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사극의 시학에 대한 소고 : 함세덕의〈낙화암〉을 중심으로

        김기영 ( Kee Young Kim ) 한국드라마학회 2010 드라마연구 Vol.- No.32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universal rules of the poetics of historical plays by examining the process of creating a historical play and its results. Further, it applies the rules to interpret the most representative Korean historical play in colonial Korea, Ham Se-duck`s Nakhwaam published in 1940. Finally, the interpretation of Nakhwaam demonstrates the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of Korean historical plays in colonial Korea. The universal rules of the poetics of historical play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n historical play should construct an artificial world containing in itself the condition and result of an historical event (artificiality). (2) An historical play should represent the universal situation recurring in human society (universality). (3) An historical play should show the recreated and remodeled normative character and attitude of historical figures (normativeness). (4) An historical play should transform historical material into a parable which functions to satisfy the taste of the audience and send a didactic message (popularity and didacticism). (5) An historical play should contribute to shaping the identity of a nation and state (identity). (6) An historical play should understand and criticize the present situation to suggest future prospects (prospects). The application of the universal rules to Nakhwaam reveals that the work is structured by the rules of the poetics of historical plays as follows. The organization of the artificial world is set during the period of the fall of Baek-jae Dynasty; there is a dramatization of the universal situation of conflict between loyal and disloyal people in the dynasty; the representation of the normative character and attitude is realized in the figure of Prince Ryung; the satisfaction of the audience`s taste is fulfilled by offering a visualization of the history of the fall; a didactic message is sent; and the preservation of the memory of Baek-jae Dynasty`s nobility is an important concern. Additionally, the particularity of Korean historical plays lies in the fact that Nakhwaam is characteristic of the genre of tragedy, which the colonial situation in Korea must have inspired the dramatist to select. In conclusion, Nakhwaam was found to demonstrate both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conventions found in the historical play genre. 역사와 문학이 맺는 관계가 분명하지 않기에 역사극은 그 정체가 불분명한 장르로 인식되어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고는 역사극의 구성방식과 결과의 관점에서 규범적 시학을 재구성하여 역사극 장르의 정체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고는 역사극을 구성하는 시학적 원리로서 인공성, 보편성, 모범성, 대중성, 교훈성, 정체성, 전망성을 추출해냈다. 다시 말해서, 역사극은 역사소재의 변형을 통해서 조건과 결과를 자신 안에 포함하는 인과적인 세계를 인공적으로 구성해야 한다(인공성). 역사극은 역사소재를 전형화함으로써 인간 공동체 삶에서 반복해서 등장하는 보편적인 상황을 재현해야 한다(보편성). 역사극은 과거라는 거울을 통해 현재를 비추어 모범적인 인물을 형상화해야 한다(모범성). 역사극은 역사적 사실을 우화로서의 역사로 구조화하여 대중적인 취향을 만족시키고 교훈적인 메시지를 전달해야 한다(대중성과 교훈성). 역사극은 민족이나 국가 공동체의 혼이 담긴 역사를 소재로 삼아서 민족이나 국가의 정체성을 확립해야 한다(정체성). 마지막으로, 역사극은 현실을 이해하고 비판함으로써 미래에 대한 전망을 제시해야 한다(전망성). 이러한 원리에 따라서 역사소재는 그 역사적 특수성에서 벗어나서 문학적 역사로 구조화한다는 것이다. 이상의 역사극 시학 원리를 기준으로, 함세덕이 1940년에 발표한 역사극〈낙화암〉을 분석함으로써 1940년대 한국 역사극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보여주고자 하였다.〈낙화암〉은 (1) 의자왕의 인간적 결함이란 조건이 어떻게 백제멸망이란 결과를 낳는지를 보여주는 허구적인 세계를 구성한다(인공성). (2) 나라의 흥망과 관련하여 선한 세력과 악한 세력, 부자 관계 등의 보편적 갈등상황을 전개한다(보편성). (3) 이와 같은 상황 속에서 태자와 같은 애국적인 인물을 전형화하여 모범적인 태도를 형상화한다(모범성). (4) 애국적이고 고귀한 영웅과 그의 유지를 받드는 백성의 모습으로 조선민족의 정체성을 보여준다. (5) 왕의 인간적 결함과 내부 세력들 사이의 갈등이 초래하는 망국에 대한 교훈성을 담는다. (6) 나라의 멸망을 무대 위에 장경화하여 대중적 감각과 취향을 만족시킨다(대중성). (7) 식민지 현실의 전망부재 상황에서도 문학의 매체 속에서는 고귀한 백제로 영원히 기억되리라는 미래를 제시한다(전망성). 이처럼〈낙화암〉은 역사극의 보편적 시학의 원리를 충족한다. 다른 한편으로〈낙화암〉은 비록 멜로드라마적 특성을 띠지만 대체로 비극 장르의 문법에 맞게 구성되었다는 점에서 1940년대 한국 역사극의 특수성을 잘 보여준다. 이 작품은 저항정신과 애국정신으로 무장한 고귀한 영웅들의 몰락으로 도덕적 우월성을 강조하면서 비극적 정서를 환기하고, 미학적이고 윤리적인 세계를 구축하여 식민지 현실이란 전망부재 상황을 극복하려고 했기 때문이다.

      • KCI등재후보

        역사극, 무대로 나온 역사: 역사극의 기원, 개념, 범주

        김기봉 ( Gi Bong Kim ) 한국드라마학회 2010 드라마연구 Vol.- No.32

        It is true that the concept of the ``historical play`` has been mostly researched through the viewpoint of play. But I, in this article, want to propose a little different approach to the conventional discussion, while supplementing the previous views and focusing on the play which might be newly constituted of the origin, concept and category of the historical play from the historical science. Nietzsche once said that the un-historical entity could be defined and that the historical entity only be interpreted as well. The meaning of historical play then should be explained by interpreting for the history of historical play. I would like to classify the periods of the history of historical play as three different ways, drawing the classification to my coined words of ``history as a subject`` and ``play as a predicate.`` First, most historical plays of the traditional era were to show a sort of universal truth mainly through the performance of actors, that could be defined as the history as a predicate. The historical plays at this time were played to sublimate a particular fact into the universal truth through the modification of history as the play. Second, modern historical plays were born to change the conventional relationships of the ``history as a subject`` and the ``play as a predicate.`` Such historical plays dominated all of the stages of play with the meta-narrative of history. Third, in the modern time the contents of history began to determine the form of play. But the post-modern historical plays that I concerned here are in a sense to go back to the traditional time in which "theater plays with history." Historical play must be defined as calling the characters of the past out on the stage with one`s historical imagination. We tell ``the dreaming history`` through the historical imagination, while breaking away from the yoke of ``the real history.`` ``The dreaming history`` is not an anti-history, but is formed as a generator producing a called historical energy by which we create a new history of the future beyond ``the real history.`` The historical play has its meaning when performed as the form of ``dreaming history`` on the stage. To say, the postmodern historical play is all the plays performed on the stage for ``the historical effect``. 역사극에 대한 종래의 연구는 주로 연극의 관점에서 이뤄졌다면, 본 논문은 역사극의 기원, 개념, 범주를 역사학의 측면에서 접근함으로써 기존의 연극 중심의 논의를 보완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니체 말대로 비역사적인 것만이 정의할 수 있고 역사적인 것은 해석될 수 있을 뿐이라면, 역사극이란 무엇인가는 역사극의 역사를 해석하는 것으로 해명되어야 한다. 역사극의 역사는 역사라는 주어와 연극이라는 술어의 관계맺음 방식의 변화에 따라 셋으로 시대구분 될 수 있다. 첫째, 전통시대 역사극은 연극이 역사를 술어적으로 규정하여 인간 삶의 보편적 진실을 배우들의 연기로 보여주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 시대 역사극은 역사의 연극화를 통해 개체적 사실을 보편적 진실로 승화시키는 것을 추구했다. 둘째, 근대 역사극은 역사라는 주어와 연극이라는 술어가 이전 시대와 완전히 다른 전도된 형태로 관계를 맺는 것으로 탄생했다. 이 시대 역사극은 역사라는 거대담론이 연극의 무대를 지배했다. 셋째, 역사의 내용이 연극의 형식을 규정했던 시대가 근대라면, 연극이 역사를 가지고 노는(play) 전통시대로 복귀하는 것이 탈근대 역사극이다. 역사적 상상력으로 과거의 인물들을 무대로 불러내어 연극을 벌이는 것이 역사극이다. 인간은 ``현실의 역사``가 빠져 있는 질곡을 벗어날 목적으로 역사적 상상력을 발휘하여 ``꿈의 역사``를 이야기한다. ``꿈의 역사``란 반(反)역사가 아니라 현실의 역사를 초월하여 미래 새역사를 창조할 수 있는 역사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발전소다. 이 같은 ``꿈의 역사``를 무대에서 상연하는 연극이 역사극이다. 요컨대 탈근대에서 역사극이란 ``역사효과``를 낼 목적으로 무대에서 상연되는 모든 연극이라고 말할 수 있다.

      • KCI등재

        역사극의 개념과 범주에 대한 신역사주의적 해석 : 1970~80년대 "한국적" 역사극의 탄생과 연관하여

        김기봉 ( Gi Bong Kim ) 한국드라마학회 2011 드라마연구 Vol.- No.34

        In researching Korean historical play, the first issue to consider is setting its denotation as the research object. Its history can be interpreted variously, depending on howits range is set. Therefore, the concept and category of historical play can be taken for a meta-history playing a major role in determining its history. There are plays performed as historical plays today, but not considered as such in the past. Should these plays be excluded from or included in its category? As the past becomes history through time, the denotation of historical play should also be changed. Moreover, the definition of its concept alters in every era. This is why we should continue rewriting its history. Historical play is a text produced in the context of historical discourse. The New Historicism is a trend of thought redefining the relation of communication to the present and the past as a reciprocal interaction between ``the textuality of history`` and ``the historicity of text``. Its reciprocal interaction pursues to produce a ``history effect`` rather than to represent the past events. Historical play is a genre that creates a ``history effect`` by the form of play. Historical play can be defined as a historical narrative produced to recycle the social potential energy of the people in the past. Following this concept, all plays produced for the purpose to convert potential energy into kinetic energy through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past and present could be categorized as historical play.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elucidating the origin of Korean historical play from the New Historicist perspective. While the historicity of Korean historical context is the sufficient condition for the content of Korean historical play, the creation of a style peculiar to Korean historical play is its necessary condition. When and how have th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of Korean historical play been fulfilled? The thesis of this paper states that MadanggUk coming out of the context of the People`s Revolution in 1970-80s has satisfied its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한국 역사극의 역사를 서술할 때 부딪치는 첫 번째 문제는 연구의 대상으로서 역사극의 외연을 설정하는 일이다. 역사극의 범위를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역사극의 역사가 다르게 서술되기 때문에, 역사극의 개념과 범주가 역사극의 역사를 선험적으로 결정하는 메타역사다. 연극이 공연됐던 시점에서는 역사극으로 여겨지지 않았지만, 우리 시대에서는 역사극으로 공연되는 연극이 있다. 그렇다면 이 같은 연극을 역사극의 역사에서 제외해야 하는가, 포함시킬 수 있는가? 시간의 흐름 속에서 과거가 역사가 됨에 따라 역사극의 외연이 확장된다. 또 역사극 개념 정의가 시대마다 다르다는 사실이 우리가 역사극의 역사를 계속해서 다시 써야만 하는 이유가 된다. 역사극은 당대의 역사담론이라는 콘텍스트 속에서 만들어진 텍스트다. 신역사주의는 현재와 과거의 의사소통관계를 ``역사의 텍스트성``과 ``텍스트의 역사성``의 상호작용으로 재정의 하는 사조다. ``역사의 텍스트성``과 ``텍스트의 역사성``의 상호작용이 추구하는 것은 과거 사실을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역사효과``를 만들어내는 일이다. 이 같은 ``역사효과``를 연극의 형식으로 만들어내는 장르가 역사극이다. 역사극이란 과거의 사람들이 생산한 사회적 잠재에너지를 연극의 방식으로 재활용하기 위해 만든 역사서사라고 말할 수 있다. 이 같은 정의에 입각하면, 현재와 과거의 대화를 통해서 사회적 잠재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전환시킬 목적으로 창작된 모든 연극을 역사극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포괄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신역사주의 관점에서 ``한국적`` 역사극의 기원을 해명하려는 목표를 가진다. 한국사의 콘텍스트라는 역사성이 ``한국적`` 역사극의 내용을 채우는 충분조건이라면, ``한국적`` 역사극 텍스트의 고유한 형식을 창안할 때가 필요조건을 충족하는 시점이다. 그렇다면 언제 어떻게 ``한국적`` 역사극의 탄생을 위한 필요·충분조건이 충족됐는가? 1970-80년대 사회변혁 운동의 콘텍스트 속에서 나온 마당극이 ``한국적`` 역사극 텍스트의 필요·충분조건을 충족시켰다는 것이 본 논문의 테제다.

      • KCI등재후보

        역사극의 개념과 범주에 대한 신역사주의적 해석 —1970~80년대 ‘한국적’ 역사극의 탄생과 연관하여—

        김기봉 한국드라마학회 2011 드라마연구 Vol.- No.34

        In researching Korean historical play, the first issue to consider is setting its denotation as the research object. Its history can be interpreted variously, depending on how its range is set. Therefore, the concept and category of historical play can be taken for a meta-history playing a major role in determining its history. There are plays performed as historical plays today, but not considered as such in the past. Should these plays be excluded from or included in its category? As the past becomes history through time, the denotation of historical play should also be changed. Moreover, the definition of its concept alters in every era. This is why we should continue rewriting its history. Historical play is a text produced in the context of historical discourse. The New Historicism is a trend of thought redefining the relation of communication to the present and the past as a reciprocal interaction between 'the textuality of history' and 'the historicity of text'. Its reciprocal interaction pursues to produce a 'history effect' rather than to represent the past events. Historical play is a genre that creates a 'history effect' by the form of play. Historical play can be defined as a historical narrative produced to recycle the social potential energy of the people in the past. Following this concept, all plays produced for the purpose to convert potential energy into kinetic energy through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past and present could be categorized as historical play.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elucidating the origin of Korean historical play from the New Historicist perspective. While the historicity of Korean historical context is the sufficient condition for the content of Korean historical play, the creation of a style peculiar to Korean historical play is its necessary condition. When and how have th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of Korean historical play been fulfilled? The thesis of this paper states that Madanggŭk coming out of the context of the People's Revolution in 1970-80s has satisfied its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한국 역사극의 역사를 서술할 때 부딪치는 첫 번째 문제는 연구의 대상으로서 역사극의 외연을 설정하는 일이다. 역사극의 범위를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역사극의 역사가 다르게 서술되기 때문에, 역사극의 개념과 범주가 역사극의 역사를 선험적으로 결정하는 메타역사다. 연극이 공연됐던 시점에서는 역사극으로 여겨지지 않았지만, 우리 시대에서는 역사극으로 공연되는 연극이 있다. 그렇다면 이 같은 연극을 역사극의 역사에서 제외해야 하는가, 포함시킬 수 있는가? 시간의 흐름 속에서 과거가 역사가 됨에 따라 역사극의 외연이 확장된다. 또 역사극 개념 정의가 시대마다 다르다는 사실이 우리가 역사극의 역사를 계속해서 다시 써야만 하는 이유가 된다. 역사극은 당대의 역사담론이라는 콘텍스트 속에서 만들어진 텍스트다. 신역사주의는 현재와 과거의 의사소통관계를 ‘역사의 텍스트성’과 ‘텍스트의 역사성’의 상호작용으로 재정의 하는 사조다. ‘역사의 텍스트성’과 ‘텍스트의 역사성’의 상호작용이 추구하는 것은 과거 사실을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역사효과’를 만들어내는 일이다. 이 같은 ‘역사효과’를 연극의 형식으로 만들어내는 장르가 역사극이다. 역사극이란 과거의 사람들이 생산한 사회적 잠재에너지를 연극의 방식으로 재활용하기 위해 만든 역사서사라고 말할 수 있다. 이 같은 정의에 입각하면, 현재와 과거의 대화를 통해서 사회적 잠재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전환시킬 목적으로 창작된 모든 연극을 역사극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포괄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신역사주의 관점에서 ‘한국적’ 역사극의 기원을 해명하려는 목표를 가진다. 한국사의 콘텍스트라는 역사성이 ‘한국적’ 역사극의 내용을 채우는 충분조건이라면, ‘한국적’ 역사극 텍스트의 고유한 형식을 창안할 때가 필요조건을 충족하는 시점이다. 그렇다면 언제 어떻게 ‘한국적’ 역사극의 탄생을 위한 필요·충분조건이 충족됐는가? 1970-80년대 사회변혁 운동의 콘텍스트 속에서 나온 마당극이 ‘한국적’ 역사극 텍스트의 필요·충분조건을 충족시켰다는 것이 본 논문의 테제다.

      • KCI등재

        역사극의 시학에 대한 소고 - 함세덕의〈낙화암〉을 중심으로

        김기영 ( Kee Young Kim ) 한국드라마학회 2010 드라마연구 Vol.- No.33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universal rules of the poetics of historical plays by examining the process of creating a historical play and its results. Further, it applies the rules to interpret the most representative Korean historical play in colonial Korea, Ham Se-duck`s Nakhwaam published in 1940. Finally, the interpretation of Nakhwaam demonstrates the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of Korean historical plays in colonial Korea. The universal rules of the poetics of historical play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n historical play should construct an artificial world containing in itself the condition and result of an historical event (artificiality). (2) An historical play should represent the universal situation recurring in human society (universality). (3) An historical play should show the recreated and remodeled normative character and attitude of historical figures (normativeness). (4) An historical play should transform historical material into a parable which functions to satisfy the taste of the audience and send a didactic message (popularity and didacticism). (5) An historical play should contribute to shaping the identity of a nation and state (identity). (6) An historical play should understand and criticize the present situation to suggest future prospects (prospects). The application of the universal rules to Nakhwaam reveals that the work is structured by the rules of the poetics of historical plays as follows. The organization of the artificial world is set during the period of the fall of Baek-jae Dynasty; there is a dramatization of the universal situation of conflict between loyal and disloyal people in the dynasty; the representation of the normative character and attitude is realized in the figure of Prince Ryung; the satisfaction of the audience`s taste is fulfilled by offering a visualization of the history of the fall; a didactic message is sent; and the preservation of the memory of Baek-jae Dynasty`s nobility is an important concern. Additionally, the particularity of Korean historical plays lies in the fact that Nakhwaam is characteristic of the genre of tragedy, which the colonial situation in Korea must have inspired the dramatist to select. In conclusion, Nakhwaam was found to demonstrate both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conventions found in the historical play genre. 역사와 문학이 맺는 관계가 분명하지 않기에 역사극은 그 정체가 불분명한 장르로 인식되어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고는 역사극의 구성방식과 결과의 관점에서 규범적 시학을 재구성하여 역사극 장르의 정체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고는 역사극을 구성하는 시학적 원리로서 인공성, 보편성, 모범성, 대중성, 교훈성, 정체성, 전망성을 추출해냈다. 다시 말해서, 역사극은 역사소재의 변형을 통해서 조건과 결과를 자신 안에 포함하는 인과적인 세계를 인공적으로 구성해야 한다(인공성). 역사극은 역사소재를 전형화함으로써 인간 공동체 삶에서 반복해서 등장하는 보편적인 상황을 재현해야 한다(보편성). 역사극은 과거라는 거울을 통해 현재를 비추어 모범적인 인물을 형상화해야 한다(모범성). 역사극은 역사적 사실을 우화로서의 역사로 구조화하여 대중적인 취향을 만족시키고 교훈적인 메시지를 전달해야 한다(대중성과 교훈성). 역사극은 민족이나 국가 공동체의 혼이 담긴 역사를 소재로 삼아서 민족이나 국가의 정체성을 확립해야 한다(정체성). 마지막으로, 역사극은 현실을 이해하고 비판함으로써 미래에 대한 전망을 제시해야 한다(전망성). 이러한 원리에 따라서 역사소재는 그 역사적 특수성에서 벗어나서 문학적 역사로 구조화한다는 것이다. 이상의 역사극 시학 원리를 기준으로, 함세덕이 1940년에 발표한 역사극〈낙화암〉을 분석함으로써 1940년대 한국 역사극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보여주고자 하였다.〈낙화암〉은 (1) 의자왕의 인간적 결함이란 조건이 어떻게 백제멸망이란 결과를 낳는지를 보여주는 허구적인 세계를 구성한다(인공성). (2) 나라의 흥망과 관련하여 선한 세력과 악한 세력, 부자 관계 등의 보편적 갈등상황을 전개한다(보편성). (3) 이와 같은 상황 속에서 태자와 같은 애국적인 인물을 전형화하여 모범적인 태도를 형상화한다(모범성). (4) 애국적이고 고귀한 영웅과 그의 유지를 받드는 백성의 모습으로 조선민족의 정체성을 보여준다. (5) 왕의 인간적 결함과 내부 세력들 사이의 갈등이 초래하는 망국에 대한 교훈성을 담는다. (6) 나라의 멸망을 무대 위에 장경화하여 대중적 감각과 취향을 만족시킨다(대중성). (7) 식민지 현실의 전망부재 상황에서도 문학의 매체 속에서는 고귀한 백제로 영원히 기억되리라는 미래를 제시한다(전망성). 이처럼〈낙화암〉은 역사극의 보편적 시학의 원리를 충족한다. 다른 한편으로〈낙화암〉은 비록 멜로드라마적 특성을 띠지만 대체로 비극 장르의 문법에 맞게 구성되었다는 점에서 1940년대 한국 역사극의 특수성을 잘 보여준다. 이 작품은 저항정신과 애국정신으로 무장한 고귀한 영웅들의 몰락으로 도덕적 우월성을 강조하면서 비극적 정서를 환기하고, 미학적이고 윤리적인 세계를 구축하여 식민지 현실이란 전망부재 상황을 극복하려고 했기 때문이다.

      • KCI등재후보

        해방기 역사극의 새로운 징후들 - 3․1절 기념 연극대회 참가작과 ‘과정으로서의 역사쓰기’

        문경연 한국드라마학회 2011 드라마연구 Vol.- No.34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modes of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in the historical plays during the post-independence period(1945~1948) in Korea and, by doing so, investigate their historicity. For this purpose, I selected three texts among the extant historical plays that were published and performed during the post-independence period that seem to have set new standards and thresholds to the history of Korean historical plays. They are Kim Nam-cheon's March 1st Movement(1946), Ham Se-deok's March 1st in the Year of Gimi(1946), and Jo Yeong-chul's Great Love(1947). All of the three plays were masterworks performed during the 'Theater Festival for the March 1st Movement Commemoration' that was held in 1946 and 1947. While Great Love can easily be categorized as a historical play since it is set against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classifying March 1st Movement and March 1st in the Year of Gimi as historical plays is still a debated issue. When they were first performed in 1946, they were not labeled as historical plays neither by the author nor by the audience. However, or probably more because of that, my attempt to study them within the category of historical play is by itself an effort to reconstruct the historicity of the concept of historical plays. The aforementioned works have a different contextual origin from the historical plays from the colonial period, in that they were written and performed for a specific plan and objective of 'commemorating a historical event.' I examined the works performed in an official event, i.e. the Theater Festival for the March 1st Movement Commemoration, on a national holiday that was announced by the state, more precisely the original works dealing with the historical event that occurred twenty-six years ago, within the context of 'historical plays from the post-independence period' as an attempt to rewrite the history of that time period. I worked under the premise that "history of a concept cannot exist by itself, but it can only exist within a specific context of how it was used,' and paid attention to the points where differences were made within the new temporal and spatial settings of 'post-independence period,' while being in continuance with the historical plays of the colonial period. In the discourse of post-independence historical plays, a new and strong trend that emphasized the reunification of realism and history, alongside the popular historical plays that were mere reproduction of colonial period historical plays. The three historical plays in question showed diverse attempts to represent the history not as an event that was complete and objective, but one in the making; to present the hidden truth by reporting the events and presenting witnesses; and also to create truth-effect through an index of truth in relation to realistic devices although what had been created was a fictional history. 본고는 해방기 역사극의 연속성과 단절의 양상을 고찰함으로써 이 시기 역사극의 역사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해방기에 발표·공연된 역사극 중에서 현전하는 작품, 그리고 그 중에서도 한국 역사극의 역사에 문턱을 만들어내는 계기가 되었다고 보여지는 세 작품을 텍스트로 선정하였다. 김남천의 <삼일운동>(1946), 함세덕의 <기미년 3월1일>(1946), 조영출의 <위대한 사랑>(1947)이 그것이다. 세 작품 모두, 1946년과 1947년에 실시된 ‘3.1절 기념 연극대회’에 올려진 대작들이다. <위대한 사랑>이 동학혁명을 배경으로 한다는 점에서 역사극의 범주에 무리없이 포함될 수 있는 반면, <삼일운동>과 <기미년 3월 1일>을 ‘역사극’으로 보는 관점에 대해서는 의문이 있을 수 있다. 1946년 당시에 두 작품이 ‘역사극’이라는 분명한 레테르를 달고 공연되거나 수용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연구자가 두 작품을 ‘역사극’의 범주에서 연구하려는 입장이 바로, 해방기 역사극 개념의 역사성을 재구하려는 연구시각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이 세 작품은 해방 이후 ‘역사기념이라는 기획’하에 창작되고 공연되었다는 점에서 일단 식민지시대 역사극과는 다른 탄생의 맥락을 공유하고 있다. 국가가 정한 ‘국경일’에 ‘3.1기념 연극제’라는 공식 행사에서 공연된 작품들, 즉 해방기의 역사를 새로 쓰기 위해 26년 전의 역사적 사건을 소재로 창작 공연한 이 작품들을 ‘해방기 역사극’의 범주 안에서 고찰하였다. “개념의 역사는 존재할 수 없고 단지 특정 맥락 속에서 그것들이 사용된 방식의 역사만이 존재할 수 있다”는 전제 하에, 해방기라는 새롭고 이질적인 시공간에서 ‘역사극’이 식민지 시대 ‘역사극’과의 연속성을 담지하면서도 차이를 만들어내는 지점에 주목하였다. 해방기 역사극 담론에서는 식민지 시기 역사극을 반복 재생산하는 대중 역사극의 한편에서 ‘리얼리즘과 역사’의 재회를 강조한 새로운 조류가 대두되었다. 세 작품은, 완결된 객관적 사건으로서의 역사가 아니라 ‘과정으로서의 역사’를 재현하고자 하는 역사극쓰기의 새로운 욕망을 보여준다. 역사를 취재하고 기록하고 역사적 증인을 내세워 그 이면의 진실을 드러내려는 입장, 허구의 역사를 만들어냈지만 사실적 장치와 관련한 진실성의 지표를 통해 사실-효과를 만들어내는 시도 등이 그것이다.

      • KCI등재

        해방기 역사극의 새로운 징후들 : 3,1절 기념 연극대회 참가작과 "과정으로서의 역사쓰기"

        문경연 ( Kyoung Yeon Moon ) 한국드라마학회 2011 드라마연구 Vol.- No.34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modes of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in the historical plays during the post-independence period(1945~1948) in Korea and, by doing so, investigate their historicity. For this purpose, I selected three texts among the extant historical plays that were published and performed during the post-independence period that seem to have set new standards and thresholds to the history of Korean historical plays. They are Kim Nam-cheon`s March 1st Movement(1946), Ham Se-deok`s March 1st in the Year of Gimi(1946), and Jo Yeong-chul`s Great Love(1947). All of the three plays were masterworks performed during the ``Theater Festival for the March 1st Movement Commemoration`` that was held in 1946 and 1947. While Great Love can easily be categorized as a historical play since it is set against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classifying March 1st Movement and March 1st in the Year of Gimi as historical plays is still a debated issue. When they were first performed in 1946, they were not labeled as historical plays neither by the author nor by the audience. However, or probably more because of that, my attempt to study them within the category of historical play is by itself an effort to reconstruct the historicity of the concept of historical plays. The aforementioned works have a different contextual origin from the historical plays from the colonial period, in that they were written and performed for a specific plan and objective of ``commemorating a historical event.`` I examined the works performed in an official event, i.e. the Theater Festival for the March 1st Movement Commemoration, on a national holiday that was announced by the state, more precisely the original works dealing with the historical event that occurred twenty-six years ago, within the context of ``historical plays from the post-independence period`` as an attempt to rewrite the history of that time period. I worked under the premise that "history of a concept cannot exist by itself, but it can only exist within a specific context of how it was used," and paid attention to the points where differences were made within the new temporal and spatial settings of ``post-independence period,`` while being in continuance with the historical plays of the colonial period. In the discourse of post-independence historical plays, a new and strong trend that emphasized the reunification of realism and history, alongside the popular historical plays that were mere reproduction of colonial period historical plays. The three historical plays in question showed diverse attempts to represent the history not as an event that was complete and objective, but one in the making; to present the hidden truth by reporting the events and presenting witnesses; and also to create truth-effect through an index of truth in relation to realistic devices although what had been created was a fictional history. 본고는 해방기 역사극의 연속성과 단절의 양상을 고찰함으로써 이 시기 역사극의 역사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해방기에 발표ㆍ공연된 역사극 중에서 현전하는 작품, 그리고 그 중에서도 한국 역사극의 역사에 문턱을 만들어내는 계기가 되었다고 보여지는 세 작품을 텍스트로 선정하였다. 김남천의〈삼일운동〉(1946), 함세덕의〈기미년 3월1일〉(1946), 조영출의〈위대한 사랑〉(1947)이 그것이다. 세 작품 모두, 1946년과 1947년에 실시된 ``3.1절 기념 연극대회``에 올려진 대작들이다.〈위대한 사랑〉이 동학혁명을 배경으로 한다는 점에서 역사극의 범주에 무리없이 포함될 수 있는 반면,〈삼일운동〉과〈기미년 3월 1일〉을 ``역사극``으로 보는 관점에 대해서는 의문이 있을 수 있다. 1946년 당시에 두 작품이 ``역사극``이라는 분명한 레테르를 달고 공연되거나 수용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연구자가 두 작품을 ``역사극``의 범주에서 연구하려는 입장이 바로, 해방기 역사극 개념의 역사성을 재구하려는 연구시각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이 세 작품은 해방 이후 ``역사기념이라는 기획``하에 창작되고 공연되었다는 점에서 일단 식민지시대 역사극과는 다른 탄생의 맥락을 공유하고 있다. 국가가 정한 ``국경일``에 ``3.1기념 연극제``라는 공식 행사에서 공연된 작품들, 즉 해방기의 역사를 새로 쓰기 위해 26년 전의 역사적 사건을 소재로 창작 공연한 이 작품들을 ``해방기 역사극``의 범주 안에서 고찰하였다. "개념의 역사는 존재할 수 없고 단지 특정 맥락 속에서 그것들이 사용된 방식의 역사만이 존재할 수 있다"는 전제 하에, 해방기라는 새롭고 이질적인 시공간에서 ``역사극``이 식민지 시대 ``역사극``과의 연속성을 담지하면서도 차이를 만들어내는 지점에 주목하였다. 해방기 역사극 담론에서는 식민지 시기 역사극을 반복 재생산하는 대중 역사극의 한편에서 ``리얼리즘과 역사``의 재회를 강조한 새로운 조류가 대두되었다. 세 작품은, 완결된 객관적 사건으로서의 역사가 아니라 ``과정으로서의 역사``를 재현하고자 하는 역사극쓰기의 새로운 욕망을 보여준다. 역사를 취재하고 기록하고 역사적 증인을 내세워 그 이면의 진실을 드러내려는 입장, 허구의 역사를 만들어냈지만 사실적 장치와 관련한 진실성의 지표를 통해 사실-효과를 만들어내는 시도 등이 그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오영진의 역사극 연구 -<풍운>과 <동천홍>을 중심으로-

        이주영 ( Joo Young Yi ) 민족어문학회 2012 어문논집 Vol.- No.65

        본고는 오영진의 역사극에 나타난 역사의식과 그의 역사극이 갖는 현실 참여로서의 의미를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분석을 위해 본 연구는 작품 발표 당시의 사회상을 경유하여 오영진의 역사극을 고찰하고자 한다. 오영진의 작품은 그 특징에 따라 풍속극·시대극·음악극·역사극·심리극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 중 <풍운>과 <동천홍>은 역사극에 속한다. 관객은 역사극 관람을 통해 역사적 사실과 지식만을 전달 받는 것이 아닌, 역사가 재창조되는 과정에서 생기는 작가의 실천적 행위이자 의도된 인식, 즉 작가의 역사의식까지 전달받는다. 오영진에게 있어 역사적 사실을 극화한다는 것은 당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필요한 행위였다. 오영진의 역사극에 나타난 과거의 소재·인물·정신은 현대의 사회정세 인정, 풍속 그리고 현대적 해석과 연결되어 있다. 오영진은 단순히 과거의 사실을 재구성한 것이 아니라 발표 당시의 사회로부터의 요구와 요망에 의해 역사극을 창작한 것이다. 이 연구는 오영진 역사극에 나타난 조선(대한제국)이 외부(다른 나라)와 관계하는 모습을 분석하고, 이어 그의 역사극이 갖는 당대적 의미를 밝히고자 한다. 그의 역사극은 당대 현실과 접속하며, 이 현실 공간에는 민족뿐만 아니라 당대의 정치적 권력도 함께 공존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eaning of Oh, Young-jin`s history dramas as a method to participate in the reality of the society at that time and his historical consciousness through his literary works. To achieve this analysis, this paper studies Oh, Young-jin`s history dramas through social aspects of the time when his dramas were written. Oh, Young-jin`s dramas can be classified into several categories such as historical drama, musical drama, psychodrama and so on. Among those, <Pung-un> and <Dong-chun-hong> are representative historical dramas. Watching historical dramas, audiences learn not only historical facts and knowledges but also writer`s historical consciousness which is writer`s intention through the recreation of history as present practice. For Oh, Young-jin, the dramatization of historical facts was necessary for people who were living in his time. Subjects, characters and mind from Oh, Young-jin`s historical dramas are connected to social situation, custom and interpretation of the society in his time. Oh, Young-jin didn`t simply reconstitute facts from the past. He created historical dramas for demand and desire from his time. This paper analyses the relationship between Jo-sun(Daehan Empire) and other countries at first and then tries to find out the meaning of his historical dramas of his time. His historical dramas connect to the realities of the time and these realities include not only people who lived then but also political authority.

      • KCI등재

        전쟁 기억과 재현 : 대한민국연극제 한국전쟁 소재극을 중심으로

        김승옥 ( Seung Ock Kim ) 한국드라마학회 2011 드라마연구 Vol.- No.34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on the memories of the Korean War and Theatrical Representation that is focusing on the Korean Theater Festival first period(1977~1986). The historical plays in Korea in 1970s and 1980s were showed a clear quantitative expansion. There are a lot of theater plays, of which materials is 6ㆍ25 after the Korean War. The Korean War is both trauma to us and treasure resource in theater plays ironically. The contents of these theater plays and aspects of memory are so various. It treats a miserable life during the war, an individual or family`s trauma, separated families, confrontation of ideology and dissolution, and the division of Korea etc, through the experience or an idea, directly or indirectly. For example,〈Trial of Abellman〉which material is a war crimes trial,〈A modest monument〉which material is anti-communist commemoration,〈Too far too long tunnel〉 which material is a genocide,〈Red & White〉which material is prisoners of war,〈Bicycle〉which material is an individual or family`s trauma,〈Han`s chronicle〉which material is the division of Korea, separated families and so on. These theater plays usually displayed the tendency of epic theater which was remarkable in the Korean Theater Festival. They not only destructed dramatic fantasy by making various use of the narrative form but also tried to clearly deliver a writer`s point of view. 본 연구는 한국전쟁의 기억과 재현 양상을 대한민국연극제 제1기(1977~1986)에 공연된 희곡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1970~80년대는 강력한 통치이데올로기를 배포하기 위해 기획된 국립극단의 ``위로부터의 역사극``과 민중사관에 영향을 받은 재야 단체들의 ``아래로부터의 역사극``이 생성 배포된 한국역사극의 융성기였다. ``국가``와 ``민중``이라는 거대담론이 경합하던 이때에 대한민국연극제 한국전쟁 소재극은 역사극 담론의 층위를 한층 두텁게 해주고 있다. 연극제 출품된 한국전쟁 희곡들은 역사적 사건에 대한 기억이 전쟁의 종결과 함께 정지되어 고착되는 것이 아니라, 주체들의 다양한 기억들 가운데 어떤 기억은 용인되고 다른 기억은 가공되고 변형되면서, 때로는 공식기억에 편입되기도 하고 망각되거나 소멸되고 있음을 드러냈다. 한국전쟁이라는 방대한 소재는〈아벨만의 재판〉의 전범 재판,〈비목〉의 무명용사 추모, 반공 기념, 실향민,〈멀고 긴 터널〉의 국가 폭력, 집단 학살,〈적과 백〉의 전쟁포로,〈자전거〉의 전쟁 외상장애,〈한씨연대기〉의 이산가족, 분단 극복 등의 다양한 기억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재현 양식에 있어서는 사실주의 양식에서 벗어난 서사 방식이 주조를 이루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연극 외적으로 정치·사회 현실의 첨예한 대립이 존재하였으며 내적으로는 새로운 극양식과 기법을 탐색하였던 이 시기에 서사극은 지배 담론에 대한 극작가들의 비판적 시선을 담아내기에 가장 편리한 방법적 차용이었다. 그러나 서사적 화자를 통해 작의를 직접적으로 제시해 주는 방식은 오히려 관객의 이성적 판단을 이끌어내는데 역효과를 자아냈다. 비판인식의 증대라는 부분적 성취에도 불구하고 극작술 미숙으로 채택된 서사 방식은 미학적 측면에서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국가 만들기 프로젝트에 동원된 국립극단의 반공담론 역사극과 달리 대한민국연극제에서 공연된 한국전쟁 역사극은 새로운 인식주체, 즉 공식기억에서 잊혀진 주변부의 기억을 재현하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주목을 끈다. 이는 전쟁피해자들의 ``억압된 앎``을 집약하여 ``공식화된 앎``에 도전함과 동시에, 전쟁에 대한 연극적 재해석을 통해 역사 다시쓰기를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역사극은 과거에 대한 공통된 기억을 재구성함으로써 현재적 공통 감각을 만들어내고, 역사적 향수를 기초로 한 사회의식(rituals)의 국가적 작동을 가능케 해준다. 이는 대한민국연극제 출범 무렵인 권위주의 시대에 창작된 전쟁소재극의 기능에서도 확인된다. 국가가 반공주의, 애국심을 조성하고 사회 통합 및 정권 합법화의 효과를 위해 역사극을 적극 활용코자 한 것은 이러한 효용성 때문이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역사극들은 권위주의적이고 보수적인 성향 및 언어적 표현에서 벗어나 다양한 사회적 담론을 표출하고 있음이 확인된다. 전체주의적 동질성을 강화함으로써 국가 권력의 작동 매체로서 기능하게 했던 종래의 역사극에서 벗어나 사회 내부의 이질성과 다양성을 수용하고 있는, 새로운 역사극을 창조해가는 시대의 문턱으로 들어서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