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밭유구 조사법 및 분석방법

        윤호필,고민정 한국문화유산협회 2006 야외고고학 Vol.0 No.1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논․밭 유구의 조사가 본격화되어, 경작관련 연구가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게 되었다. 경작관련 연구는 지금까지 대부분 논유구가 중심이 되어 이루어지고 있는데, 최근 밭유구의 조사가 급속히 증가하면서 이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확인된 밭유적은 43개소로 논유적 보다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증가하는 밭유구에 대한 해석과 이해도 중요하지만 이에 따른 조사방법에 대한 연구도 매우 중요하다. 즉, 밭유구의 특성상 야외조사에서 이루어지는 조사 및 분석과정이 매우 중요시되는 것으로, 새로운 조사연구방법이 요구된다. 본고에서는 밭경작 과정 모델화 및 밭의 판정, 그리고 지금까지 조사된 밭유구의 검토를 기초로 하여 새로운 조사방법 및 분석방법을 살펴보았다. 조사방법은 먼저 밭경작 과정을 모델화하여 전체적인 경작순서 및 경작방법을 설정하였다. 밭경작 과정 모델은 정지 및 파종(Ⅰ단계), 작물관리(Ⅱ단계), 수확 및 잔여물의 처리(Ⅲ단계)의 3단계의 순환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경작 과정은 각 단계별로 세분화된 작업이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경작흔으로 나타나게 된다. 경작흔은 경작과정 중 Ⅰ단계인 정지작업에서 가장 많이 흔적이 남는다. 밭의 특징은 작물재배에 필요한 지형 및 토양조건이 비교적 자유롭고, 다양한 작물이 재배되며, 논에 비해 재배가 간단하고 단기간에 수확할 수 있음을 먼저 살펴보았다. 또한 확실한 밭의 판정 기준은 두둑과 고랑의 확인 및 자연과학 분석을 통해 식물유체를 확인하는 것이다. 밭유구의 조사는 유적의 입지 파악 및 조사범위를 설정하고, 토층조사, 평면조사 순으로 진행한다. 토층조사와 평면조사에서는 구획과 관련된 경계구, 경계둑, 농로 등을 확인하고, 경작 과정행위, 경작 도구흔 등을 찾는다. 이때, 밭 이랑의 방향과 직교되게 기준둑(단면)을 남겨서 토층 및 단면조사를 해야 한다. 대규모로 조사된 밭의 경우에는 항공촬영과 컴퓨터그래픽을 동원하여 유구 도면을 작성하고, 일정 간격으로 시료를 채취한다. 마지막으로 식물유체, 식물규산체, 토양미세형태학적 분석을 통해서 재배작물을 밝혀내고, 출토유물 및 문헌사료, 절대연대측정법을 통해 연대를 결정하는 분석방법을 제시하였다. In the 1990s there came a turning point when the archaeological excavations of archaeological dry and wet-field features began. Most excavations centre on wet-field features, but the basic excavation of dry-fields has rapidly increased. In total 43 agricultural field features have been excavated. This increase in field investigations demands that new excavation methodologies been developed. In this paper we look at new methods and analysis techniques for the excavation of fields based on modelling cultivation in dry-fields, identity confirmation of field features, and a literature review of excavated field features. Excavation methods involve modelling cultivation processes procedure by establishing the total cultivation procedures and methods. A model of a cycling system is revealed in which seedlings are soil are prepared in Stage I, plants are tended and cultivated in Stage II, and plants are harvested and processed in Stage III. Each stage is further sub-divided and together they present evidence of the cultivation process. In particular evidence from Stage I, soil preparation can be found in greatest abundance. Some characteristics of growing crops in dry-fields are that the topographic and soil conditions are relatively variable, many crop taxa are grown, and compared to wet-field agriculture the planting-to-harvest cycles are shorter and simpler in dry-field agriculture. Additionally, the confirmation of field features is accomplished through the identification of characteristic ridge-and-furrow sequences and through the archaeobotanical analysis of macrobotanical remains gathered from flotation. The standard excavation of dry-field features includes accounting for site location conditions and establishing investigation limits as well as vertical and horizontal excavations. Morphological features such as plot demarcation, border ditches, bunds, and roadways are confirmed through vertical and horizontal excavations, as is evidence of cultivation behaviour and tools. It is necessary at this point to strategically establish an excavation baulk so that direction and orientation of ridges and furrows can be seen in cross section and so that profile and stratigraphic investigations can proceed. In cases in which dry-fields are subjected to large-scale investigation, aerial photography and computer illustration techniques are utilized in order to produce plan drawings of the feature, and soil samples are taken at regular intervals. Through archaeobotanical, phytolithic, and soil micromorphological analysis techniques we enable the identification of crop taxa. Finally, we present the total analysis by completing an analysis of artifacts, radiocarbon dates, and consultation of grey literature.

      • VFSMOD-W를 이용한 초생대 유사저감효과 모의

        김주영 ( Jooyoung Kim ),서정훈 ( Jeonghoon Seo ),최경숙 ( Kyungsook Choi ) 한국농공학회 201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3 No.-

        밭 경지에 초생대기법을 적용하였을 경우 유사저감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초생대 토사유출저감 모의를 위해 개발된 VFSMOD-W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일반적인 밭경지 조건을 적용하여 모의해 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농업토양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통계자료를 토대로 우리나라 일반적인 밭경지 규모, 경사, 토양, 배수등급에 대해 조사해 보았다. 그 결과 밭 규모는 1.0 ha 이하가 우리나라 전체 밭경지의 86.16 %를 차지하였으며, 경사는 7~15 % 정도가 62%를 차지하였고, 토양의 특성은 양토, 사양토, 미사질 양토 순이었으며, 대부분 양호한 배수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자료를 토대로 모의를 위한 시나리오를 개발해 보았다. 우리나라 밭경지 규모를 고려하여 밭의 크기는 0.1 ha, 0.5 ha, 1.0 ha로 하였고, 다양한 밭 형상을 고려하여 밭의 폭과 길이의 비율을 1 : 0.1, 1 : 0.5, 1 : 1, 1 : 3으로 세분화 하였다. 밭의 경사는 7%와 15%로 선정하였으며, 토양 특성은 양토로서 수문학적 토양그룹은 Type B로 하였다. 농촌지역 소규모 밭경지에서 여러 종류의 밭작물을 재배하고 있는 특성을 감안하여 CN을 선정하였으며, AMC-Ⅱ조건에서 모의하였다. 초생대의 규모는 초생대 효과가 나타나는 구간부터 시작하여 밭경지 면적의 최대 20 % 범위 내에서 초생대 길이를 다양하게 적용해 보았으며 초종은 잔디초생대로 설계하였다. 강우조건은 20~100 mm의 일강우량을 적용하였으며, NRCS의 대표적 강우분포인 storm type Ⅱ를 적용하여 모의하였다. 그 결과 20mm 강우조건에서 밭의 경사 7%인 경우 20mm에서 밭경지의 유사량은 2.85~100.9kg, 초생대를 통과한 유사량은 0kg으로 유사저감율이 100%였으며, 40mm 강우조건에서 밭경지 유사량은 342.8kg~9,160kg, 초생대 유사량은 0.049kg~4169kg으로 유사저감율이 54%~99%로 나타났다. 100mm강우에서는 밭경지 유사량이 2,634kg~123,000kg, 초생대 유사량이 928.2kg~80,870kg로 증가하였으며, 유사저감율은 34%~64%로 낮아졌다. 밭경사 15%의 경우 20mm강우조건에서 밭경지 유사량은 6.9kg~360kg, 초생대 유사량은 0kg으로 밭경사 7% 일때와 마찬가지로 유사저감율이 100%였으며, 40mm강우조건에서 밭경지 유사량은 660.3kg~32,840kg, 초생대 유사량은 177.5kg~25,140kg으로 유사저감율은 23%~97%로 나타났다. 또한 100mm강우에서 밭경지 유사량은 6,011kg~429,700kg, 초생대 유사량은 3,439kg~298,400kg으로 유사저감율은 19%~44%를 나타내었다. 강우량과 밭경지 규모 및 경사, 그리고 경사장이 증가할수록 초생대 길이가 짧을수록 유사저감효과가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20mm 이하의 강우조건에서는 유사량이 발생하더라도 밭경지 규모에 비해 비교적 유사량 발생규모가 적어 초생대에서 유사가 모두 차단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밭농업 기계화 촉진을 위한 생산기반 정비 모델

        서동욱 ( Donguk Seo ),김영화 ( Younghwa Kim ),이준구 ( Joongu Lee ),최원우 ( Wonwoo Choi ),이호형 ( Hohyeong Lee ),정용구 ( Yonggu Jeong ) 한국농공학회 2015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5 No.-

        한중 FTA 체결에 따라 우리나라 밭농업의 피해를 줄이고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밭농업 기계화율을 높이기 위해 밭 경지정리를 포함한 종합정비가 이루어져야 한다. 밭경지정리사업을 적극 시행하여 밭농업이 더욱 활성화 되고 농업인의 영농의욕을 고취시킬 뿐만 아니라, 밭농업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획기적인 밭기반종합정비사업의 시행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 시행한 밭기반정비사업의 문제점과 미흡한 점을 찾아 개선하고 밭농업 기계화를 촉진을 위한 생산기반 정비 유형과 모델을 제시하였다. 밭농업 기계화 촉진을 위한 선택형 밭기반정비 모델로 정책적 모델과 기술적 모델로 구분하였으며, 정책적 모델은 주산단지 농업산업화단지 모델, 광역 주산단지 모델, 일반지구 모델로, 기술적 모델은 평야부 모델과 산간지 모델로 구분하였다. 평야부 모델은 집단지 개발형, 분산지 결합형, 곡간답 흡수형, 재개발 정비형으로 구분하였으며 이외 단지조성방식, 용수개발방식, 경사도 등에 따라서도 구분하여 각 지역적 여건에 맞게 복합적 모델을 설정하도록 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2016년부터 실시할 밭기반정비 시범사업 계획에 활용될 예정이다.

      • 한지용어의 낱말밭 연구

        정성미(Jung Sung-Mi)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8 江原人文論叢 Vol.19 No.-

        이 논문은 한지용어를 의미적으로 분류하고 의미성분을 분석하여 한지용어의 낱말밭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지용어는 일꾼밭, 한지밭, 도구밭, 제작행위밭, 제작장소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지용어의 전체 공통 의미성분은 [한지]이다. 일꾼밭은 [사람]에 의해 다른 밭들과 구분되며, 한지밭은 [±재료]에 의해 재료밭과 한지종류밭으로 분류하였다. 도구밭, 제작행위밭, 제작장소밭은 [일의 종류]가 공통 의미성분이다. 일꾼밭에서는 [專門][세부작업]에 의해 세부적으로 어휘들이 분절되고, 한지밭 중 재료밭에서는 [주재료][부분][재료완성]에 의해 어휘들이 분절되고, [질][원산지][색깔][상태][모양] 등의 의미에 의해 세부적으로 분절된다. 한지종류밭은 [종류][부분][(분류)기준]에 의해 분절된다. [분류기준]은 [재료][용도][제작도구][크기][제작방법][제작과정][상태]로 분절된다. 도구밭은 [일의 종류]에 따라 크게 [+재료만들기, +종이뜨기][-재료만들기, -종이뜨기]로 분절되며, [-재료만들기, -종이뜨기]는 종이를 뜨고 난 후의 일로 [물빼기][일구기][건조][두드리기]로 분절된다. 또 도구밭은 더 자세하게 [부분][위치][기능][원산지][크기][種] 등의 의미성분으로 분절된다. 제작행위밭은 [일의 종류][세부작업]에 의해 분절된다. 비유적인 표현의 어휘도 있다. 제작장소밭은 [장소]와 [일의 종류]에 의해 분절된다. The aims to this paper are to classify a term of HanJi meaningfully, analyze its semantic constituent, and examine its wordfield. A term of HanJi consist of workerfield, HanJifield, toolfield, producing action field, producing place field, and its whole common meaning constituent is [HanJi]. Workerfield is divided into other fields by [people], and HanJifield is classified into its materialfield and its kindfield by [±material]. [A kind of work] is a common meaning constituent of toolfield, producing action field, producing place field. Words in Workerfield are segmented in detail by specialty and detailed work. Words in materialfield of HanJifield are segmented by [main material], [part], and [completion of material] and are segmented in detail by meaning such as [quality], [a place of origin], [color], [condition], [shape], etc. A field of kind of HanJi is segmented by [sort], [part], and [a standard of classification]. Astandard of classification is segmented into [material], [use], [an instrument of production], [size], [a method of production], and [state]. Toolfield is broadly segmented into [+making materials], [+making paper], and [-making materials, -knitting paper]. [-materials, -making paper] is done after knitting paper and it is segmented into [removing water], [raising], [drying], and [patting]. And toolfield is more particular segmented into meaning constituent such as [part], [position], [function], [a place of origin], [size], and [species]. A field of producing action is segmented by [kind of work] and [detailed work]. There are words which mean metaphorical expression. A field of producing place is segmented [place] and [kind of works].

      • 통계자료를 이용한 밭용수 수요량 추정

        명우호 ( Wooho Myoung ),이병선 ( Byungsun Lee ),이규상 ( Gyusang Lee ),송성호 한국농공학회 202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0 No.-

        우리나라 연간 수자원 이용량은 372억 ㎥이며, 이 중 약 41%인 152억 ㎥을 농업용수로 이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시행된 통합 물관리 정책의 주요 목표인 수요자 중심의 물공급 정책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간 수자원 이용량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농업용수의 수요를 잘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다. 통계청이 제공하는 농경지 면적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농경지 면적은 2000년 1,889천 ha에서 2019년 1,581천 ha로 감소 추세에 있으나, 밭면적은 2000년 740천 ha에서 2019년 751천 ha로 점진적인 증가 추세에 있다. 환경부에 따르면 2018년 기준으로 농·어업용 지하수시설은 총 792,321개이다. 이 중 답작용은 443,456개(56.0%)이며 전작용은 237,395개(30.0%)이다. 지하수 이용량은 답작용이 586백만 ㎥/yr이며 전작용은 560백만 ㎥/yr이므로 밭용수가 단위 시설당 지하수 사용량이 논에 비해 높다고 할 수 있다. 밭용수 수요량을 평가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작부체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우리나라 밭의 경우 일부 주산단지를 제외하면 다품목소량 생산구조가 지배적이며, 매년 재배작물이 일정하지 않아 정확한 작부체계를 파악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산단지를 제외한 지역에서의 미래 밭용수 수요량을 평가하기 위하여 용인시 남사면과 백암면 지역에 대한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밭용수 수요량을 평가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작물 재배 시설은 크게 밭, 시설재배지, 과수원으로 구분하고, 이에 대한 각각의 면적을 추정하기 위하여 환경부가 1980년부터 2014년에 대해 구축한 연도별 토지피복도를 이용하였다. 중분류 토지피복도를 바탕으로 분류된 시가지, 논, 밭, 시설재배지, 과수원에 대한 연도별 면적변화를 분석하고 최소자승법을 이용하여 각 시설의 2030년 면적을 추정한 결과 남사면은 밭이 260.5 ha, 시설재배지는 101.4 ha, 과수원은 0.5 ha로 나타났다. 백암면의 경우 밭은 483.2 ha, 시설재배지는 74.3 ha, 과수원은 23.3 ha로 추산되었다. 각 행정구역별 작물 재배 면적을 산출하기 위하여 통계청에서 매 5년 단위로 실시하는 농림어업총조사의 작물별 재배면적 자료를 토대로 1980년부터 2015년까지 재배면적 변화를 추세 분석하여 작물별 재배면적의 증감 비율을 산출하였다. 분석 대상 작물은 밭의 경우 콩, 옥수수, 감자, 배추, 무, 고추, 마늘, 고구마, 인삼, 참깨, 들깨, 시설재배지의 경우 오이, 참외·수박, 상추, 고추, 화훼류, 배추, 무, 호박, 과수원의 경우 사과, 배, 복숭아, 포도, 매실이다. 이를 각 행정구역별 2005∼2015년 작물별 평균 면적에 곱하여 2030년 면단위 최종 작물별 재배면적을 산출하였다. 이 때 산출된 각 면단위 경작시설(밭, 시설재배, 과수원)에 따른 작물재배면적 비율을 토지피복도를 통해 산출한 2030년 경작시설별 면적에 곱하여 면단위 작물별 재배면적을 산출하였다. 밭용수 수요량은 10년 빈도 증발산값과 관계효율을 통해 산출하였으며, Penman-Monteith 식을 이용하여 작물의 실제증발산량을 산출하였다. 작물의 실제증발산량 산출을 위한 잠재증발산량 산출을 위한 기상관측자료는 과거자료의 경우 실제 기상관측자료를 적용하였으며, 미래 기상자료는 기후변화 시나리오(RCP 4.5)로부터 추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산출한 2030년 월별 최대 수요량은 8월이 가장 높았으며 남사면이 43.89 ㎥/day/ha, 백암면이 47.29 ㎥/day/ha로 분석되었다. 지구별 밭용수 수요량은 남사면이 16,159.9 ㎥/day/ha, 백암면이 28,019.70 ㎥/day/ha로 분석되었다.

      • 간척지의 밭기반 조성을 위한 설문조사 연구

        이달원 ( Dalwon Lee ),노재진 ( Jaejin Noh ) 한국농공학회 201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3 No.-

        본 연구에서는 석문 간척지구, 새만금 간척지구, 화옹 간척지구, 영산강 간척지구 농업용지에서 효율적인 밭 기반조성을 위하여 간척지구내의 수도작과 전작 재배 농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재 간척 농지의 작부체계, 영농규모 및 영농수입 수준, 제염관리 및 대책, 토양유실 및 토층개량 등을 조사하고 밭작물 전환시 희망 작목과 정부지원 요구시설 등을 파악하여 밭 기반조성을 위한 설계지침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1. 석문 간척지구의 작부체계는 수도작 12%, 전작 18%, 겸작 70%로 임대계약형태로 형태로 재배되고 있고, 제염성이 강한 콩, 고추, 마늘 등의 작물을 재배하고 있다. 염분피해는 48%로 수확량이 약 30%정도 감소되었고, 토양이 미사질토로 구성되어 배수가 불량하며 수도작 위주로 설계된 배수체계로 인하여 대부분 습해피해가 발생되었다. 수도작에서 전작으로 전환하기를 희망하는 농가는 36% 이고, 정부에 요구하는 지원시설은 보조금 지원>관개 및 배수시설>임대기간 연장>하우스 시설>제염시설>기술교육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2. 새만금 간척지구는 경작형태는 수도작 72%, 겸작 21%, 전작 7%이고, 밭작물은 고추>감자>깨>콩>마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염분피해 농가는 36%이고, 생산량 감소는 10~20% 이며 제염대책은 73%가 없다고 응답하였다. 밭전환시 희망재배 작물은 콩>감자>고추>마늘>상추 순으로 나타났고, 고령화로 인한 노동력 부족 등으로 55%가 밭 전환에 반대 하였다. 밭작물 전환 시 정부에 요구하는 지원시설은 관개 및 배수시설, 보조금 지원 등으로 나타났다. 3. 화옹지구는 미래형 농업단지 조성모델을 위하여 적용된 시범지구로 가경작 면적 684 ha에서 임시 및 일시경작하고 있다. 경작형태는 수도작 50%, 전작 46%, 겸작 4% 이고, 밭작물은 고추>콩>들깨>포도>감자 순으로 나타났다. 밭작물 전환시에 54%가 반대를 하였고, 희망재배 작물은 포도>감자>콩>인삼>토마토>고추 순으로 도시근교 농업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밭작물로 전환 시 정부에 요구하는 시설은 관개 및 배수시설, 태풍방제시설 등으로 나타났다. 4. 영산강 간척지구는 대규모 농어업회사(5개)가 713 ha 면적에 30년 동안 밭작물 재배를 위해 장기임대하고 있고, 용수문제가 심각하여 수도작 위주의 토양은 밭작물 재배에 적합한 농지로 전환해야 하고, 초기 시설 투자비용은 많지만 영농수입은 거의 없는 상태이다. 밭 작물 재배시 지하수나 담수호는 염도가 높아 피해가 크고, 제염관리대책으로 객토가 필요하며, 습해피해가 심각하여 기계적 배수시설 설치를 요구하고 있는 상태이다.

      • KCI등재후보

        한지용어의 낱말밭 연구

        정성미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8 인문과학연구 Vol.0 No.19

        The aims to this paper are to classify a term of HanJi meaningfully, analyze its semantic constituent, and examine its wordfield. A term of HanJi consist of workerfield, HanJifield, toolfield, producing action field, producing place field, and its whole common meaning constituent is [HanJi]. Workerfield is divided into other fields by [people], and HanJifield is classified into its materialfield and its kindfield by [±material]. [A kind of work] is a common meaning constituent of toolfield, producing action field, producing place field. Words in Workerfield are segmented in detail by specialty and detailed work. Words in materialfield of HanJifield are segmented by [main material], [part], and [completion of material] and are segmented in detail by meaning such as [quality], [a place of origin], [color], [condition], [shape], etc. A field of kind of HanJi is segmented by [sort], [part], and [a standard of classification]. A standard of classification is segmented into [material], [use], [an instrument of production], [size], [a method of production], and [state]. Toolfield is broadly segmented into [+making materials], [+making paper], and [-making materials, -knitting paper]. [-materials, -making paper] is done after knitting paper and it is segmented into [removing water], [raising], [drying], and [patting]. And toolfield is more particular segmented into meaning constituent such as [part], [position], [function], [a place of origin], [size], and [species]. A field of producing action is segmented by [kind of work] and [detailed work]. There are words which mean metaphorical expression. A field of producing place is segmented [place] and [kind of works]. 이 논문은 한지용어를 의미적으로 분류하고 의미성분을 분석하여 한지용어의 낱말밭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지용어는 일꾼밭, 한지밭, 도구밭, 제작행위밭, 제작장소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지용어의 전체 공통 의미성분은 [한지]이다. 일꾼밭은 [사람]에 의해 다른 밭들과 구분되며, 한지밭은 [±재료]에 의해 재료밭과 한지종류밭으로 분류하였다. 도구밭, 제작행위밭, 제작장소밭은 [일의 종류]가 공통 의미성분이다. 일꾼밭에서는 [專門][세부작업]에 의해 세부적으로 어휘들이 분절되고, 한지밭 중 재료밭에서는 [주재료][부분][재료완성]에 의해 어휘들이 분절되고, [질][원산지][색깔][상태][모양] 등의 의미에 의해 세부적으로 분절된다. 한지종류밭은 [종류][부분][(분류)기준]에 의해 분절된다. [분류기준]은 [재료][용도][제작도구][크기][제작방법][제작과정][상태]로 분절된다. 도구밭은 [일의 종류]에 따라 크게 [+재료만들기, +종이뜨기][-재료만들기, -종이뜨기]로 분절되며, [-재료만들기, -종이뜨기]는 종이를 뜨고 난 후의 일로 [물빼기][일구기][건조][두드리기]로 분절된다. 또 도구밭은 더 자세하게 [부분][위치][기능][원산지][크기][種] 등의 의미성분으로 분절된다. 제작행위밭은 [일의 종류][세부작업]에 의해 분절된다. 비유적인 표현의 어휘도 있다. 제작장소밭은 [장소]와 [일의 종류]에 의해 분절된다.

      • 새만금 초생대 유사저감효과 분석

        이슬기 ( Seulgi Lee ),최경숙 ( Kyungsook Choi )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7 No.-

        본 연구에서는 밭경지의 비점오염저감대책 중 하나인 초생대(VFS; Vegetative Filter Strips) 기법을 이용하여 밭경지 비점오염의 주원인인 유사에 대한 저감 효과를 분석하므로 초생대기법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새만금 유역의 밭경지를 대상으로 VFSMOD-W모형을 이용하여 초생대의 유사저감효과를 모의하였다. 다양한 밭경지 특성을 고려하고자 밭경지 규모 및 경사인자와 더불어 기상인자인 강우를 이용하여 다양한 현장여건을 반영한 시나리오를 개발하였다. 새만금지역의 토성은 주로 양토(Loam)가 83.7%를 차지하며, 밭경지는 대부분 15% 이내의 경사를 가지고 있는 여건을 고려하여, 현장시나리오에 적용한 밭경지 규모는 1ha, 5ha, 10ha이며, 밭경사의 경우 7%, 15%을 채택하였다. 강우량은 일우량 50mm, 100mm, 150mm, 200mm를 채택하였다. 또한 초생대 적용을 위해 밭경지 하단부의 10% 면적은 초생대 구역으로 가정하여 우리나라 잔디 특성에 가까운 Grass mixture을 적용하였다. CN값은 NRCS에서 제공하는 CN값 중 줄작물, 곡물류 등을 재배하는 수직경작지에서의 배수등급 양호하며 수문학적 토양그룹인 B인 경우로 87.3으로 선정하였다. 그 결과 모의시나리오에 따른 초생대 유출저감효과는 2.9%~13.5%의 범위로 경사 7%에서 0.1~1.4% 정도 높은 저감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밭경지 면적이 클수록 저감 효과도 높게 나타났다. 초생대 유사저감효과는 36.0~97.0%로 나타났으며 경사 7%에서 6%~38.5% 정도 높은 저감 효과를 보였다. 밭경지 면적의 규모에 따라 큰 면적일수로 유사발생량이 컸으나, 초생대에 의한 유사저감효과는 상대적으로 밭경지 면적이 작을수록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10ha 미만의 규모의 경사 15% 이하의 밭경지에 10% 규모의 면적에 초생대를 설치할 경우 유출 및 유사저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새만금유역의 밭경지에 초생대 기법을 적용한다면 새만금호의 수질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밭기반 농업용수 절약 모델 개발 방안 연구

        신형진 ( Hyungjin Shin ),김해도 ( Haedo Kim ),이재남 ( Jaenam Lee ),신안국 ( Ankook Shin ),강석만 ( Seokman Kang )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7 No.-

        IPCC에 따르면 현 추세로 온실가스 배출시 대규모 홍수 및 게릴라성 집중호우 등으로 홍수발생 위험이 증가하고, 가뭄도 2~3년 주기로 빈발하여 물 부족 가능성이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가 수자원 총 이용량의 48%가 농업용수로 이용되고 있으나, 가뭄 대응에는 아직까지 미약한 수준이다. 논 면적(964천ha) 수리안전답은 575천ha에 불과하고, 19.4%(187천ha)는 별도 용수공급시설이 없어 자연강우에 의존하고 있으며, 용수공급시설을 갖춘 관개전은 140천ha로 전국 밭면적의 18.5% 수준('15.7월 행정조사)에 그쳐 논에 비해 열악한 수준이다. 최근 농지이용구조가 변화되면서 밭작물의 지위가 높아지고 있으며 1990년과 2014년을 비교하면 논과 밭의 비중은 6.4 대 3.6 에서 5.5 대 4.5 수준으로 변화하였다. 2013년 재배업 생산액 통계에 따르면 밭작물은 19조 8,000억원, 미곡은 8조 5,000억원으로 이는 밭 농업의 수익성이 쌀보다 2 배 이상으로 월등히 높아 밭작물 생산성 증대로 농가의 수익성을 높일 수 있다. 밭작물은 작물의 생육시기와 기수, 농업환경에 민감하고 토양수분 부족 및 가뭄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 가뭄이 지속되면 토양수분 결핍이 발생하고 식생 수분 스트레스가 증가하여 밭작물의 생산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가뭄시 밭작물의 생산성 저하, 농작물 수급 불안 등 직접적 영향 및 손실을 줄일 수 있는 방안 대책이 시급하다. 따라서 가뭄에 대응하기 위한 농업용수의 관리는 논농업 위주로 진행되어 밭농업에 대한 가뭄대응기술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가뭄시 밭농업의 용수공급을 기존의 개별 용수공급 방식 대비 집단화 관개방법을 통한 농업용수 절약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 저류조를 이용한 논의 타작물 관개용수 확보 방안 연구

        신형진 ( Hyungjin Shin ),박찬기 ( Changi Park ),이재남 ( Jaenam Lee ),송인홍 ( Inhong Song ),강문성 ( Munsung Kang ) 한국농공학회 201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9 No.-

        밭작물은 작물의 생육시기와 농업환경에 민감하고 토양수분 부족 및 가뭄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 가뭄이 지속되면 토양수분 결핍이 발생하고 식생 수분 스트레스가 증가하여 밭작물의 생산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가뭄 상습밭 지역의 안정적 밭 관개용수 공급을 위해 논농업 위주의 수리시설물을 활용하여 농업용수를 절약할 수 있는 방안의 연구가 필요하다. 농업생산기반시설을 이용한 밭 관개용수 확보를 위해 수원공을 살펴보면 기존 수원공은 논농업 관개용수 확보를 위해 설치되었으며 확보된 용수는 논농업 관개용수이다. 기설 용수로의 과반수 이상의 토공수로 및 관련 구조물의 노후화로 유량 및 유속 등 용수시설의 기능 저하로 밭 관개용수를 양수 할 경우 양수기 흡입장치가 물에 잠기지 않아 수로의 물 흐름을 방해한다. 거의 대부분 밭 관개용수는 개별적으로 지하수를 개발하여 양수하고 있으며 개별적으로 이용하는 방식은 공사구역으로 살펴보면 용수이용 효율이 낮고 지하수 관정공사 등 농가에서 추가 비용이 발생한다. 지표수를 이용하는 경우는 밭기반정비사업, 맑은물공급사업 및 지하수에 염분이 많은 지역의 지표수 이용 등 집단화된 밭 관개용수 공급 사례 등이 있다. 지표수를 밭 관개용수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관개를 위한 수질 및 수온 처리가 필요하다. 밭 용수만을 위한 시설을 추가 확보하기 위해 수질 및 수온을 처리 기능이 있는 다기능 저류조를 개발하면 각 농가가 영농시기 및 관개방법이 다른 다양한 밭작물 재배에 필요한 용수공급을 할 수 있다. 다기능 저류조 시스템은 저류조 상부에 금속소결망 여과장치를 장착하고, 수온유지를 위해 열선처리를 적용한 수처리 및 수온유지 일체형 다기능 저류조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한 용수확보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