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산 색채마을의 주거환경개선을 위한 환경색채 가이드라인 설정

        이상희(Lee, Sang Hee),박연선(Park Yun-Sun) 한국색채학회 2013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7 No.3

        본 연구는 부산 중구 대청동 산복도로 일원의 색채마을을 대상으로 하여 지역의 정체성, 쾌적성을 증진시키고 거주자가 만족할 수 있는 주거환경개선을 위한 환경색채 가이드라인을 설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대상지 건축물의 색채현황을 조사 분석하였고 둘째, 대상지 환경색채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거주자와 비거주자를 대상으로 SD법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거주자에게는 컬러챠트를 보여주고, 건축물 색채를 재선택할 경우 선호색을 선택하도록 하였다. 셋째, 이전 단계에서 조사된 거주자 선호색을 분석하여 색채를 추출한 후, 부산 경관색채계획 해안산지권 주조색, 보조색, 강조색 각각의 권장범위에서 나타나고 있는 색채와 동일조화를 이루는 색채를 최종 선정하여 건축물의 환경색채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축물의 색은 주로 R,YR,Y,GY,BG,PB계열 중고명도/고채도의 색채가 80%이상을 차지하였고 동적이면서 경쾌한 느낌이 들었다. 둘째, 거주자와 비거주자의 환경색채특성 분석 결과 거주자들은 현재 대상지 환경색채에 낮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는 반면 비거주자들은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었다. 환경색채에 대한 거주자들의 낮은 만족도는 주거환경으로서의 문제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거주자 선호색은 B,Y,YR,GY,RP 순위로 나타났다. 셋째, 대상지 건축물의 주조색은 YR,Y계열 고명도/저채도, 보조색은 YR,Y,GY계열 중고명도/저중채도, 강조색은 YR,Y계열 저중명도/저중고채도의 색채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환경색채 가이드라인은 향후 부산 원도심 산지변 주거환경개선지구의 색채선정 기준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Environment Color Planning Guideline for Color Village around Sanbok Road, Daechung-dong, Joong-gu, Busan to enhance its local identity and provide its residents with a more comfortable and satisfying residential environment. To accomplish this, first, the current color of the buildings in the target area was analyzed. Then to characterize the environment color of the target area, the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was conducted with both residents and non-residents. Local residents were provided with a color-chart to select their preferred colors in the event the color of the building was re-selected. Then, using the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above survey, which depicted the residents" preferred colors, the appropriate colors that would work in harmony with the colors found within the Busan Landscape Color Scheme, specifically within the Coastal Mountain region, were chosen for the improved Environment Color Planning Guidelin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ver 80% of the colors of the buildings in the target area were accounted for in mid-high value/high chroma color in R,YR,Y,GY,BG,PB-series. The colors fostered a dynamic and lively atmosphere. Second, the analysis of the environment color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s and non-residents revealed that while the current environment color was rated low by the local residents, it was rated positively by non-residents. The analysis proved that the low satisfaction experienced by the area"s very residents was a problem with the residential environment for the target area. The residents" preference of colors appeared in the rank of B,Y,YR,GY,RP-series. Third, The high value/low chroma colors in YR,Y-series were suggested as the base colors of the buildings in the target area, the mid-high value/low-mid chroma colors in YR,Y,GY-series as the sub colors, and the low-mid value/low-high chroma colors in YR,Y-series for the accent colors. The Environment Color Planning Guideline presented in this study expected to be used as a crucial reference for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districts of the old town of Busan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충청남도 환경색채의 현황조사 및 분석

        임오연(Yim Oh-Yon) 한국색채학회 2010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4 No.3

        본 논문에서는 타지역과의 차별성을 도모하고 충청남도만의 정체성을 확보할 수 있는 도시환경색채디자인 개선을 위한 환경색채모델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진행은 총 5단계로써, 제1단계에서 “충청남도의 특성 분석”으로서 충청남도 및 16개 시군에 대한 각종문헌조사를 통해 그 특성을 분석, 제2단계에서는 “환경색채연구에 대한 국내외 사례조사 및 분석”으로서 환경색채를 대상으로 한 국내외 연구사례를 분석, 제3단계에서는 :충청남도 환경색채의 상징적 요소추출“로 도시군민, 일반학생, 타 지역 시민 등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및 분석을 통해 충청남도의 상징적 요소 및 지향이미지를 추출, 제4단계에서는 “충청남도 환경색채 현황조사 및 분석”으로 3단계에서 추출된 상징적 요소를 대상으로 환경색채를 조사 분석, 마지막으로 5단계에서는 4단계에서 조사 분석된 환경색채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유형별로 색채일람표(color palette)를 작성하여 충청남도만의 환경색채모델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1) 충청남도의 상징적 요소는 서해안바다, 행복도시, 백제문화제, 서해안?바다등이 100이상의 빈도로, 안면도꽃박람회, 금강, 양반도시, 계룡산, 시골, 국토중심, 농업도시, 안면도, 산 등에 대해 50이상의 빈도로 나타났다. (2) 충청남도의 이미지로써는 전통적인, 여유있는, 너그러운 이미지이면서도 미래지향적이고 이미지를 나타내고 있다. (3) 충청남도의 자연환경색채를 살펴보면, 산의 경우에는 Y-GY계열의 저·중명도/저·중채도에, 토양(모래)의 경우에는 YR-Y계열의 저·중명도/저·중채도에, 물(바다,호수)의 경우에는 BG계열의 중명도/저채도에 분포하고 있다. 들판의 경우에는 Y계열의 중명도/저·중채도에 맑은 하늘은 B-PB계열의 고명도/저채도에, 서해안 낙조의 경우에는 R-YR계열의 저·중명도/고채도에 분포하고 있다.(4) 충청남도의 현대건축물은 색상은 White, Grey계열의 고명도/저채도의 주조색에 Blue계열의 중명도/고채도의 색을 강조색으로 사용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인공환경중 전통건축물의 경우에는 색상은 YR, Y계, 명도는 중·고명도, 채도는 저·중채도에 걸쳐 분포되어 있다. 다만 기와지붕의 경우에는 무채색 N계열의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최종적으로 충청남도의 환경색채모델설정에 대한 기초적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In this paper,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ggest the environmental color models for the improvement of the color design of urban environment to promote discrimination from other regions and secure unique identity of Chungman Province. This study is consisted of five steps of research, The 1st step, "Characterization of Chungnam Province" : Analysis of the of the characteristics of Chungman Province and 16 city/districts through the various literature survey analysis, The 2nd step ,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 studies and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color study", The 3rd step, "Extracting the symbolic elements of environment color of Chungman Province" : throughout surveys and analysis of urban people, general students, and other local citizens, the Symbolic elements and Chungnam-oriented Images are extracted, The 4th step, "Current status survey and Analysis of environmental color of Chungnam Province" :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environmental colors are performed targeted on the symbolic element extracted in 3rd step, Finally in the 5th step, Unique Environmental Color Model of Chungman Province is presented through a comprehensive analysis of environmental colors, result of 4th step, and a construction of color palette in each category. As a summary, (1) In a survey of Symbolic elements of Chungman Province : Western coast, Sejongcity, Baekje Cultural Festival, and West coast sea mark more ? than 100-frequency. Anmyeondo Flower Festival, Geum river, Yangban city, Mt. Gyeryong, rural, center of country, agricultural town, Anmyeondo, mountains, etc. mark more than 50-frequency. (2) As a Chungnam-oriented image : traditional, placid, generous and future-oriented images are represented. (3) In an natural-environmental color study of Chungman Province : mountain, soil(sand), and water(ocean, lake) are distributed in low·middle value/low·middle chroma of Y-GY series, low·middle value/low·middle chroma of YR-Y series, and middle value/low chroma of BG series, respectively. Field, clear sky, and sunset of western cost are distributed in middle value/low·middle chroma of Y series, high value/low chroma of B-PB series, and low·middle value/high chroma of R-YR series, respectively. (4) The color of modern architectures of Chungnam Province shows a tendency to use high value/low chroma in White ·Grey series and middle value/high chroma in Blue series, for main and accent color, respectively. And the color of historic buildings are distributed in YR·Y series, middle·low value, and low·middle chroma. But tiled roofsshow a distribution of neutral color of N series.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fundamental data, to set-up the environmental color model of Chungnam Province.

      • KCI등재

        환경심리학 관점의 색채연구 특성에 관한 분석

        송영민(Song Young Min) 한국색채학회 2013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7 No.1

        환경에서 정보획득은 시지각이 가장 우세하며, 그 중 시각적, 정서적으로 강한 반응을 일으키게 하는 것은 색채이므로, 공간 환경에 있어서 색채는 환경과 인간의 상호관련성을 다루는 환경심리와 같은 맥락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환경심리와 환경색채의 선행연구를 통해 색채연구의 흐름과 성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환경심리학 관점의 색채연구 특성을 분석하여 체계적이고 발전적인 환경색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335편의 학술논문들이 어떤 주제와 목적, 방법, 그리고 어떠한 하위영역으로 구분되고 내용이 전개되는지 살펴 본 결과, 현장측색 등의 사례조사 및 색채계획이 상당수로 나타났다. 실제적이며 구체적인 계획, 해결방안 등을 제시하여 실무에 적용하는 실용연구가 주류를 이루는 것이다. 환경색채의 연구목적이 다양한 것에 비해 연구방법과 내용이 일관된 방식으로 수행되고 있다. 이처럼 색채현황 및 색채제안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라는 점, 색채연구의 과정이 도식화되어 있다는 점에서 환경색채에 대한 연구는 시작단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환경색채의 이론, 원리등의 기초연구가 경시되고 있어 체계적인 학문의 토대를 다지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특히 공간 환경의 산업적 요구과 연관되는 응용학문으로서 결과에 대한 신뢰 구축을 위해 기초연구에 집중해야 한다. 환경심리학 관점의 색채연구는 학문적, 실용적 발전 잠재력이 많은 분야로, 인간의 본질적 심리를 다루는데 있어서 심층적인 실험과 과학적인 조사방법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visual perception is the most effective method to acquire information, and color can induce a strong response both visually and emotionally. Therefore, color should be understood from the viewpoint of environmental psychology by focusing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nvironment and human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flow, outcome, and problem through a pilot study on environmental psychology and environmental color, to analyze the study characteristics in the context of environmental psychology, and to suggest systematic and developmental directions of future environmental color research. In an examination of the themes, goals, methods, and sub areas of 335 theses, it was revealed that case studies and color plans were the most common research methods. The theses were usually practical studies that could be applied to actual works by suggesting actual, specific plans and solutions. While the study goals were diverse, the study method and contents were consistent. Considering that most previous studies focused on color status and proposal as well as the schematization of color study, study of environmental color is rather new. In addition, as basic study of the theory and principles of environmental color is insufficient, continuous study to determine the ground of systematic study is required. Especially, as an applied science related to spatial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concentrate on basic study in order to ensure quality results. In addition, environmental color is a field with potential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erform in-depth experiments in order to determine theessential psychology of humans.

      • KCI등재

        공공도서관 공간기능에 따른 색채환경 분석

        이민재(Minjae Lee),박혜경(Heykyung Park) 한국색채학회 2016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30 No.2

        공공도서관의 기능이 다각화됨에 따라 심리적 환경 요소인 공간색채를 체계적으로 사용하여 공공도서관의 기능에 따른 사용자의 지원환경을 높여주는 적절한 환경색채계획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도서관이 추구하는 기능적 역할에 맞춰 모든 지역주민에게 복합적인 기능을 지원하는 공공도서관 색채환경이 제공되어야 한다는 전제하에 공공도서관의 공간기능별 색채환경을 파악하고 사용자의 지원환경을 높여주는 색채계획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점차 공공도서관의 기능이 확대되며, 각 공간의 기능을 지원하는 색채환경을 연구하기 위하여 부산 지역의 도서관을 중심으로 색채환경 특성을 분석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하여 색채의 기능 및 역할, 환경색채에 대하여 고찰하고, 공공도서관 현황분석 및 도서관 색채선호 경향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도서관 색채환경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도출하였다. 부산시 소재 공공도서관 9곳을 대상으로 환경색채 적용 현황을 조사하여, 측색된 환경색채에 대하여 색표계 및 배색분석, IRI(Image Research Institute) 색채 이미지스케일을 이용한 이미지 형용사 분석을 통하여 도서관의 환경색채 특성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색상면에서 Y계열과 YR계열 색상들이 가장 우세하게 나타났다. 또한 기능이 다른 영역임에도 불구하고 소요실마다 미비한 차이만 있을 뿐, 큰 특징이 없이 모든 색상들이 대체적으로 균형적으로 나타나고 있었으며, 변화된 공공도서관 역할에 맞게 이용자들 측면에서 도서관의 기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환경색채를 보다 다양하게 적용할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사용자의 지원환경을 강화를 위한 공간기능에 따른 환경색채계획의 참고자료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점차 공간의 기능이 다각화, 다양화 되고 있는 도서관 시설계획에 활용이 될 것을 기대한다. As functions of public library has become diversified, proper environment color plan enhancing a supporting environment of user based on a function of public library should be achieved by utilizing space chromatics which is a psychological environmental factor. Therefore, public library"s color environment of each space functions should be understood and the foundation of color plan enhancing supporting environment of user should also be established under the premise that public library color environment which supports integrated functions to every local residents by meeting functional roles of library. As functions of public library expands, this study has its purpose to analyze color environment characteristics by mainly focusing on library of Busan region to study color environment supporting function of each space. Through a literature research, function and role of color, environment color have considered, and through a preceding research analysis on public library"s present condition analysis and tendency of library color preference, theoretical background on library color environment has deducted. By researching present condition of environment color application at 9 public libraries located at Busan, the environment color characteristics of library has deducted through an image adjective analysis using color system, coloration analysis, IRI(Image Research Institute) color image scale. As a result, Y and YR affiliation colors have displayed mostly at the color face. In addition, there were only small differences existed at each required rooms and every color has displayed regularly without any unique characteristics, and by meeting a role of modified public library, it seems that various application of environment color which can maximize functions of library in perspective of user is required. This study can be provided as a reference data for environment color plan based on spatial function to enhance supporting environment of public library user, and it is expected to utilize in the library facility plan which has been diversified.

      • KCI등재

        로컬리티의 관점에서 본 도시재생과 환경 색채

        손은하(Son, Eun-Ha)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8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20

        도시의 환경색채는 그곳의 첫 이미지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다양한 건축물과 구조물, 경관에서 나타나는 색채는 그 도시를 더욱 풍요롭게 만든다. 환경색채를 형성하고 있는 것 가운데 주요색(main color)은 주로 그곳 사람들의 선호색채와도 관련이 있다. 이 선호색채가 생긴 연유를 추적하다 보면 그곳의 로컬리티와도 연결이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환경색채는 그 지역의 자연환경, 인문적 환경, 인공적 환경 등이 영향을 주어 총체적으로 나타난다. 본고는 프랑스의 색채학자인 장 필립 랑클로의 색채 지리학을 비롯한 환경 색채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살펴보고, 부산의 대청동 마을의 환경 색채를 살펴보고 그곳의 형성배경에 대해서 논하고 있다. 대청동 마을은 부산시가 환경색채 시범마을로 선택한 곳이다. 부산색 기본 색채 가운데 12개의 색을 선정해 주택과 공공시설에 도색작업과 환경개선 사업을 시행했다. 그렇지만 임의로 선택된 색에 관해서는 별다른 설명이 없고, 실제 마을도 주변의 색채와 동떨어진 채색 작업으로 분절된 느낌을 주고 있다. 시는 전후의 사업효과를 홍보하기 위해 가장 눈에 잘 띄는 높은 위치에 있는 이곳을 선정하고 이미지 사진 또한 과도한 색채 보정사업으로 보여주기 식 행정 의도를 드러내고 있다. 로컬리티는 어떤 사건을 계기로 해서 새롭게 조성되기도 하지만 주로 그곳의 역사성과 장소성, 그리고 사람들로 인해 켜켜이 쌓이면서 형성되는 것이다. 최근 도시재생이라는 키워드로 이전의 난개발과는 차이를 두고 있긴 하지만, 환경색채에 관해서는 그곳의 다양한 요소와 로컬리티에 대한 연구가 동반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다. Urban environment colors play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its first image. The colors of various buildings, structures and landscapes enrich the city. The main colors are also related largely with the colors preferred by the people living there. Tracing back the causes of the preferred colors tells us that they are also linked to its locality. Influenced by natural, human, and artificial environment, the environment colors show up in totality. This paper looks at the theoretical discussions on the environment colors including the color geography of Jean Philippe Lenclos, a French chromatist, and discuss the environment colors of Daechung-dong Village in Busan to discuss the background of their formation. Daecheong-dong Village was selected by the city government as an environment color model village. The city government selected 12 colors among the basic colors of Busan and conducted painting and other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s for houses and public facilities. However, there is no particular description about the arbitrarily selected colors, and the actual village gives a feeling of being segmented with the coloring work with the colors separated from the surrounding ones. The city government seems to have publicized the project effects by selecting this village located in the most prominent place and by presenting the images with excessive color correction, an act of putting on an ostentatious display. It is noted that the urban regeneration that has recently emerged as a key word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unplaned development. However, it is overlooked that the environment colors should be accompanied by research on the various factors and locality of the particular urban area.

      • KCI등재

        지하철 환경색채 이미지 특성에 관한 연구

        오지영(JiYoung Oh) 한국색채학회 2015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9 No.3

        공공의 다수가 이용하는 환경인 지하철역은 지하공간이라는 환경적 특성상 이용자의 거부감이나 불쾌감이 들지 않아야 하며, 공간의 쾌적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색채를 통한 환경계획이 이루어져야 한다. 지하철 환경색채는 주로 장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용도로 계획되어져 왔으나, 내국인 뿐 만 아니라 점차 증가하는 외국인 및 관광객을 고려할 때, 인간의 감성 및 심리적인면을 고려한 색채계획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 오사카, 홍콩 지하철 환승역의 환경색채의 특성과 색채 이미지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이미지 어휘의 차이를 통하여 도시 간 존재하는 감성의 차이를 알아내고 향후 색채계획 시 고려할 요소들을 파악하고자 한다. 서울, 오사카, 홍콩에 직접 방문하여 분광측색기를 사용하여 환경색채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유동인구가 많고 교통의 결절점 역할을 하는 환승역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서울, 오사카, 홍콩의 지하철 환승역의 환경색채 색상구성, 평균명도, 평균 채도값을 분석한 결과, 서울은 전반적으로 저채도의 색상사용이 이루어지나 부분적으로 노선색을 환경색채에 적용하였고, 오사카의 경우 안정되고 차분한 느낌의 저채도의 색상이 사용되었으며, 홍콩의 경우 채도가 높고 낮은 명도의 원색계열의 색상이 적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환경색채의 IRI이미지스케일에 해당하는 형용사 단어를 분석한 결과, 서울과 오사카의 경우 평가어휘의 비중이 높은 반면, 홍콩은 감정어휘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원색계열의 고채도 색상을 환경색채에 반영한 결과로 볼 수 있다. The colors of the environment play very important role in underground places by providing direc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especially to foreigners and tourists. The use of numbering in subway stations should not put as priority when it comes to giving directions because it brings discomfort and will confuse the users of underground space. However, using color scheme could allow users to comfortably flow with the dire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 colors and images in the subway transfer station of Seoul, Osaka, and Hong Kong. First we will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lor image vocabulary in these cities, then we measure the emotions of the users in the selected cities. We visited the few busiest subway transfer stations in all 3 cities to collect the environment color data using a spectrophotometer. These subway transfer stations have different chromatic colors, average brightness, and saturation analysis of the mean value. Seoul uses low color saturation and partially applies the color to the environment chromatic route. Osaka"s color uses low saturation colors for these colors have the feeling of stable and relax. In Hong Kong, high saturation and primary color series of low brightness was found in their subway transfer stations. Analysis of the adjective words for the IRI scale of environmental color image, Seoul, Osaka, Hong Kong appear higher proportion of emotional vocabulary, which is the high saturation of the primary colors based on environmental color. It can be seen reflected in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IRI image scale result, Seoul and Osaka have low saturations colors, therefore evaluation vocabularies are higher. As for Hong Kong, the high saturation of the primary colors causing a higher proportion of emotional vocabulary.

      • KCI등재

        국내 대형종합병원 색채환경 특성 분석

        박혜경(Heykyung Park),오지영(Jiyoung Oh),정무린(Mulin Jeong) 한국색채학회 2016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30 No.2

        종합병원은 다수의 사람들이 이용하는 공공의료시설로서 이용목적에 따라 각 공간에 대한 이용자의 요구성이 다르게 나타난다. 그러므로 환경색채는 의료시설에서 다양하게 요구되어지는 공간기능을 지원할 수 있도록 적용되어야 하며, 이러한 색채의 환경지원성은 공간의 시각적 이미지를 형성함과 동시에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병원에서 보조적인 도구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 대형종합병원의 색채 환경 현황 및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향후 종합병원의 공간기능을 지원하는 환경색채 계획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대상은 국내 1,0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 8곳이며, 직접 방문하여 분광측색기를 이용하여 종합병원의 환경색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색채데이터에 근거하여 색상, 명도, 채도의 특성을 도출하였고, IRI 이미지스케일을 이용한 형용사 어휘 분석을 통하여 색채 환경 이미지 특성을 알아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번째, 종합병원 환경색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색상은 Y계열(Y, YR)이며, 중명도-저채도 범위에 주로 색채가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로비와 외래의 환경색채는 전반적으로 유사한 색상계열, 명도, 채도가 적용되고 있으며, 이미지스케일 어휘 또한 동일하게 나타나, 로비와 외래의 통일감있는 색채구성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공간의 기능이 다르므로 이에 따른 색채환경이 구성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세 번째, 병동에서는 ‘구역식별 및 병실안내 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 환경색채 도입이 나타났고, 비교적 최근에 건립된 병원일수록 이러한 색채사용에 적극적임을 알 수 있었다. 네 번째, 병실은 환자의 건강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갖는 공간이므로, 병의 치유 및 정신건강에 도움이 되는 색을 검증하여 보조적인 치료도구로서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When it comes to general hospital, though multiple people use the hospital for public health service, the demand for its space varies based on the purpose of usage. Hence the environment color should be applied to support the function of its space depending on the need in medical facilities. Environmental affordance of color should build visual image of the space, at the same time, use as an assistive tool for the ‘treatment’ in the hospital. This study researched color environment in domestic major general hospitals in order to suggest improvement point for environment color plan of each space of general hospital. Eight general hospitals which accommodate over 1,000 sickbeds were selected for the research. Environment colors for each hospital space were directly measured by spectrophotometer. Based on the color data, this study presents the color features of each hue, value, and chroma and the image feature of color environment by analysing IRI image scale adjectiv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the most frequent hue in color environment of general hospitals is Y lined(Y,YR), on the other hand, value and chroma are spread in middle value-low chroma. Second, environment color of lobby and outpatient department generally applies similar hue, value, and chroma. Because the adjectives of image scale were similar as well, it refers the color composition of lobby and outpatient department have its unity. However, lobby and outpatient department carry out different functions its space, it need to design for its purpose. Third, colors in hospital wards are able to support the function as an aisle. Recently constructed hospitals tends to be more positive to use the color. Forth, because the wards are closely related to the patient’s health, the colors which are helpful for recovery and mental health should be verified and used efficiently as an assistive treatment tool.

      • 주청시(諸城市) 초연대(超然台)지역의 문화환경색채 분석 - 소식(蘇軾) 중심 -

        우항(Hang YU),이석현(Seokhyun Lee) 한국색채학회 2021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5

        개성적이고 지속가능한 도시환경의 색채는 도시의 역사문화적 환경과 연계성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그럼에도 최근 중국의 역사문화지구의 색채환경은 축적된 색채환경과의 관계성이 저하되어 개성이 약하되고 있는 경우가 적지 않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중소 도시의 역사문화성을 살린 환경색채 개선계획을 하려고 한다. 중국 소도시 주청시에 대상으로 우선 역사적 경관자원의 색채, 관련된 연구와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지역의 경관색채를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정리했고 초연대와 관련된 문헌과 연구를 조사하여 소식(蘇軾)의 문장에서 초연대(超然台)지역의 자연환경과 인문환경을 찾아냈다. 조사를 통해 초연대 자연환경 색채의 유사성과 통일성이 높지만 초연대 환경색채의 인공환경색채는 역사와의 색상 및 명도, 채도가 유사하지 않다는 결과를 나왔다.

      • KCI등재

        청소년수련관의 공간특성을 고려한 내부 환경색채 분석

        박희경(HuiGyeong Park),이석현(Lee Seokhyun) 한국색채학회 2016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30 No.2

        청소년수련관은 청소년들에게 건전한 여가활동과 다양한 체험학습, 문화 활동을 위한 프로그램 및 시설을 제공하는 활동시설이다. 따라서 청소년들에게 접근성 및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청소년들의 감성을 고려한 공간계획 및 환경색채계획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수련관의 내부 환경색채 조사를 통해 청소년수련관의 색채 경향을 파악하고 공간특성을 고려한 개선방향을 제시하여 바람직한 색채계획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수련관에 관련된 기존 연구와 문헌조사를 실시하고 청소년수련관의 색채환경에 대한 방향을 파악한다. 둘째, 연구대상 청소년수련관의 일반적 현황을 파악하고 현장답사를 통하여 공간별 환경색채 실태조사를 한다. 셋째, 현장조사를 바탕으로 한 공간별 환경색채를 분석한다. 넷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연구대상지의 색채환경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 시사점을 도출한다. 청소년수련관의 내부 환경색채는 전체적으로 YR계열과 Y계열, 고명도 · 저채도에 분포하고 있어 다양성이 떨어지는 색채 구성의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었다. 공간별 내부 환경색채 분석 결과, 공용공간에서는 다양한 색채의 사용으로 청소년수련관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는 반면, 문화공간, 체육공간, 교육공간의 색채는 YR, Y계열의 색채가 68.7%로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었다. 청소년수련관의 내부 환경 색채를 다양성 · 조화성 · 통일성을 고려하여 공간별로 평가한 결과 다양성은 공용공간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으며 조화성은 문화공간, 통일성은 체육공간이 가장 높았다. 본 연구는 기존 선행 연구에서 미흡하게 다루어 졌던 청소년수련관의 내부 환경색채를 분석하고 평가한 점에서 향후 유사 연구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Youth Training Centers are activity installations providing programs and facilities designed for sound leisure activities, an array of participatory learning and cultural activities. Through the surveys on interior environment colors of Youth Training Centers, this study aims to inquire into chromatic tendency of the Centers and contribute to serving as a basic material of desirable color planning by proposing some improvement directions considering spatial characteristics. The research methods are as follows: Firstly, it conducts existing research and literature search related to Youth Training Centers, and it inquires into the directions regarding color environment of the Centers. Secondly, it figures out general current status of Youth Training Centers which correspond to the subject of the present study, and it carries out the actual condition survey classified by space through field study regarding space environment colors. Thirdly, it analyzes space environment colors by space based on the field study results. Lastly, it proposes some improvement directions of color environment pertaining to research subject areas and it draws implicati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survey. The interior environment colors of Youth Training Centers showed, in general, the problems of chromatic composition far from diversity, due to the distribution mainly focused on YR line and Y line, as well as high brightness and low chroma.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f interior environment colors classified by space, common use space displays the expected characteristics of Youth Training Centers based on a variety of color use, while the colors used in cultural space, sports space and educational space occupy the high rate of 68.7% of YR line and Y line. According to the evaluation made on the basis of space, considering diversity, harmony and unity of interior environment colors, the result shows that common use space registered the highest mark in terms of diversity, while cultural space won in terms of harmony and sports space, in terms of unity, respectively. This study expects to provide some implications for further analogous studies, in the sense that it analyzed and evaluated the interior environment colors of Youth Training Centers, which has been the theme insufficiently treated in existing preceding research.

      • KCI등재

        도심지 재개발 지역의 환경색채 계획

        김향란(Kim HyangRan),박연선(Park YunSun) 한국색채학회 2010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4 No.1

        본 연구는 도심지 재개발 지역의 주변환경을 고려하여 환경과 조화로운 색채계획의 제안에 관한 연구이다. 대상지로 선정된 지역은 신·구건물이 공존하는 서대문구 냉천동 75번지 일대로 서측으로는 녹지가 조성되어 있고, 주변 고층건물보다는 저층건물이 많은 전형적인 도심의 외곽이미지를 구성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때문에 주변환경과 이질적인 색채계획보다는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색채계획에 주안점을 두어 제안하였다. 연구의 범위 및 방법은 1. 대상지에 대한 고찰과 주변환경의 색채분석을 통하여 환경색을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된 색채를 IRI 이미지스케일에 배치하여 컨셉 추출시 색채이미지 키워드로 사용하였다. 2.분석을 통해 추출된 언어를 통하여 이미지 맵을 작성하고 그에 맞는 색채 팔레트를 추출하였다. 3. 선정된 색채로 입면 및 주차장 색채계획을 제안하였다. 조화된 질서를 갖는 것은 대상지 색채계획의 기준으로 삼고 있는 3가지 관점과 연계된다. 즉, 조화성, 다양성, 통일성이 그것이다. 환경분석으로 정리되었던 냉천동 지역의 기조색은 YR이며, 대상지 주조색으로서 선정하였다. 이는 3대 관점의 조화성에 부합되며, 주변 환경과 어울림에 초점 을 맞추기 위함이다. 그러나 다양성으로써 입면에 보조색과의 톤차를 두고, 톤배색을 함으로써 패턴화를 시도하였다. 또한 보행자의 관점에서는 통일성을 주되 기단부에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는 YR~Y 계열의 보조색을 사용하여 편안하면서도 안정감 있는 색채계획을 시도하였다. 환경색채는 주변 환경에 있어 거부감이 없는 자연스러움의 상태, 편안한 상태의 환경의 어메니티를 추구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심지 재개발 지역의 색채계획에 대한 연구로써 대상지를 선정하고, 주변 환경을 고려한 색채계획 방법을 제시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resent research studied on a proposal of a harmonious color plan with an environment by consider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a downtown redevelopment area. The area selected as target land is street number 75, Naengcheon-dong, Seodaemun-gu, and a green area is formed its West side, and it is a characteristic that the area is composing of a typical image of outskirts of the downtown that includes more low-rise buildings rather than high-rise buildings in the neighborhood. Therefore, the essential point was lied in a color plan capable of being harmonious rather than a color plan heterogeneous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was proposed. The scope and method of this research was to first analyze environmental color through consideration of target land and color analysi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lso, the analyzed color was arranged in an IRI image scale and was used as a key word of color images in case of concept extraction. Second, the image map is written through extracted language by an analysis and a color palette was extracted corresponding to it. Third, the color plan of the elevation and parking lot was proposed with selected colors. Having a harmonious order is linked to 3 kinds of viewpoints set as criteria of a color plan of the target land. Namely, it is harmonity, diversity and unity. The main color of a Naengcheon-dong region arranged through its environmental analysis is YR, and it was selected as mixing color of the target land. This corresponds to harmonity of 3 major viewpoints and is to focus on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But this research put a tone difference from sub color in the elevation through variety and tried patterning by arranging the tone colors. In addition, this research tried a comfortable and stable color plan by using sub color in a series of YR~Y that can give a sense of stability to the basal end while giving unity in a viewpoint of pedestrians. The environmental color should seek the amenity in an environment in a natural condition and a comfortable condition without reluctance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ccordingly, the present research can be said to have a meaning in selecting target land and suggesting a color plan method consider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s a study on a color plan of a downtown redevelopment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