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10~20년대 조선어 가정용 백과사전의 출판과 그 내용

        노상호(Ro, Sang-ho)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한국학연구 Vol.48 No.-

        본고에서 필자는 1910년대와 1920년대에 출판된 가정용 백과사전을 분석하여 20세기 초반에 조선인 여성들이 읽고 소비하던 지식의 내용과 특징을 살펴본다. 1910년대와 20년대에 상업적으로 출판된 실용서적, 특히 가정용 백과사전은 당시 저가의 딱지본 출판문화의 중요한 일부분이었다. 특히 강의영이 출간한 가정보감류의 백과사전들은 순 언문으로 쓴 저가의 실용서이고 그 주된 독자층은 신식 교육을 받지 못한 중장년의 여성이었다. 비록 지금까지 ‘신여성’과 ‘구여성’이라는 이분법적인 관점이 오랜 시간동안 학계에서 받아들여져 왔으나 필자는 중장년의 여성들 역시 지식의 습득과 소비에 매우 적극적이었음을 밝히고자 한다.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analyze Korean female readers and their consumption of printed knowledge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Specifically, I analyze Korean home encyclopedias of the 1910s and 20s, which were made for mid-age Korean women who did not receive formal school education. The home encyclopedias were designed to circulate useful knowledge for married women, so they instructed how to write a letter formally, how to care for children in an emergency, and how to tell fortunes. By analyzing commercial imprints for women, I argue that the home encyclopedias are microcosms of the female reading culture in transition.

      • KCI등재

        해방 이후의 민간역서와 달력 시간의 혼종성

        김미화 ( Jin Meihua ) 한국사회사학회 2021 사회와 역사 Vol.- No.130

        같은 달력을 쓴다는 것은 같은 시간질서에 따르고 시간과 관련된 문화적 상징을 공유하는 것이다. 전통시대의 달력은 ‘역서’ 형태였고, 그것의 간행은 국가가 독점했다. 태양력 도입 이후에도 식민지기에 총독부는 전통적인 책자 형태의 역서를 독점간행했다. 해방 이후 역서 출판이 자유화되면서 남한에서는 다양한 민간역서가 대거 등장했다가, 1960년대부터는 명문당과 남산당 두 출판사가 시장을 거의 점유했다. 이들 민간역서는 제사나 택일 등과 관련한 전통적 ‘음력’의 수요에 부응하면서, 매 순간에 다른 의미가 매겨지는 질적 시간관을 온존시켰다. 시계 시간이 획일화되면서 정밀해진 것과 달리, 현대 한국에서 달력 시간은 비동시적인 것들의 공존, 다차원의 혼종성을 보인다. To use the same calendar is to follow the same temporal order and share cultural symbols of temporality. The calendar of the traditional period was created in almanac form, and the state monopolized its publication. Even after the inception of the Gregorian (solar) calendar, the General Government exclusively published official almanacs of traditional design during the colonial period. After liberation in 1945, the ban on the private publication of almanacs was lifted, which led to the popularity of various privately published almanacs emerging in the country. But starting from 1960s, two publishers, Myeongmundang and Namsandang, cornered the market in almanac sales and distribution. The popular almanacs met the needs of those people wishing to perform traditional lunar calendar-related ancestral rites. The almanacs also remained viable for crucial day-selections while preserving a qualitative conception of time. Unlike the uniformity and precision of clock-based perceptions of time, calendar time still allows non-simultaneous things to coexist, and produces multidimensional hybridity in modern Korea.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