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사군은 어떻게 갈석에서 대동강까지 왔나? - 한사군인식2 -

        복기대 ( Bok Gi-dae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8 선도문화 Vol.25 No.-

        동북아시아 학계 고대사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접점은 단연 낙랑군의 위치이다. 이 낙랑군의 위치가 어디냐에 따라 그 당시의 역사해석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문제는 매우 첨예하게 대립한 것이 사실이다. 필자는 이런 기본입장에서 한군현 설치 당시부터 시작하여 근대에 이르기까지 한군현 관련 문헌을 검토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사료를 근거로 하여 한군현 관련 문제를 종합적으로 정리해보면 한군현의 설치 초기에는 당시 패수가 있었던 현재 중국의 동북지역인 하북성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가 차이나계의 세력이 점점 커지면서 한군현 역시 점점 커지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패수의 위치가 바뀌면서 한군현의 위치도 바뀌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즉 현재 난하는 고대의 패수였고 북위시기에 이 패수라는 강 이름이 없어졌는데 6세기경 당시 지리학자였던 북위의 역도원이 고구려 평양성이 패수의 북쪽에 있다는 말을 듣고 이 패수를 근거로 하여 낙랑군을 현재 중국 요녕성 요양지역으로 이동시켰다. 이때 낙랑군과 평양의 등치관계가 설정되었으며, 그 후 명나라시기에 현재 한반도에 평양이라는 지명이 보편화되면서 낙랑군도 이 지역으로 옮겨온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런 변화는 원래 한군현이 설치된 지역에서 시작하여 강 이름과 지명을 따라 오늘날 한반도 평양에 이르게 된 것이다. 이런 것을 증명하듯이 『삼국사기』의 기록을 보면 한반도 어디에도 한군현이 있었다는 기록은 없는 것으로 확인이 된다. 그러므로 현재 한반도에 한군현이 있었다는 것은 14세기 이후부터 시작된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런 변화과정을 알려주는 사료들은 매우 많은데 그동안 학계에서 이를 주도면밀하게 분석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물론 학계에서 현재 한반도 평양지역에 한군현이 있었다는 단선적인 주장만이 있었던 것은 아니다. 그러나 다양한 의견들은 1920년대 단선적으로 한반도로 고정되면서 오늘날까지 이른 것이다. 그러므로 향후 학계에서 더욱더 치밀한 보완 연구를 통하여 한군현을 제자리에 놓고 한국 고대사를 연구해야 할 것이다. The primary hotspot in ancient history research of Northeastern Asian academia is the location of Lelang Commandery. This is due to the differentiation in historic interpretation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it. It is very natural to see heated discussions about this problem. After many analysis on literatures and documents related to four commanderies of Han from its birth to modern era, author have earned the following results. If we organize the problems related to four commanderies of Han based on artifacts, we can find out that at its power widening by growth of Chinese region powers from its previous location in Hebei Sheng of northeast China. Especially on relocation of Paesu, we could also see the change in location of four commanderies of Han. Current Luán he was ancient Paesu, and on time of Northern Wei, the river name Paesu disappeared. By 6 century, a geographer named Li Daoyuan heard that Pyeongyangseong of Goguryeo was north of Paesu and shifted Lelanggun to current China Liáoníng Sheng Liaoyang region, and this is when the equal state of Lelanggun and Pyeongyang was set, and afterwards, the region name of Pyeongyang in Korean Peninsula became commonly known to people, and this is why Lelanggun moved here as well. This difference started from original location of four commanderies of Han, following the names of rivers and regions, all the way down to current Pyeongyang of Korean Peninsula. No records of four commanderies of Han in Korean Peninsula in the book of 『Samguksagi』 proves it. So saying that four commanderies of Han being in Korean Peninsula starts after 14th century. There are plenty of artifacts telling these process of change, but the history academia did not take close observation on them. There must have been other calls than this simple insistence of four commanderies of Han being in Pyeongyang of Korean Peninsula. However, these various opinions were standardized into Korean Peninsula on 1920s, and is continued until today. Therefore, more elaborate research will have to be done by history academia to put four commanderies of Han in its original location and to study ancient history of Korea.

      • KCI등재

        『사기』「조선열전」에 나타난 패수 위치 고찰

        정규철 바른역사학술원 2023 역사와융합 Vol.- No.14

        Regarding the geography of ancient Korea, the location of the Pei River, which formed the border between the Western Han dynasty and the Joseon of Wiman, has long been a subject of sharp debate. This is because the Pei River is regarded as the western boundary of Gojoseon. The problem is that since the name Pei was recorded in the Records of the Shiji (史記), the course of the river has changed over time, and so various claims about its position have been presented. The theories concerning the location of the Pei River can be divided into the Korean Peninsula theories (Taedong River, Cheongcheon River, Yalu River), the Liaodong Peninsula theories (Yuni River, Hun River), and the former province of Liaoxi theories (Daling River, Luan River, Chaobai River). The theories claiming that the Pei River is either the Cheongcheon River or the Yalu River in North Korea have received the most support from domestic academia. However, the Korean Peninsula theories and the Liaodong Peninsula theories both have a problem in that the location and direction of the Pei River were not verified according to records made around the time such as the Hanshu (漢書), the Shuowen Jiezi (說文解字), and the Shuijing (水經). There was a Pei River on the border of Liaodong during the Western Han and, at that time, Liaodong appears to have been located in literature in the present-day Beijing area. Since the capital of Wiman Joseon was said to be in Changli County, Hebei Province, the Pei River recorded in the Records of the Shiji can only be a river between Beijing and Changli Cou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