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esNet 기반 작물 생육단계 추정 모델 개발

        박준(Jun Park),김준영(Jun-Yeong Kim),박성욱(Sung-Wook Park),정세훈(Se-Hoon Jung),심춘보(Chun-Bo Sim)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2022 스마트미디어저널 Vol.11 No.2

        산업화 이후 가속화된 지구 온난화 현상으로 인해 기존환경 변화 및 이상기후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농업은 기후변화에 매우 민감한 분야의 산업으로 지구 온난화는 작물의 생산량을 감소시키고 재배 지역이 변하는 등의 문제를 발생시킨다. 또한, 환경 변화는 작물의 생육 시기를 불규칙하게 만들어 숙련된 농사꾼들도 작물의 생육단계를 쉽게 추정할 수 없도록 만들어 여러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작물의 생육단계를 추정하기 위한 CNN(Convolution Neural Network)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한 모델은 ResNet의 Pooling Layer를 수정한 모델로 ResNet, DenseNet 모델의 생육단계 추정보다 높은 성능 결과를 확인하였다. Due to the accelerated global warming phenomenon after industrialization, the frequency of changes in the existing environment and abnormal climate is increasing. Agriculture is an industry that is very sensitive to climate change, and global warming causes problems such as reducing crop yields and changing growing regions. In addition, environmental changes make the growth period of crops irregular, making it difficult for even experienced farmers to easily estimate the growth stage of crops, thereby causing various problems.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CNN model for estimating the growth stage of crops. The proposed model was a model that modified the pooling layer of ResNet, and confirmed the accuracy of higher performance than the growth stage estimation of the ResNet and DenseNet models.

      • 딸기 수경재배에서 배액 발생량 조사

        이동관 ( Donggawn Lee ),이주은 ( Jooeun Lee ),백이 ( Yee Paek ),이태석 ( Taesuk Lee ),임류갑 ( Ryugap Lim ),장재경 ( Jae Kyung Jang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0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1

        최근 폐양액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수경재배 시 급액량의 20~30%가 배액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배액량은 온도, 풍속, 일사량, 습도 등 환경요인뿐만 아니라 작물 생육단계에 따라 복합적으로 영향을 받기 때문에 배액량 20~30%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기는 쉽지 않다. 본 연구는 특히 활발한 생식 생장 마지막 시점에서 배액량이 어느 정도 되는지 알아보았다. Test bed 5개가 설치된 단동 비닐온실(224m2)에서 내/외부 온도, 습도, 일사량 등 환경 조건과 배액량을 측정하였다. 기본적으로 양액은 1회당 10L씩 맑은 날 기준 4회(08:30, 10:00, 12:00, 15:00) 또는 5회(08:30, 10:00. 12:00, 13:00, 15:00)주기로 급액하였으며, 강우시에는 3회 급액하였다. 각 베드별 묘수는 1~5번 베드당, 102, 109, 104, 118, 92개였다. 표준공급 EC는 1.2 dS/m였으며, 초기 0.6, 0.8, 1.0으로 점차 증가시켜 수확기에 1.0~1.3으로 조절하였다. 수확기 이후 본 실험은 pH 5.9~6.0, EC 1.0dS/m로 운전하였다. 이 결과 bed1~bed5까지 각각 37.7L(75.4%), 32.3L(64.4%), 34.9L(69.8%), 38.9L(77.8%), 45.5L(91%)가 배출되어 평균 75.7%가 배출되었다. 딸기 작물 배액은 전반적으로 일사량이 낮을수록, 습도가 높을수록, 온도가 낮을수록, 풍속이 높을수록 배액의 양을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배액량이 통상적으로 배출되는 양인 20%보다 많은 양이 배액되고 있었으며, 실제로 농가에서 필요양보다 많은 양을 사용하고 있을 수 있어 작물 생육단계별 양액 급액 조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