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문감>의 포백류(布帛類) 어휘 체계 연구

        최혜빈 ( Choi¸ Hye-bin ),이효윤 ( Lee¸ Hyo-yoon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인문학연구 Vol.0 No.45

        본고는 <청문감>의 포백(布帛)부 포백(布帛)류 어휘를 통해 당대 만주인이 옷감을 어떻게 구분하고 체계화하였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는 고려 이전 시기부터 직조하는 기술이 발달하여 모시, 삼베, 비단 등의 다양한 옷감을 만들었고 이를 수출하기도 하였다. 비단 및 고급 옷감들은 동아시아뿐만 아니라 유럽에까지 이르는 중요한 교역 물품으로 인식되었다. 청나라 시기 언어 사전인 < 청문감>류 사전에는 옷감 관련 어휘와 뜻풀이가 157 여 종류 이상 제시되어 있어 포백류 어휘에 대한 연구를 통해 당시 청나라 만주족의 옷감에 대한 인식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조선 시대 문헌을 보면 각 옷감의 명칭이 나타내는 의미가 분명하지 않은 경우가 있기 때문에 <청문감>류 사전을 참고하여 옷감의 종류와 특징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어제청문감』, 『어제증정청문감』, 『한청문감』의 포백부 포백류에 실린 표제어가 변화된 양상을 살펴보고 표제어에 대한 뜻풀이를 중심으로 옷감의 종류와 성질을 분석함으로써 포백류 어휘의 의미 구조와 배열 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This paper is a study on lexical system of “bùbólei(布帛類, suje boso)”, which were included the Manchu Language diectionary of Manchu Language dictionary of Yuzhi Qingwenjian(御製淸文鑑, Han i araha manju gisun i buleku bithe), Yuzhi Zengding Qingwenjian(御製增訂淸文鑑) and HanchengMungam(漢淸文鑑). Since the early Goryeo Dynasty, Korea has developed weaving techniques, making various fabrics such as ramie, hemp cloth, and silk, and exporting them. Silk and high-quality fabrics were recognized as important trade items ranging not only in East Asia but also in Europe. In the Qingwenjian, a language dictionary of Qing(淸) Dynasty, there are more than a hundred words about fabrics. And it allows us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lexical system of each vocabulary through the data. In historical material of Joseon Dynasty, sometimes it is unclear what the name of each fabric covers. So it is necessary to check and systematize the perception of the name of the fabric in Qing Dynasty’s by Manchu Language dictionary of Yuzhi Qingwenjian(御製淸文鑑, Han i araha manju gisun i buleku bithe), Yuzhi Zengding Qingwenjian(御製增訂淸文鑑) and HanchengMungam(漢淸文鑑). In this paper, we tried to figure out the types of vocabulary were classified byinvesticated the revision of the heading. and tried to identify the structure of lexical system through the arrangement order and type classification of the vocabulary in Yuzhi Qingwenjian(御製淸文監, han I araha manju gisun I buleku bithe), Yuzhi Zengding Qingwenjian(御製增訂淸文鑑), HanQingwenjian(漢淸文鑑)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