamnesis) of the work of the Triune God in all areas of worship . At the same time, this is a foretaste of the heavenly feast (prolepsis) on this earth through faith, so that we can live against this world with the hope of heaven without giving in to disappointment, despair, and setbacks. In other words, this Confessional Yearning experiences the healing and restoration of Jesus Christ who is present in the experience of God's presence. At the same time, it provides both a place to hope for heaven in faith and a foretaste of the peace and rest that comes from it. Therefore, the worship attitude of 'Confessional Yearning' plays the role of a liturgical ritual in which sinful human beings meet God through the sacramental story of God's salvation (eg: anamnesis and prolepsis), and this reinforces the faith of the congregation. 초기 기독교의 예배는, Ordo처럼, 하나님의 임재경험을 통해 자기 삶을 정비하고 조직하는 ‘예전적 돌봄’ 공동체의 신앙행위이자 훈련이었다. 그래서 ‘예전적 돌봄’ 공동체에게 있어 예배 훈련은 예배 전(全) 영역에서 신앙을 강화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본 논문은 ‘예전에 의한 신앙 강화’의 핵심인 회중의 예배 태도, 즉 예배 가운데 사모하는 마음을 가지고 신앙고백적 언어를 통해 능동적으로 참여하고자 하는 태도인 ‘신앙고백적 사모함’에 대한 성서적, 예배신학적 이해와 이것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신앙고백적 사모함은 자발성(신앙고백)과 순수성(사모함)의 합성어로서, 예배상황에서 성례적(聖禮的)으로 행해지는, 즉 아남네시스와 프로렙시스에 근거한 말씀, 찬양, 기도가 내 신앙이 되길 믿음으로 바라며 전인격(예: 마음, 생각, 입 등)으로 고백하는 간절함과 열망을 의미한다. 그래서 회중이 예배 전(全) 영역 가운데에서 설교의 메시지, 찬양의 가사, 기도의 내용 등을 마음과 생각과 입으로 그렇게 되기를 믿음으로 시인(고백)하며 참여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이것이 회중에게 예배 전(全) 영역에서 삼위일체 하나님께서 행하신 일(활동)을 기억하는 동시에(anamnesis), 천국잔치를 믿음을 통해 이 땅에서 미리 맛봄으로 실망과 절망과 좌절에 굴하지 않고 하늘의 소망을 갖고 이 세상과 맞서 살아갈 수 있게 한다(prolepsis). 즉, 이와 같은 신앙고백적 사모함은 하나님 임재경험 속에서 현존하시는 예수 그리스도의 치유와 회복을 경험하고, 동시에 천국을 믿음으로 소망하며 그곳에서 오는 평안과 안식 등을 미리 맛보는 삶의 자리 모두를 제공한다. 그래서 ‘신앙고백적 사모함’의 예배 태도는, 죄인 된 인간이 성례적인 하나님의 구원이야기(예: 아남네시스와 프로렙시스)를 통해, 하나님을 만나는 ‘예전적’ 제의(ritual)인 동시에 자기 삶을 영적으로 돌보고 양육하고 격려하는 ‘돌봄적’ 제의(ritual)의 역할도 한다. 회중에게는, 이 2가지 합성어인, ‘예전적 돌봄’의 역할을 통해 신앙이 강화된다.

      • 애상 기억과 ‘행위자’로서의 사물들 - W. G. 제발트의 소설, 『이민자들 Die Ausgewanderten』(1994)에서 쎌윈 박사를 중심으로

        채연숙(Yonsuk Chae) 대한문학치료학회 2023 대한문학치료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인간 삶 속에서 비인간, 즉 사물들이 행위할 수 있는가 하는 질문에서 시작하며 사물들이 행위할 수 있다면 어느 범위 내에서 행위할 수 있는가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분석의 대상은 제발트의 소설 『이민자들』에서 쎌윈 박사이며 그를 둘러싼 사물들이 어떻게 행위자로서의 기능을 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특히 이러한 사물들은 쎌윈 박사에게 서사 속 인간 인물들이 주지 못하는 위로를 주고 있다고 보고 이를 브루노 라투르의 ANT 이론에 적용하여 읽어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3가지로 정리할 수 있겠다. 첫째, 사물들은 행위자로서의 기능을 하되 이는 쎌윈 박사의 삶의 활력과 비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쎌윈 박사 주변에는 다양한 사물들이 존재하는데, 여기에는 그의 야생정원에 자생적으로 살아남은 식물과 야채들, 그리고 사진과 나무들을 들 수 있다. 셋째, 사물들 외에도 쎌윈 박사를 둘러싼 인간 인물들, 그의 아내 헤디, 네겔리, 아일린, 화자와 클라라, 엘리스 등은 그와는 이미 먼 거리를 두고 살고 있거나 이 세상에 없는 망자들이라는 점이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비인간인 사물들이 쎌윈 박사의 일상적 삶 속에서 의미하는 바는 자못 크고 충분히 행위자로서의 주요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보았다. 그 밖에도 본 고에서는 쎌윈 박사의 기억 구조를 시문학에서 종종 찾아볼 수 있는 ‘아픈 기억’으로 간주하여 애상 기억으로 보았으며, 이에 대한 근거로 쎌윈 박사의 향수병, 즉 ‘시대적 상흔’으로 읽고자 하였다. 그러나 아쉽게도 쎌윈 박사의 주변을 둘러싼 인간과 비인간들(여기서는 사물들)은 제각각 삶의 활기를 잃어감으로써 개별 행위자로서는 물론 위로자로서의 상호 행위적 관계에서도 삶의 체념, 혹은 상실로 마감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Anamnesis and Prolepsis in the Modern Eucharistic Prayers of the Roman Catholic and the Lutheran Church

        조기연 한국실천신학회 2013 신학과 실천 Vol.0 No.37

        According to the Western linear time, the past no longer can be grasped in the present. In the same manner, the future is not accessible in the present because it has not yet come. Yet, Oriental cyclical time is different from the latter. Because East Asian philosophy is based on the phenomena of the organic world, it always recognizes the cycle or rotation of the phenomena in which one succeeds the otther until the starting point is reached again. In this the past, the future, and the present are continually interrelated and come together. This is same in Christian Worship. The past is not an isolated one from the present. The past is closely related to the present. This is same in the case of the future. The one embraces the other and vice versa. In Worship, all past events come together into the present with events which will occur in the future. Not only does the salvation work of Christ take the dominant role in worship, but the creation work of the Father comes together into the present time of the worship. They are together ‘experienced anew’ and the participants give thanks to God for both actions of God. Moreover, these events are related with the future consummation— the fulfillment of the Kingdom of God. The kingdom of God is foretasted and expected in its fulfillment in worship. In this sense, the Eucharist is an eschatological banquet. In other words, the entire history of creation, salvation, and consummation come gogether in worship. Worship is a focal point of all salvation history.

      • 예배, 타나토스를 넘어선 승리의 아남네시스

        김순환 한국실천신학회 2008 한국실천신학회 정기학술세미나 Vol.2008 No.1

        자살 예방은 예배학적 관점에서도 결코 간과될 수 없는 주요 사안이다. 본 논문은 특별히 자살의 사전 예방에 초점을 맞추어 극소수지만 자살 동기를 가진 사람들을 위해 예배를 반성적으로 성찰함으로써 그 해결책을 찾는데 관심을 갖고 있다. 예배가 제공하는 총체적 생명본능의 질과 달리 그것의 안티테제로 볼만한 정신분석학의 타나토스 개념을 상징어로 사용하여 반생명적이요 죽음본능의 힘인 그것의 실체와 그 극복을 위한 예배의 역할과 중요성을 다루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프로이드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자기파괴적인 죽음본능(death instinct)이 자살의 주범이라고 말하였다. 따라서 승리의 아남네시스가 되기 위해 예배는 다음과 같은 모습이어야 한다. 도덕 강론이 아닌 그리스도의 현존과 그의 실제적 역사(役事)의 장이 되어야 한다. 완성형 제의(祭儀)가 아닌 생활 속으로 파고 들어가기 위한 서주(序奏)가 되어야 한다. 종말론적 대망으로 하나 됨을 통해 타나토스를 극복하는 장(場)이 되어야 한다. 앞으로 자살의 이슈는 첨단 문명화로 치닫는 미래 사회에서도 계속될 것인데 교회는 예배의 바람직한 실행을 위한 노력을 더욱 기울여 나감으로써 예배의 다이내믹을 실효적으로 강화하여 오늘의 척박한 현실 속에서도 예배를 통해 역사하시는 성령을 통해, 부활주의 현존과 역사를 통해 신자들의 삶에서 움트는 타나토스의 세력을 극복해 나가도록 예배의 신학과 실제의 재정향을 거듭하여야 할 것이다. Issue of prevention of suicide among Christians today may be one of the -significant concerns in liturgics as well pastoral care or pastoral counseling. This article seeks to find out appropriate ideas in liturgical practice to solve such problems by critically reflecting its themes, contents, or theological basis in current protestant liturgies. Adaptation of concept, "thanatos" in this article, which means death instinct contrary to the eros instinct or life instinct, is useful in dealing with this issue because it may symbolize the power of death shadowing over widely people in general. Freud even claimed that death instinct in human being is the very principal of suicidal impetus. Now, not to be a session to accelerate unnecessary guilty feeling rather than emphasizing a victorious anamnesis, worship should be changed into followings. First, it should not any more an intellectual ethical session alone but a feast where the risen Christ is currently present and work through an full exposure intact of the Gospel in worship. Secondly, it should not be a self-sufficiently closed ritual only for participants in particular time and space but a starting ceremony of reaching out for the rest of the community where not a few people may be trapped physically or psychologically in helpless and even suicidal condition. Thirdly, it should be a heavenly feast to help people foretaste the Kingdom of God and get over their current despairs despite of temporal frustration and hopelessness in lif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