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어와 일본어 모어 화자의 한국어 음절 종성 산출 차이 연구

        장향실 ( Hyang Sil Chang ) 우리어문학회 2016 우리어문연구 Vol.55 No.-

        본고는 한국어 음절 종성에 대한 일본어와 중국어권 화자의 산출 차이에 대해고찰하였다. 중국어권 학습자와 일본어권 학습자는 공통적으로 한국어의 종성 ‘ㄱ, ㄷ, ㅂ’ 등을 제대로 발음하지 못하는데, 그 이유는 학습자의 모국어인 중국어 및 일본어와 목표어인 한국어의 음절 구조가 다르기 때문이다. 그런데 주목을 요하는 것은 두 언어권 학습자의 발음 산출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점이다. 중국어권 학습자들은 대개 음절 종성을 탈락시켜 발음하는 경향이 강한 반면, 일본어권학습자들은 음절 종성을 후행 음절의 초성으로 재음절화하여 발음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한국어의 CVC 음절을 가지는 단어에 대해 일본어권 학습자는 CV.CV로 산출하는 데 비해 중국어권 학습자는 CV로 산출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 기존의 음운론 연구에서는 외국인 학습자의 목표어 음절 종성 발음은 목표어의 음절종성이 가진 특성에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다. 하지만 한국어의 같은 종성 자음에 대해 두 언어권 학습자가 달리 산출한다는 것은, 그 원인이 학습자 모어의 음절구조 및 음절화 원리에서 비롯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본어와 중국어의 음절 구조 특징 및 음절화 원리를 살펴보았다. 특히 두 언어가 모두 기본적으로 CV 음절 구조를 가지는 언어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산출 결과가 나오는 원인에 대해 주목하였다. 분석 결과일본어권 학습자가 한국어의 CVC 음절을 CV.CV로 산출하는 이유는 그들이 한국어의 음절 종성을 일본어의 촉음 廷와 발음 ん로 대응하는 데서 비롯되는것으로 파악된다. 일본어권 화자는 한국어의 종성을 일본어의 촉음이나 발음으로 대응시키는데, 이들은 CV-Q.CV, CV-N.CV의 구조로만 나타나야 하는 음절 구조 제약을 가진다. 이 때문에 한국어의 CVC 음절을 CVC.CV구조로 발화하는 것이다. 중국어권 학습자의 경우, 한국어 종성 탈락은 그들이 하나의 형태소를 하나의 음절로 인식하여 음절화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하나의 형태소(문자)를 하나의 음절로 인식하기 때문에 한국어를 인식할 때에도 음절 단위로 표기되는 한국어의 표기에 많이 견인되어 오류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This thesis aims to investigate different outputs of Korean syllable-final consonant that are pronounced by Chinese and Japanese learners. The Chinese and Japanese who are learning Korean samely pronounce Korean syllable-final consonant incorrect especially, syllable final consonant ㄱ, ㄷ, ㅂ. The inaccuracy results from the difference in syllable structure among the Korean, Chinese, and Japanese. Other study on Korean phonology regard the error of foreign learners`` pronounce as being due to the nature of syllable-final consonant of target language. But different output of syllable-final consonant in Korean between Chinese and Japanese learners shows that the causes of error result from the syllable structure of foreigners`` mother tongue. By the way, it is different that the output of Korean syllable-final consonant pronounced by Chinese and Japanese learners. The Chinese learners are generally apt to eliminate syllable-final consonant of Korean. But the Japanese learners usually resyllabicate the consonant in coda as the next initial consonant. It means that the Chinese learners pronounce the word which is CVC syllable structure like CV syllable structure word. But the Japanese pronounced like CV.CV structure word. The reason for the Japanese learners output as CV.CV structure in pronounce CVC structure word is that the Japanese learners unconsciously regarded the syllable-final consonant as Japanese ``廷`` or ``ん``. As result, the Japanese learners outputs as CV-Q.CV CV-N.CV structure. But the Chinese learners`` eliminating the syllable-final consonant are resulted from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which is the certain syllable boundary. The Chinese learners are affected by the characteristic of their syllable structure. This thesis investigated the outputs of Korean syllable-final consonant produced by foreign learners, especially Janpanese and Chinese learners. The foreign learners`` error are caused by the syllable structure of their mother tong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