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사회과교육 70주년의 회고와 전망

        김원수(Kim, Wonsoo)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6 사회과교육 Vol.55 No.4

        한국의 사회과/사회교과(social studies)는 한국의 사회현상을 진단하고, 사회생활의 지혜를 함양하는 주축(主軸)교과로서 역사적 위상을 가지고 있다. 그 같은 위치는 한국 사회과교육의 성립과 발전 뿐 만 아니라, 사회교과의 연구와 교육 전반에도 역동성을 부여해왔다. 특히 한국사회과교육의 태동에 있어서 연구학회의 역할은 결코 간과될 수 없다. 왜냐하면 연구학회가 지향한 바, 한국적인 사회과교육의 토착화를 위한 개척자적 정신, 학제적 융합을 위해 열어 놓은 개방적인 학문연구의 장, 그리고 한국사회의 변화에 대한 비판적인 도전 정신은 한국사회과교육의 과거, 현재 뿐만 아니라 미래에도 지속가능한 발전의 원동력이 되리라 예상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본 학회를 거쳐 간 수많은 전 현직 교육자와 연구자들의 면모를 둘러봐도 충분히 드러난다. 그들은 동시대와 함께하거나, 앞서 나아가 시대와 사회의 변화를 감지하고 이를 교육의 장에 실천하려 하였다. 그 과정에서 국가건설을 둘러싸고 전개된 식민주의, 근대화, 민족/국가주의와 탈식민주의의 중층구조에서 발전론적 또는 종속주의적 담론의 장을 만들었다. 그리고 나아가서는 근현대적 발전을 둘러싼 한국사회의 민주화와 평등화와 병행된 포스트모던과 글로벌리제이션의 역사적 전환을 겪으며 이데올로기적 해체의 탈냉전과 글로벌 사회의 지구시민을 위한 사회과교육의 새로운 담론들을 만들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국가주의적 이데올로기가 강하게 반영되었고, 총론중심적이며 영역간 분과적 통합교육과정이 지속됨에 따라, 현장과의 괴리 뿐 만 아니라 학교급 및 대학 교원 양성 체제의 왜곡이 심화되었다. 게다가 민주화 이후에는 사회교과의 영역 간 갈등과 분쟁이 노골화되어 사회과교육은 혼란과 위기를 맞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진단과 치유를 위한 대안이 필요하다. 주지하다시피 작금의 사회과는 어느 교과보다도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인 시대적 변화 뿐 만 아니라 역사적 변화에 민감해야 한다. 지난 세기말의 문화적 전환(cultural turn)과 새로운 세기의 글로벌 전환(global turn)은 인간의 자유와 평등과 우애에 기초한 인권의 존중, 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통한 지구 환경의 보존으로 수렴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역사적 전환을 적극 반영한 새로운 사회과의 역동성은 수렴과 확산이라 판단된다. 그 지향점은 하나된 지구와 하나된 사회와 하나된 인간이다. 사회과를 통해 학습자가 인간주의적 사고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사회와 국가의 갈등과 대결보다는 조화와 정의와 평화를 이루어내고, 세계인류가 국적, 종교, 언어 피부색에 관계없이 하나가 되어야함을 체득할 수 있으며, 그리고 인간이 자연을 지배한다는 오만함을 반성하고 새로이 자연환경의 질서와 생명을 존중할 수 있다는 이상이 사회과교육의 현실로 구현되어야 할 것이다. 21세기의 전지구적 요청에 부응하기 위해 사회과교육은 더 이상 분절적인 지식의 축적에 억매일 것이 아니라 새로운 현실을 창조하기 위해 글로벌한 사회와 교육을 지향하는 창조적이고도 미래에 지속가능한 능동적 학습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그것이 홍익인간과 지구시민의 길을 지향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This article is a key not speech which held in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f Korean Social Studies Association on August 20th, 2016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t consists of three chapters. The 1st chapter is related to the historical context of Korean Social Studies & Korean Social Studies Association. The 2nd chapter is to the historical phase and task of Korean Social Studies related on the curriculum. The last is to be the use of global approach as a scholarly nexus in social studies. All of these are to make the national standard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the global age. The aim is to become a human, one society & one Earth. I think it might have been oriented in the way of Hongikingan(홍익인간) and global citizen in the global age. Hongikingan (hanja: 弘益人間) is the unofficial national motto of South Korea. The phrase is English translated as “Benefit Broadly the Human World”.

      • KCI등재

        예비교사의 사회과수업비평 탐색

        홍미화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6 사회과교육연구 Vol.23 No.1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social studies instruction criticism of pre-service teachers to examine the perspective and conflict of social studies instruction and investigate its meaning. In the social studies instruction criticism of pre-service teachers, criticism on various subjects was presented according to the areas of contents of social studies instruction. The result of its categorization focusing on similar subjects showed the following ten criticism types: 1) the meaning and value of social studies instruction, 2) the method of social studies instruction, 3) the content of social studies instruction, 4) the relationship of the content and method of social studies instruction, 5) the steps of social studies instruction, 6) the role and perception of teachers, 7) the level of learners, 8) the relationship of a teacher and students, 9) the relation between social phenomenon and instruction, and 10) the practical situation of social studies instruction. The social studies instruction criticism of pre-service teachers is an important information for verifying and sharing the instruction reflection and instruction practice sense of them that are situated on the border of theory and actuality.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의 사회과수업비평을 분석하여 사회과수업에 대한 기본 입장과 비판적 관점을 파악하고 그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예비교사의 사회과수업비평에는 사회과수업의 내용영역에 따라 다양한 주제의 비평이 제시되었으며, 이를 유사한 비평 주제를 중심으로 유목화한 결과, 사회과수업의 의미와 가치를 다룬 비평, 사회과수업의 방법과 관련한 비평, 사회과수업의 내용과 관련한 비평, 사회과수업의 내용과 방법의 관계를 다룬 비평, 사회과수업의 단계를 다룬 비평, 교사의 역할과 인식을 다룬 비평, 학습자의 배움과 수준을 다룬 비평, 교사와 학생의 관계를 다룬 비평, 사회 현상과 수업의 관련성을 다룬 비평, 사회과수업 실천의 상황을 다룬 비평 등 모두 10가지의 유형을 확인하였다. 예비교사의 사회과수업비평은 이론과 실제의 경계에 위치한 예비교사의 수업성찰과정과 수업에 대한 실천적 감각을 확인하고 공유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따라서 이를 연구하는 일은 수업비평의 이론적 정립에 기여함과 더불어 사회과수업의 논란을 규명하고 교사교육과 수업 실천의 방향을 제시하는 일이다.

      • KCI등재

        초등학교 사회과 부도(역사 영역)의 교재 적합성 연구

        임영태(Im, Young-Tae)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1 사회과교육 Vol.60 No.3

        본고는 사회과 부도가 역사 수업에 활용되지 못하는 이유로 교재의 적합성에 주목하여 과연 현행 사회과 부도가 교사와 학생을 위한 교재로 적합한 가를 검토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진행되다. 이를 위해 현행 사회과 부도 역사 영역의 교재 적합성을 검토하기 위해 양적,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적으로 너무 적은 페이지에 너무 많은 내용을 담고 있으며 역사 지도, 문화재, 시각자료의 3가지 정형화된 형태로만 제시되어 좀 더 질적, 양적으로 풍성하게 제시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현행 사회과 부도는 교육과정 및 성취기준 상 내용 타당성을 가지고 있는 자료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다만, 2009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적용한 사회과 부도의 내용 구성 틀을 그대로 가져와 사용함으로서 ‘정치사 + 문화사’의 교과서 내용 구성과 다소 유리되어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셋째, 사회과 부도의 자료들은 대부분 정확성과 공정성을 가지고 있었으나 자료 제시와 관련하여 가공되지 않은 단순한 형태로, 교과서의 자료들과 중복되어 나열된 형태가 다수 발견되었다. 이러한 내용 구성 형태는 교사들이 사회과 부도를 사용하지 않도록 강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넷째, 현행 사회과 부도가 수업에 적용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학습자 활용 적합성의 부족이라고 할 수 있다. 현행 사회과 부도는 학습자들이 핸들링 할 수 있는 어떠한 교육적 장치 및 내용 구성이 존재하지 않는다. 연구 결과를 검토한 결과 현행 사회과 부도의 교재 적합성은 다수의 교재 적합성 분석 항목에서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current social studies atlas is suitable as a textbook for teachers and students, paying attention to the suitability of the textbook because social studies atlas cannot be used for history lessons. To this en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suitability of textbooks in current social studies regarding the history domain.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need for a mor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presentation as the current social studies atlas contains too much contents in too few pages in quantity. In addition, it is presented in only three standardized forms: historical maps, cultural assets, and visual materials. Second, the current social studies atlas consists of materials with content validity in terms of curriculum and achievement standards. However, the content structure of the textbook of “Political History + Cultural History” is somewhat different from the content structure of the textbook by taking and using the content structure of social studies atlas applied in the 2009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Third, most of the data of social studies atlas are accurate and fair. However, in relation to the presentation of data, a number of forms are not processed. They are simply listed in a simple overlapping form. This form of content structure can play a role in forcing teachers not to use social studies atlas. Fourth, the biggest reason why the current social studies atlas is not applied to the class is the lack of suitability for use by learners. In the current social studies atlas, there are no educational devices or content structures that learners can handle. Based on results after analyzing a number of textbook suitability items, textbooks in the current social studies atlas are found to have limited suitability.

      • KCI등재

        제 2차 세계대전과 사회과교육의 위상 변화

        차조일(Cha Jo-Il)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2 사회과교육 Vol.51 No.2

        20세기 초반 미국 사회의 특수한 상황을 배경으로 등장한 사회과는 미국 사회의 문제 해결을 위한 개혁적이고 실험적 성격을 가진 교과목이었다. 이와 같은 사회과의 위상은 2차 세계대전 계기로 극적인 변화를 겪게 되었다. 전쟁으로 인해 미국 국내에서 애국주의가 확산되고 냉전체제의 형성과 함께 공산주의에 대한 공포가 나타나면서 사회과가 미국 사회 개혁을 위한 핵심 교과로서의 지위를 잃게 된 것이다. 그러나 2차 세계대전은 사회과에 있어 위기이자 동시에 기회이기도 하였다. 전쟁을 계기로 사회과 교육에서 전체주의에 대한 비판및 세계평화 유지가 강조되기 시작하면서 미국 사회의 특수한 교육 현상이었던 사회과가 다른 나라에도 전파될 수 있는 보편성을 갖추게 된 것이다. 이러한 사회과의 위상 변화를 고려해볼 때 해방이후 미군정 시기 우리나라에 도입된 사회과를 친미 정치 사회화를 위해 미국에 의해 이식된 교과로서 성격을 규정하는 것은 적절하지 못하다. 우리나라에 사회과가 도입된 것은 일제 치하에서 나타났던 전체주의적 잔재를 일소하고, 세계 평화에 기여할 수 있는 민주주의 국가 건설을 위한 핵심적인 교과로서의 위상을 사회과가 갖추고 있었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s of social studies in WWII. Social studies as a school subject was originated for social reform in America, and so social studies was specific to America before WWII. WWII makes two changes to social studies. One of the changes is that social studies has lost their status as a core subject for social reform in American society. This change was caused by patriotism and McCarthyism. The other of the changes is that social studies has achieved their status as a core subject for anti-totalitarianism and world peace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That change was caused by critical thinking and democratic citizenship which were aims of social studies. Social studies introduced in Korea after WWII stressed critical thinking and democratic citizenship. So social studies in Korea was not a subject for pro-American politicalsocialization but a subject for anti-totalitarianism and world peace.

      • KCI등재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사회과 역량 반영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 인식 조사 연구

        이찬우,정문성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4 사회과교육 Vol.63 No.2

        본 연구는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사회과 역량 중심의 교육이 실천되기 위해서는 교사가사회과 역량이 교육과정 체계 및 성취기준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다고 인식하는지부터 논의가 출발되어야 한다. 교사의 인식이 교육실천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교사 20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는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가 전반적으로 사회과 역량을 잘 반영하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그러나 영역별로 보면 일반사회 역사 지리 영역별 반영 정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5개 역량별로 반영 정도를 다르게 인식하였다. 지리 영역은 정보 활용 능력, 일반사회 영역은 비판적 사고력, 문제 해결력 및 의사 결정력, 의사소통 및 협업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게 반영되었다고 응답하였고, 역사 영역은 다른 영역에 비해 모두 낮은 반영 인식을 보였다. 창의적 사고력과 비판적 사고력은 다른 사회과 역량 구성요소에 비해 비교적 낮은 반영 인식을 보였다. 둘째,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사회과 역량 반영 인식도 교과 영역별 인식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사회과 내용 조직의 통합의 원리에 따라 구성한 성취기준에 대해서는 가지 사회과 역량이 모두 잘 반영되었다는 인식을 보였다. 따라서 성취기준의 내용와 진술방식에 따라 역량중심의 교육실천 가능성을 가늠할 수 있다. 결국, 교과역량과 교육과정의 관계를 구체화하는 방향은 성취기준의 내용과 진술방식을 중심으로 사회과 수업에 구체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체계화하는 것이다. In this study, in order to implement the social studies competency-centered education suggested in the 2022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a discussion should start with how teachers perceive that social studies competencies are reflected in the curriculum system and achievement standards. This is because teachers' perceptions lead to educational practice.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209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content system of the 2022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reflected social studies competencies well in general. However, by area,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reflection by general society, history, and geographic area. In addition, the degree of reflection was recognized differently for each of the five competencies. The geographic area responded that information utilization ability, critical thinking abilit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decision-making ability, and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ability were relatively high, and the historical area showed lower reflection perception than other areas. Creative thinking ability and critical thinking ability showed relatively low reflection perception compared to other social and competency components. Second, the perception of reflecting social studies competencies in the 2022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 also showed a similar pattern to the perception by subject area. However, it was shown that all five social studies competencies were well reflected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integration’ of the social studies content organiza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ssess the possibility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practice depending on the content and statement method of the achievement standard. In the end, the direction of spec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competency and the curriculum is to systematize it so that it can be applied specifically to social studies classes, focusing on the content and statement method of achievement standards.

      • KCI등재

        사회과교육의 대안으로서 공감시민 육성

        정용교(Chung, Yong Kyo)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7 사회과교육 Vol.56 No.4

        현장 사회과교육은 인간 삶의 이성적, 합리적 영역을 객관화하여 드러내려하였고, 이에 의해 합리적 의사결정을 신장하는 데 교과목표를 설정하였다. 그런 과정에서 겉으로 잘 드러날 수 없는 인간존재의 공감적 내지 감성적 영역을 실현하는 데 근본적 한계를 드러낼 수밖에 없었다. 이는 사회과교육에서 통합적 및 융합적 공감력을 갖춘 시민을 키워내는 데 실패했다는 것을 뜻한다. 이 연구는 이성중심 사회과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감성 내지 공감영역을 사회과교육의 영역으로 드러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다음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현행 사회과교육은 어떤 현장적 문제상황에 처해 있으며 어떤 문제점이 잠재화되어 있는지에 대해 드러낸다. 둘째, 공감시민성이 어떻게 등장하였는지에 대해 검토하며, 이어서 사회과교육에서 공감시민성이 요청되는 이유에 대해 다룬다. 마지막으로, 현장 사회과수업에서 공감시민을 육성할 수 있는 교과적 실천방안으로는 어떤 것이 있을지에 대해 집중적으로 모색한다. 요컨대, 이 연구는 현행 사회과교육에서 공감시민성의 중요성을 드러내고, 이에 근거하여 사회과교육의 미래지향적 모습을 타진해보고자 하였다. The goal of social studies education in the field is to reveal the rational and scientific aspects of human life objectively. Based on this fact, educational aims of social studies have been designed to foster rational decisionmaking abilities. In such a process, we face fundamental limitation in realizing empathic and sympathetic aspects of human being that cannot be revealed in external domain. This also means that social studies education might fail to promote citizens with integrated and convergent sympathy essential for a harmonious relationship with ot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oint out problems of reason-centered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reveal emotional and empathic aspects as core subject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To achieve these goals, we ha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we explored what kind of field problems were present and what kind of problems were latent in the current social studies education. Second, we dealt with the emergence of sympathetic citizenship and examined reasons why it was required for social studies education. Finally, we intensively looked for practical education methods that could foster sympathetic citizenship in the field of social studies education.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e importance of sympathy citizenship in current social studies education. Based on our results, we sought to examine future-oriented aspect of social studies education.

      • KCI등재

        사회과에서 문제발견의 구성과 특징 탐색

        김영현(Kim, Younghyu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0 사회과교육 Vol.5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의 성격과 의미를 반영한 문제발견의 구성과 특징을 탐색하는 것이다. 먼저 사회과에서 문제의 개념과 수준 그리고 유형을 검토하여 그 의미를 구체화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과에서 다루는 문제의 특성을 반영한 문제발견과정과 요소들의 구성을 논의하였다. 연구결과 사회과에서 문제발견의 구성과 특징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사회과에서 문제발견은 여러 요소들의 연결과 순환적 흐름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둘째, 구성요소의 결합에 정도에 따라 사회과 문제발견의 수준은 변화한다. 셋째, 사회과 문제발견에는 학습자의 인지적 능력만이 아닌 사회와 환경의 영향, 그리고 개인의 가치, 태도까지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넷째, 사회과 문제발견은 문제 식별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넘어 문제를 재구조화하고 정교화하며 진술하는 전반적 과정을 포괄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과 문제발견의 구성과 특징은 학습자의 자발성과 삶에 기초한 사회과 학습활동으로서 문제발견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a concrete aspect of "problem finding" in social studies. First, concept, level, and type of problems in social studies were reviewed and their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were embodied. Based on this, the problem finding process and components reflecting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social studies were discusse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problem finding in social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problem finding involves the process of connecting various components and cyclical flow. Second, the level of problem detection changes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components. Third, problem finding affects not only the cognitive ability of learners, but also the influence of society and the environment, individual values, and attitudes. Fourth, problem finding encompasses the overall process of restructuring, elaborating, and stating problems beyond simply identifying problems. Such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problem finding in social studies imply that problem finding is sufficient as a facilitator of extended learning activities beyond the limited role of basic work or guidance for problem solving in social studies learning.

      • KCI등재

        사회과 수업에서 의사소통행위에 대한 교사와 학습자의 인식

        홍서영(Hong, Suh Young),서태열(Seo, Tae-Yeol)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8 사회과교육 Vol.57 No.2

        본 연구는 학생과 교사의 의사소통을 분석하여 교사-학생의 의사소통과 사회과 학습 태도 및 사회과 수업 참여도 간 관련성을 탐색하였다. She & Fisher(2002)가 개발한 교사 의사소통행동(TCBQ : Teacher Communication Behavior Questionnaire)의 교사용과 학생용 검사지를 사용하여, 서울과 경기도 지역 중학교 사회과 교사 10명과 각 교사가 수업하는 학급의 학생 272명에게 의사소통에 대한 설문을 하였다. TCBQ는 용기와 칭찬, 비언어적 지지, 도전적인 발문, 이해와 친근, 규칙 지향 행동 등 5가지 하위 영역으로 분류되어 의사소통 행위에 대한 상세한 조사가 가능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실 환경에서 의사소통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이 서로 달랐으며, 모든 응답에 있어서 교사가 학생보다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성별·경력·전공은 의사소통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들의 남녀 성별에 따른 의사소통 인식의 차이도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이 인식하는 의사소통과 사회과 학습 태도, 의사소통과 사회과 수업 참여도, 사회과 학습 태도와 사회과 수업 참여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사회과 교사들이 교사 위주의 사회 수업에서 벗어나 더욱 적극적으로 학생들과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효과적인 사회과 수업을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communication behavior and students’ attitude & participation in social studies classroom by analyzing communications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This study was conducted at five middle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do. For this study, 10 teachers of social studies and their 272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ampled. For teachers’ communication behavior questionnaires, TCBQ (Teacher Communication Behavior Questionnaire) for teacher and student developed by She & Fisher in 2002 was used. TCBQ consists of 40 questions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encouragement and praise, non-verbal support, challenging question, understanding and intimacy, regulation aiming behavior.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wareness of communication in classroom environment differed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In every response, teachers’ awareness was more positive than students’. Second, according to TCBQ‘s score, teachers’ gender, major, or career did not show any meaningful influence on communication. Third, awareness of communication did not differ according to students’ gender. Fourth,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tudents’ awareness of communication and students’ attitude toward social studies, between communication and students’ participation in social studies, and between students’ attitude and participation in social stud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cial studies teachers should break away from teacher-centered instruction and try to communicate actively with students to have an effective social studies class.

      • KCI등재

        소외론의 관점에서 본 사회과교육

        윤길복(Youn, Gil-Bok)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4 사회과교육 Vol.5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Hegel과 Marx의 소외론을 중심으로 사회과교육의 소외 현상을 살펴보고, 소외를 극복하기 위해 사회과교육이 나가야 할 방향을 살펴보는데 있다. 소외론의 관점에서 사회과교육의 모습을 보았을 때, 학습 과정에서 학습자가 겪게 되는 무력감, 학습자의 삶에 무의미함을 느끼게 하는 사회과 교육과정, 사회과교육의 근본적 목적들에 대한 규범적 인식이 상실된 채 알게 모르게 미래의 경제적 가치 실현을 위해 문화적 자본 축적의 수단을 추구하는 사회과 교실의 풍토, 학습 공동체 내에서 학습자가 사회적으로 고립될 수밖에 없는 상황 등을 볼 수 있다. 사회과교육이 학습자가 사회적 존재로서 자아실현을 하기 위한 한 부분으로서 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소외에서 소외하기로 나아가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학습 과정에서 교실 권력이 정당하게 재분배되어야 하며, 사회과교육과정은 학습자의 실제적 욕구를 반영하여 학습자 스스로 만들어가는 유의미한 대상화의 결과가 되어야 하며, 사회과교육의 근본적 목적에 대한 규범적 인식의 중요성을 공유해야 하며, 사회적 고립을 극복하기 위해서 신뢰와 배려를 바탕으로 소통과 연대의 학습공동체를 추구해야 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henomena of alienation in social studies in the perspective of alienation theory and the orientation for overcoming those alienations. With social studies in the perspective of alienation theory, we can find out the powerlessness experienced by learners in learning process, meaninglessness felt by learners for social studies curriculum not concerned with their life, social studies classroom ethos pursuing for knowledges as cultural capitals for future economical values without normative awareness to the goals of social studies, and socially isolated learners for learning community. We need to lead from ‘being alienation’ to ‘making alienation’ for social studies to play proper parts in students’ self-realization as social beings. To do so, classroom power must be legitimately redistributed among students, social studies curriculum be able to be the product of self-directed meaningful objectification with reflection of students’ practical needs, the significance of normative awareness to the goals of social studies be shared, and learning community as communication and solidarity on the base of trust and caring be pursued for overcoming social isolation.

      • KCI등재

        사회과 수업에서 테크놀로지의 통합

        배영민(Yung-Min Bae)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8 사회과교육 Vol.47 No.4

        오늘날 사회과 교육자들은 사회과 수업에서 테크놀로지를 어떻게 의미 있게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하여 진지하게 고민해 보아야 한다. 필자는 이 글에서 ‘의미 있는 사회과 학습’을 위하여 테크놀로지가 사회과 수업에 통합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다시 말하면 기존의 전통적인 교사 중심의 교수법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테크놀로지가 부수적으로 수업에서 ‘첨가’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 필자의 주장이다. 대신에 테크놀로지는 학생들이 도전적이고 복잡한 과제를 능동적으로 해결하는 일을 돕도록 교수 학습의 핵심적인 부분으로서 수업에 ‘통합’되어야 한다. 본문에서 필자는 먼저 기존의 교수 및 학습에 관한 연구 문헌을 검토하여 사회과 수업에서 테크놀로지 통합의 이론적 토대를 제시한다. 즉, 사회과 수업에서 테크놀로지 통합이 마땅히 추구해야 할 의미 있는 학습이 무엇인지를 제시한다. 그 다음 이러한 의미 있는 사회과 학습을 도와주기 위하여 새로운 테크놀로지가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는지를 검토한다. 이같은 이론적 토대와 더불어, 수업에서 의미 있는 사회과 학습을 위한 새로운 테크놀로지 통합의 실제를 두 연구 사례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기존의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을 비판적으로 고찰함으로서 글을 끝맺는다. Today social studies educators must think over how technology could be meaningfully employed in classroom teaching. In this paper, I argue that technology ought to be integrated into social studies classroom for the meaningful social studies learning. In other words, I insist that technology should not be added incidentally in classroom teaching in the way conventional teacher-centered practice is reinforced. Instead, as a central part of teaching and learning technology should be integrated into classroom in order to help students actively perform challenging and complex tasks in their own ways. Reviewing previous studies of teaching and learning I propose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echnology integration into social studies teaching. That is, I first explain the meaningful social studies learning, the conceptual framework for technology integration. Then I discuss how new technologies can make contributions to support this meaningful social studies learning. In addition to the theoretical foundation, I also survey, through two research cases, real classroom practices that integrate new technologies into classroom for the meaningful social studies learning. I end this paper criticizing current classroom practices that use technologies based upon what I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