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N+1 판매촉진 행사에 대한 공정 비용부담에 대한 소고

        안승호 ( Ahn Seung Ho ),최영홍 ( Choi Young Hong ),임주미 ( Lim Ju Mi ),김회준 ( Kim Hoi Jun ) 한국유통법학회 2018 유통법연구 Vol.5 No.2

        『대규모유통업에서의 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에서는 판매촉진비용의 부당한 전가를 금지하며 그 비용부담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다. 동법 제11조 제3항에 의하면 판매촉진 비용은 소매업체와 납품업체가 판매촉진으로 얻게 될 경제적 이익의 비율(예상이익)에 따라 정하되 그 비율은 산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양자의 이익이 동일한 것으로 추정한다. 이 규정은 경영 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소매업자의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경영상 결정을 심각하게 저해할 수 있다. 판매촉진 수단의 다양성 등을 고려하지 않고 모든 유형의 활동에 대하여 일률적인 법을 적용하는 것은 예상치 못한 부정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납품업체가 주도하는 판매촉진 행사에 소매업체가 일부 협조하거나 개입하게 되면 소매업체에게 부당한 부담을 지울 수 있기 때문이다. N+1 판매촉진은 동일한 가격에 더 많은 상품을 제공하는 일종의 수량 판매촉진으로 “한 개를 사면 하나는 덤”이라는 판매촉진 행사가 대표적인 예이다. N+1 판매촉진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소매업체보다 납품업체에게 훨씬 더 큰 혜택이 돌아간다. 첫째, N+1은 특정 브랜드의 판매를 촉진하므로 납품업체에게 주는 혜택이 매우 명확하다. 반면에 소매업체가 받는 혜택은 다른 보완 제품을 판매하거나 그 행사를 통해 새로이 유치하는 고객의 규모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에서 혜택이 명확하지 않다. 둘째, 납품업체는 계절 등 일시적 이유로 판매가 저조한 경우 촉진을 통해 생산 프로세스를 원활하게 하고, 제품 가치의 하락을 방지하며, 신제품 출시의 효율적인 방안으로 활용하며, 다른 판매촉진 수단과 비교할 때 한계 비용이 낮은 방안이고, 가격 할인과 동일한 효과를 창출하면서도 심각한 가격 경쟁을 방지할 수 있는 등 N+1을 통해 다양한 비용 절감기회를 확보할 수 있다. 셋째, 이에 반하여 소매업체는, N+1 판매촉진 행사는 취급해야 하는 제품의 수량을 증가시켜 추가적 공급 체인에 따른 비용과 매장 비용의 발생 및 경쟁제품의 판매기회 상실 등 다양한 추가적 비용을 부담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N+1 판매촉진 행사는 소매업체보다는 납품업체에게 훨씬 더 직접적이고 많은 혜택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비록 수익 추정이 불명확한 경우에도 같은 이익을 염두에 둔 1:1의 비용부담은 합당하다고 보기 어렵다. 이 법조항은 판매촉진 비용의 공정한 분배가 소매업체와 납품업체 간의 협상의 주요 쟁점이 되는 경우만 적용될 필요가 있으며 N+1 판매촉진 행사는 그런 판매촉진이 아니라 할 것이다. The “Act on Fair Transaction in Large Retail Business” provides the rules concerning the sharing of sales promotional expenses between a retailer and its suppliers. According to the Articles 11 ③, the ratio of sharing sales promotional expenses shall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atio of economic profits a retailer and its supplier are expected to earn from the sale promotion. although when the expenses can not be clearly estimated, the ratio is presumed to be 1:1. This regulation may seriously impede the reasonable and efficient business decisions of retailers to respond to the dramatic changes in business environments. The author argues considering that the great diversity of sales promotional tools, the indifferent applications of the act to any type of sales promotion may generate unexpected and undesirable consequences. Any involvement of retailers in promotions even initiated and led by its suppliers may put an unjustifiable burden on the retailers. The N+1 sales promotion is a bundling promotion which is a combination of products on sale for the same price and “buy one get one free” promotion is well known example of N+1 sales promotion. The problem arises when the return or benefit from the promotion is not clearly estimated. The N+1 promotion returns much larger benefits to suppliers than retailers because of following reasons. First, the N+1 facilitates the sales of a specific brand whose benefits to a supplier is very clear while to retailer depends on the sales of other complementary products and the size of newly attracted customers. Second, there are a lot of opportunities which allow suppliers to reduce costs by smoothing production process, efficient introduction of products, incur very low marginal costs compared with other sales promotion tools, and prevent serious price war when generating the same effect as price discounts. Third, because the N+1 promotion increases the volume of products a retailer carries, the increase in supply chain expenses, store costs, the loss of future sales at full price, cannibalization among similar products and advertising should be counted in estimating the costs incurred to retailers. In conclusion the unclear estimation of the returns from N+1 promotion can not be a justifiable reason for the presumption of 1:1 ratio regarding the N+1 promotion. The Act should be applied only to the case where the fair share of sale promotional expenses become the focal issue of the negotiation between retailers and their suppliers to arrange the sales promotion and the N+1 promotion is not the case.

      • KCI등재
      • KCI등재

        EU의 온라인 플랫폼 규칙 시행이 유통분야에 주는 시사점

        강지원 ( Kang Ji Won ) 한국유통법학회 2020 유통법연구 Vol.7 No.1

        EU는 높은 거래의존도를 바탕으로 우월적 지위를 확보한 온라인 플랫폼사업자가 판매업체 등에게 불공정한 계약조건을 부과하거나, 하방시장에서 판매업체들과 경쟁관계에 있는 검색엔진 사업자가 자사 제품에 유리하도록 검색 알고리즘을 설정하는 등 온라인 유통생태계의 공정한 거래질서를 확보하기 위해 ‘온라인 플랫폼 규칙’을 제정하였다. EU의 온라인 플랫폼 규칙은 사적자치에 대한 침해 우려를 감안하여, 새로운 불공정행위를 실체법적으로 규율하기 보다는 주로 거래관계의 불균형에서 문제될 수 있는 절차적 공정성을 확보하고 판매업체 등의 플랫폼 이용자에게 정보제공을 강화하는 투명성 제고 중심의 규정들로 구성되어 있다. 약관의 변경이나 플랫폼서비스의 이용제한·중단 등과 관련한 절차적 통제는 비교적 엄격한 편인데 반해, 플랫폼서비스 이용에서 문제 될 수 있는 주요 약관조항의 공정성에 대해서는 실체법적 판단을 내리지 않고 단지 그러한 조항의 경제적·사업적 근거 명시 등을 통해 거래의 투명성을 보장하고자 함이 동 규칙의 기본입장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판매중개에 종사하는 오픈마켓, 배달앱 등에 대해서는 대규모유통업법이 아닌 공정거래법만 적용되고 있는데, 업태에 따라 거래상 지위를 가진 유통업자의 경제적 약자에 대한 남용행위에 대한 규율 강도가 차등화 되는 현행 규제체계에 대해서는 개선을 검토할 여지가 있다. 단기적으로는 판매중개 형태의 온라인 유통업체를 대규모유통업법의 적용대상으로 포섭하는 법 개정이 선행될 필요가 있으며, EU 온라인 플랫폼 규칙을 참고하여 검색순위 결정요소에 대한 투명성의 제고 등 온라인 유통생태계의 공정한 경쟁 환경(level-playing field) 조성을 위한 규율방안까지 아우를 수 있는 입법방안에 대해서도 중장기적으로 논의해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European Union is expected to take the first step to the “road not (yet) taken” by the rest of the world in the upcoming July. In a pioneering effort to tackle the problem of unfair trading practices in online ecosystem, the EU lawmakers enacted a new Regulation on online platform businesses(“EU Online Platform Regulation”) effective as of July 21, 2020. Acting as a “bottleneck” to reach consumers online, online intermediary service providers(“matchmakers” in e-commerce) and search engines have an ability and incentive to abuse their superior bargaining power, albeit falling short of a dominant position, by exploiting business users. Those business users or corporate website users are left with virtually no practical option but to accept such unfair treatment, if they wish to stay connected to consumers in online marketplace. Transparency and fairness are the two interrelated pillars of the Regulation. In fact, substantial parts of the Regulation are targeting unilateral conducts(suspension/termination without notice, differentiated treatment, etc.) of online platform service providers that could be detrimental to the economic interest of business users in P2B(platform-to-business) transactions. These provisions do not, however, intend to create any substantive norms for what constitute unfair practices in P2B settings, as they only specify at a minimum what must be included and described in P2B terms and conditions. Rather, the gist of the Regulation is to ensure procedural fairness with less chilling effect on the freedom of contract and party autonomy in this fast-changing new economy. Other key provisions of the Regulation are also dedicated to improving transparency in ranking systems(esp. for search engines). Despite their strong bargaining positions against small and medium-sized sellers of goods/services, matching platforms like open markets and food delivery apps in Korea do not currently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more stringent Act on Fair Transactions in Large Retail Business(“Large Retail Business Act”, LRBA), while some other forms of online retailers with similar problems do. This form-based regulatory asymmetry, which lies at the crux of the current regulatory framework for online platforms, can be cured by proper legislative intervention expanding the applicable scope of the LRBA into online intermediaries. The longer-term task of creating online level-playing field in Korea would require delineating the proper regulatory scopes of search rankings, data access, etc. that surely go beyond the current LRBA framework. Such issues, incorporating the lessons learned and challenges ahead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EU Online Platform Regulation, will hopefully be addressed in the legislative debates at the National Assemb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