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항만경쟁 주체와 항만선택 결정요인간 관련성 분석

        김태원(Tae-Won Kim),김율성(Yul-Seong Kim),곽규석(Kyu-Seok Kwak),남기찬(Ki-Chan Nam)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0 No.3

        세계 경제, 해운 그리고 항만의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세계 주요 항만들은 경쟁력 제고에 집중하고 있다. 하지만,기존의 항만경쟁요인과 관련된 연구들은 주로 항만간 경쟁요인을 분석하는데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이에 본 연구는 항만 경쟁력 재고를 위해 중앙정부, 항만당국, 터미널 운영사, 선사, 기타기관 등 항만 구성원과 항만선택 요인들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각 구성원들의 특성에 맞는 항만마케팅 전략과 경쟁력 제고방안을 수립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우선, 해운.항만시장의 환경변화를 검토하여 이러한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항만선택 결정요인들을 검토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항만을 구성하고 있는 항만경쟁주체들과 항만경쟁 요인들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하지만 비용, 서비스, 시설 등의 측면에서는 항만당국과 터미널 운영사 등에서 관련성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선사 유치를 위하여 항만당국들이 제시하는 인샌티브 등 제도적 측면에서의 지원과 항만의 직접적인 운영과 관련한 터미널 운영사라는 측면이 부합된 결과라 할 수 있겠다. 그러나 항만당국과 터마널 운영사 외 다른 주체들 역시 각각의 속성에 따라 관련성이 높은 요인들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요인들을 토대로 항만경쟁주체들간의 항만마케팅 전략 수립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o correspond actively to international economy, shipping and port environment change, world main ports have converged in competitiveness raising. However, existing researches have been intensively analyzed port competitiveness on among ports. So,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 between the main factors of port selection and port competition players: central government, port authority, terminal operators, shipping companies, etc. This paper has a purpose that each port competition player makes a competitive strategy in accordance with this study. First, this study reviewed shipping and port market's environment change and port selection decision factors to correspond to these environment changes and on the basis of this review analyzed relativity between component port competition players and port competition factors. However, port authorities and terminal operators appeared high relevance about in side af expense, service, facilities etc. Because port authorities offered incentive to pull many shipping companies to their ports and terminal operators managed port authorities' ports. But we could deduce high relevance according to other market players' properties without port authorities and terminal operators. Port marketing strategy establishment among port competition players is available on the basis of these factors.

      • KCI등재

        새만금신항만 특화에 관한 결정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김남석(Namsuk Kim),최도원(Dowon Choe),전영환(Younghwan Jeon) 한국항만경제학회 2012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28 No.1

        본 연구는 새만금신항만을 건설함에 있어 국제적인 선사, 화주 및 포워더 유치를 위해 항만경쟁력 중 어떠한 국제경쟁력을 확보해야 새만금신항만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인지 그 요인을 선정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 요인분석 및 계층분석적 의사결정방법론(AHP)을 사용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하여 짧은 입출입 항로, 주요 인프라 개발추진, 세제감면 및 규제완화를 비롯한 총 11가지의 측정변수를 선정하였고, 요인분석을 통해 ‘입지 및 시설’, ‘주변인프라 및 친수성’, ‘지역 정책 및 환경’의 총 3가지의 상위평가 요인들을 그룹핑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측정변수들의 신뢰성 검증을 요약 분석한 결과 총 11개의 측정변수의 Cronbach alpha 계수가 0.8 이상으로 나타나 신뢰성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일관성 검증 및 상위평가기준 중요도 분석과 측정변수별 중요도 분석을 실시하여 측정변수들의 우선순위를 산정한 결과 ‘주요인프라 개발추진’이 가장 우선시 되는 측정변수로 선정되었으며 그 뒤를 이어 ‘중국 경제특구와 의 인접성’, ‘넓은 항만 배후부지’, ‘공항과의 인접성’, ‘국유지로 인한 국책사업의 가능성’ 순으로 나타났다. 새만금신항만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활성화 방안으로는 새만금신항만을 환황해권 물류중심 허브항으로 건설하고 환경변화에 따른 대형선사를 유치해야 한다. 또한 새만금신항만의 시사점으로서 새만금신항만을 중량물 전용부두로 건설할 것을 제안해 보았다. 본 연구는 향후 개장 될 새만금신항의 국제경쟁력 요인 선정에 있어 중요한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define which factors will contribute to vitalization of Saemangeum New Port to secur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n order to attract international shipping companies, shippers and forwarders in constructing Saemangeum New Port, and to propose subsequent implications. For research methods of the current study, a factor analysis and a decision making method of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were used. Through precedent studies, total 11 measuring variables were selected including short entrance and exit channels, main infrastructure development project, tax cut and deregulation, and through a factor analysis, total 3 high rank evaluation factors including ‘location and facilities’, ‘surrounding infrastructure and hydrophile property’, and ‘local policy and environment’. Analysis results summarizing a test of reliability of measuring variables in this study indicate that as Cronbach alpha coefficient of total 11 measuring variables were turned out to be over 0.8, it is surpassing general average 0.6, which means there is reliability.

      • KCI등재

        수입자동차의 평택항 선택 결정 요인에 관한 분석

        최기영(Kiyoung Choi) 한국항만경제학회 2011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27 No.3

        평택항이 자동차 수출입 특화항으로 부상하고 있다. 울산항에 이어 줄곧 2위항 자리를 지켜 온 평택항이 2010년 우리나라 31개 항만 중 자동차 수출입 처리 실적 전국 1위항을 기록했다. 2011년에는 수출입 자동차 물동량이 100만대를 넘어설 전망이다. 평택항은 특히 외국산 수입자동자들에게 인기가 높다. 2011년 상반기 수입물량이 2010년 한해 물량에 거의 육박하고 있는 수준이다. 본 연구는 수입자동차들이 평택항 선택 결정 요인과 평택항의 개선 필요 요인게 대한 관계자들의 견해를 묻고 그 중요도를 분석했다. 본 연구는 2011년 7월 현재 평택항을 이용하고 있는 14개 수입자동차 회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AHP분석 방법을 통해 실시했다. 본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 외국산 수입자동자들의 항만선택 시 가장 중요한 결정요인은 ‘항만입지’이며, 개선이 가장 시급한 요인은 ‘항만시설’로 분석됐다. Pyeongtaek Port is becoming a specialized for importing or exporting cars. In 2010, Pyeongtaek Port became the major port, out of the 31 ports in Korea, for import and export of cars. Usage of this port was especially high for imported cars. In 2011, more than 1 million cars are expected to be imported or exported via Pyeongtaek Port. This researeh analyses the factors for selecting Pyeongtaek Port for imported cars and recommendations required to improve Pyeongtaek Port. To do this,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14 imported car companies that currently, July 2011, use Pyeongtaek Port and used AHP criteria to asses the importances of each factors. According to this researeh,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 for the use of Pyeongtaek Port is ‘Port Location’ followed by ‘Port Cost’, ‘Port Facility’, ‘Port Service’, ‘Port Marketing' and ‘Port Cargo Volume’, in the order of importance. Also, imported car companies say that the factor in need for the most urgent improvement is ‘Port Facilities’ in Pyeongtaek Port.

      • 항만선택결정요인에 대한 연구의 재정립을 통한 국내 중.소형 항만의 향후 발전 방향에 관한 고찰

        이면수,곽규석,남기찬 한국항해항만학회 2010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춘계

        선박의 대형화 추세와 더불어 세계 항만들이 급성장하고 있는 실정에서 각 항만들은 경쟁력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많은 전략을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국제환경으로 인해 기항지 축소가 이루어지며 세계 주요 항만들은 증가하는 물동량을 처리하기 위하여 지역간 Hub항만을 추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항만선택결정요인의 연구를 살펴보고 재정립함으로써 국내에 있는 중소형항만들이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항만선택결정 연구 재고찰을 통한 국내 중소형 항만의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

        최훈도(Hoon-Do, Choi),임동석(Dong-Seok, Lim),이면수(Myoun-Soo, Lee),곽규석(Kyu-Seok, Kwak) 한국항해항만학회 2010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추계

        물류환경의 급격한 변화와 함께 항만을 둘러싼 환경도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와 같은 항만환경의 급격한 변화는 동북아지역을 중심으로 한 전 세계 컨테이너 물동량의 급속한 증가, 정기선사의 경영전략 변화, 부두운영업의 글로벌화, 물류중심화 선점을 위한 경쟁 격화, 선박기술의 혁신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항만의 운영·관리 책임자들이 이러한 변화를 예측하고 이에 신속히 대응하지 못하면 그 항만은 경쟁에서 뒤지게 된다. 국내외를 연결하는 항만 간 경쟁은 국제적인 것이 일반적이어서 우리나라 항만뿐만 아니라 이웃나라 항만과의 경쟁에서도 살아남아야 한다. 특히 우리나라 항만은 전 세계적으로 항만 간 경쟁이 가장 치열한 동북아 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더욱 강력한 경쟁력을 확보하지 않으면 항만 간 경쟁에 뒤져 국제무대에서 사라질 수밖에 없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대형항만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항만선택결정요인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살펴보고 이를 재고찰하여 중소형항만에 적용시키고 향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항만을 이용하는 화주 선호도에 관한 연구(환황해권 항만을 중심으로)

        이면수,최훈도,유장호,남기찬 한국항해항만학회 2015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9 No.6

        환황해권 항만을 이용하는 화주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한, 항만선택 계층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요인분석 및 AHP분석을 시행 하였다. 17개의 요소를 바탕으로 요인분석 결과 항만서비스, 항만운영 및 입지적 조건, 배후지와의 연계성, 항만비용, 항만으로의 접근성 및 항 만시설 등 총 6개의 요인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AHP분석을 시행하였으며, 각 요소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항만비용, 항만서 비스, 항만시설, 배후지와의 연계성, 항만으로의 접근성 및 항만운영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AHP분석을 통하여 중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항만인센티브가 환황해권 항만을 이용하는 화주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국내 컨테이너항만의 인센티브제도를 검토한 결 과 환황해권 항만의 군산항, 대산항, 목포항이 화주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였으며, 평택·당진항은 제공하지 않고 있었다. 즉, 군산항, 대산항, 목 포항은 기존의 화주에 대한 인센티브제도의 강화 및 평택·당진항은 화주에 대한 인센티브제도를 도입이 시급하다. To analyze the port choice hierarchy, factorial and AHP analysi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survey for shippers using west coastal ports. As the result of analysis with 17 factors, 6 main factors; port service, port operation and geographical condition, connectivity to hinterland, port cost, accessibility and facilities were chosen. Based on this, AHP and correlation analysis of each factor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shown as cost, service, facility, connectivity, accessibility and operation in order. In addition, several ways for incentive program, the most important factor based on AHP analysis, to influence shippers around west coastal port were reviewed. As the result of review for the incentive program of domestic container ports, it was shown that three ports, Gun-san, Dae-san and Mok-po, offer incentive to shipper while two ports, Pyeong-tak and Dang-jin, do not. Therefore, the former three ports need to reinforce the existing incentive program while the latter ones introduce it.

      • KCI등재

        항만을 이용하는 화주 선호도에 관한 연구(환황해권 항만을 중심으로)

        이면수,최훈도,유장호,남기찬 한국항해항만학회 2015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9 No.6

        To analyze the port choice hierarchy, factorial and AHP analysi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survey for shippers using west coastal ports. As the result of analysis with 17 factors, 6 main factors; port service, port operation and geographical condition, connectivity to hinterland, port cost, accessibility and facilities were chosen. Based on this, AHP and correlation analysis of each factor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shown as cost, service, facility, connectivity, accessibility and operation in order. In addition, several ways for incentive program, the most important factor based on AHP analysis, to influence shippers around west coastal port were reviewed. As the result of review for the incentive program of domestic container ports, it was shown that three ports, Gun-san, Dae-san and Mok-po, offer incentive to shipper while two ports, Pyeong-tak and Dang-jin, do not. Therefore, the former three ports need to reinforce the existing incentive program while the latter ones introduce it. 환황해권 항만을 이용하는 화주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한, 항만선택 계층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요인분석 및 AHP분석을 시행하였다. 17개의 요소를 바탕으로 요인분석 결과 항만서비스, 항만운영 및 입지적 조건, 배후지와의 연계성, 항만비용, 항만으로의 접근성 및 항만시설 등 총 6개의 요인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AHP분석을 시행하였으며, 각 요소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항만비용, 항만서비스, 항만시설, 배후지와의 연계성, 항만으로의 접근성 및 항만운영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AHP분석을 통하여 중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항만인센티브가 환황해권 항만을 이용하는 화주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국내 컨테이너항만의 인센티브제도를 검토한 결과 환황해권 항만의 군산항, 대산항, 목포항이 화주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였으며, 평택·당진항은 제공하지 않고 있었다. 즉, 군산항, 대산항, 목포항은 기존의 화주에 대한 인센티브제도의 강화 및 평택·당진항은 화주에 대한 인센티브제도를 도입이 시급하다.

      • KCI등재

        국내 중소형 항만의 경쟁력 확보 방안에 관한 연구 : 전라도 항만을 중심으로

        이면수(Myoun-Soo Lee),최훈도(Hoon-Do Choi),임동석(Dong-Seok Lim),곽규석(Kyu-Seok Kwak) 한국항해항만학회 2010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4 No.10

        물류환경의 급격한 변화와 함께 항만을 둘러싼 환경도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와 같은 항만환경의 급격한 변화는 동북아지역을 중심으로 한 전 세계 컨테이너 물동량의 급속한 증가, 정기선사의 경영전략 변화, 부두운영업의 글로벌화, 물류중심화 선점을 위한 경쟁 격화, 선박기술의 혁신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항만의 운영?관리 책임자들은 이러한 변화를 예측하고 이에 신속히 대응하여 항만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국내외를 연결하는 항만 간 경쟁은 국제적인 것이 일반적이어서 우리나라 항만뿐만 아니라 이웃나라 항만과의 경쟁에서도 우위를 확보해야만 한다. 특히 우리나라 항만은 전 세계적으로 항만 간 경쟁이 가장 치열한 동북아 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더욱 강력한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한다면 항만 간 경쟁에서 뒤처져 국제무대에서 사라질 수밖에 없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항만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항만선택결정요인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살펴보고 이를 재고찰하여 중소형 항만에 적용시킬 수 있는 요인을 도출하여 향후 이들 항만의 경쟁력 확보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As the environment of Logistics is changing rapidly, the environment of port is also changing. Accordingly, rapid change within port environment appears as the increase of the volume for world wide cargo, liner ship owners' strategy shift, globalization of terminals, heavy competitions to become a hub of Logistics, development of ship engineering. Therefore, the people who are responsible for the operations and managements of ports foresee such changes and accordingly react to ensure competitiveness. As the competition among ports generally goes international, a port needs to be sure that they become superior to any other port regardless of whether it's outside their country or not. Especially Korea is located in the most heavily competitive area which is Far-East. So if we fail to get competitiveness against the other port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our ports will be defeated by them. In brief, this paper will discuss the history of study regarding the factors by which a port is selected and also suggest some of elements which can be applied to small ports in the future of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