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려 대각국사 의천과 항주 혜인사(慧因寺) 정황

        장총(Zhang Cong)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2017 충청문화연구 Vol.18 No.-

        고려 대각국사 의천은 동아불교사상 중요한 인물이다. 그는 고귀한 왕자였으나 어려서부터 출가하여 화엄을 배웠고, 중국에 온 이후 천태, 선종 등과 같은 명망 있는 여러 종과 종파를 널리 배웠다. 귀국해서는 화엄을 널리 전파하였으며, 고려 천태를 창건하였고 아울러 선(禪)과 교(敎)를 통섭하였다. 의천은 불교경전과 전적에 있어서 뛰어난 공헌을 하였으니, 일찍이 경전과 전적을 가지고 왔으며, 널리 장소(章疏)를 수집하였다. 의천은 중국 항주의 혜인사(慧因寺)에서 머물렀다. 고려사(高麗寺)라고도 칭하는 이 사찰은 중국과 조선반도에의 불교가 교류되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이 사찰은 근래에 복원되었는데, 진열실에는 22분의 고승의 사적을 전시하였고, 의천당(義天堂)에는 청동으로 주조된 대사의 좌상(坐像)이 진열되어 있다. 또한 의천이 송에 들어와 법을 구하던 일과 귀국할 때의 항해도가 석회암으로 부조되어 있다. 복원한 혜인고려사는 확실히 중국과 고대 한국 간에 교류했던 다양한 사적이 펼쳐있어 중요한 사원문화 박물관이라고 할 수 있다. Daegak Guksa Uicheon in the Goryeo dynasty is an important person in East Asian buddhist thoughts. Although he was a noble prince, he became a buddhist monk at an early age and learned the Avatamska Sutra. After he came to China, he widely learned the renowned denominations like Cheontae, the Zen sect, and so on. After he returned from China, he spread the Avatamska Sutra widely, founded Cheontae of Goryeo and combined the practice and teachings. Uicheon contributed greatly to buddhist sutras and books, brought and collected them. Uicheon stayed at Haeinsa in Hangzhou of China. This temple also called Goryeosa is a proof that there was an interchange of Buddhism between China and the Peninsula. This temple was recently restored. In its display room, the historical remains of 22 high Buddhist monks were exhibited. In Uicheon"s room, the great Buddhist master"s seated statue made of bronze was exhibited. The situation in which Uicheon sought for Dharmas after he came in Song Dynasty and a navigation chart when he returned were carved in relief. Restored Haein-Goryeosa where there were historical remains between China and ancient Korea can be said to be a temple cultural museum.

      • KCI등재

        한국 불교계 삼보사찰의 성립과 지정

        황인규(Hwang In-gyu) 보조사상연구원 2014 보조사상 Vol.41 No.-

        This paper aims to explore analyzing the Three Temples(or Temples of the Three Jewels), Buddha Sakyamuni:Tong-Do-Sa, Dhamma Dhaima:HaeinSa, Songha: SonggwangSa. Tongdosa in Yangsan is one of Jeokmyel-bogungs (the Sacred Buddha Relic Temples) and enshrines Jinsin-saris (sacred relics of the Buddha) which symbolize the Buddha-Dharma. In the mid 7th century, Ven. Jajang Sunim (A.D. 590~ 658), one of Korea's greatest masters received relics of the Buddha from Munsubosal (Manjusri Bodhisattva) and brought them with him to Silla. He divided them into three portions and placed one each at Hwangryongsa, Taehwasa in Wulsan, and Tongdosa. He enshrined the relics in Geumgang-gyedan (Diamond Alter), the Main Dharma Hall. Thus, Tongdosa became the 'Buddha Jewel'. Haeinsa in Hapcheon is also called 'the Dharma Jewel' because it houses the wooden printing blocks of the Tripitaka Koreana (complete Buddhist scriptures of the Koryo Dynasty). The Haeinsa-jangkyoungpan-jeon (Tripitaka Koreana Hall of Haeinsa) houses the collection and is one of the most precious one on site The Eighty-Thousand Tripitaka was first placed in Ganghwa Island's Seonwonsa, then moved to Jicheonsa outside of Seodaemun in Seoul in the 7th year of King Taejo's reign (1398) during the Joseon Dynasty. It was again moved to Haeinsa Daejanggy eongpanjeon. The Songgwang temple developed after Jinul had established an integration movement of Buddhism in the middle Goryeo Dynasty. Then, Jinul's disciples such as Hyesim enhanced the spirit of the movement as a chief leader, and the sixteen master monks including Jinul's disciples led the Buddhist circle in the late Goryeo Dynasty. A chief monk of the Songgwang templ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Gobong Beopjang was not designated as a national monk, because the system of a king's adviser and a national monk had been abolished. It is thought that the sixteen chief monks at the Songgwang temple have been cherished as national monks in the 'Ship-youk-guk-sa-jin-young-gi (十六國師眞影記)' written in 1621 during the middle Joseon Dynasty by Daega Heeok (代價希玉), Byeokam Gakseong's fellow disciple. Naong and Muhak in the late Goryeo Dynasty were also esteemed as high priests comparable to the sixteen national monks and designated as among the eighteen chief monks of the Songgwang temple. This is described in the 'Seung-pyung-jo-gye-san-song-gwang-sa-sa-won-sa-jeo k-bi (昇平曹溪山松廣寺嗣院事蹟碑)' written by Jo Jong-jeo (趙宗著, 1631-1690) who tried to find the identity of the Songgwang temple. Temples of the Three Jewels an be found in the 'Yeon-cheon-ong-you-san-rok (淵泉翁遊山錄)' written in 1832 (the eighth year of King Soonjo) by Hong Seok-ju (洪奭周, 1774-1842), a writer in the late Joseon Dyansty. Sambo means the three jewels of Buddhism and refers to Bulbo (the Buddha Jewel), Beobbo (the Dharma Jewel) and Seungbo (the Seungga Jewel, the Sangha Jewel). Bulbo represents the Buddha who teaches and guides all sentient beings. Beobbo is the Dharma, the teachings of the Buddha. Seungbo represents the Seunga (Sangha, the Buddhist community), the group of followers who learn the teachings of the Buddha and practice. In Korea, Temples of the Three Jewels are Tongdosa, Haeinsa and Songgwangsa. They are called 'the Three Temples'. 본고는 통도사와 해인사, 송광사가 언제부터 삼보사찰로 부르게 되었는가 그 과정과 의의를 밝히고자 한 연구이다. 통도사는 신라의 고승 자장에 의해 불사리가 모셔져 불보사찰, 해인사는 고려대장경판이 모셔져 불보사찰이라고 불린다. 송광사는 고려후기이래의 16국사가 배출되어 승보사찰이라고 하지만, 이 세 사찰을 묶어 삼보사찰로 부르기 시작한 시기는 우리가 생각하는 만큼 그리 오래된 것은 아니다. 통도사는 신라의 고승 자장에 의해 불보사찰이 되었지만 해인사는 고려 대장경판이 이안된 시기인 조선초 이후일 것이다. 송광사는 고려 후기 수선사 결사를 전개했던 보조국사 지눌과 그의 문도(손) 15국사가 하나로 묶여 추념된 이후에야 비로소 승보사찰로서의 위상이 정립되게 된다. 통도사는 신라의 고승 자장에 의해 불사리를 봉안한 대표적인 사찰이었다. 자장에 의해 봉안된 불사리는 황룡사 탑, 태화사 탑 등 사찰에 봉안되었으나 고려중기 혹은 조선초에 폐사되었다. 황룡사는 대표적인 국찰이었으나 용신신앙을 대표하는 위상 보다 상위인 불사리 신앙과 계율종의 중심인 통도사가 불보적 전통을 지녔다. 여말선초와 조선 중기인 임란시 통도사의 불사리가 개성과 한성을 비롯하여 태백산 정암사와 경북 달성 용연사, 금강산 건봉사 등에 분산 봉안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통도사는 조선후기 불사리 신앙의 중심을 이루면서 불가의 종찰로서 위상을 확보하여 조선말 삼보사찰로 지정되었다. 해인사는 신라시 창건되어 화엄종의 북악파의 본산이었으며, 고려시대 국찰로서 『고려실록』과 대장경이 봉안되었다. 당시 대장경판이 인경되기도 하였는데, 이 경판은 해인사 제경판으로 추정된다. 강화도에 봉안되었던 재조대장경판을 태조 이성계에 의하여 한성 지천사를 거쳐 해인사로 이안되었다. 이는 왕사 무학의 주도로 화엄종 고승설오와, 특히 해인사 주지 경남의 뜻이 반영된 듯하다. 해인사에 봉안된 재조대장경은 태조대 태조 이성계에 의해 인경되었으며, 조선전기 불교계를 주도하였던 세조의 삼화상 혜각존자 신미와 묘각왕사 수미, 해인사 주지 죽헌과 학조 등에 의해 인경불사가 이루어져 전국의 대표적인 50 여 사찰에 봉안되었다. 이렇듯 해인사는 조선초 이후 법보사찰로서의 위상이 확보되었으며, 조선말 삼보사찰로 지정되었다. 송광사는 고려후기 수선사 결사를 전개했던 보조국사 지눌과 그 의문도(손) 15국사가 하나로 묶여 추념된 이후에야 비로소 승보사찰로서의 위상이 정립되게 된다. 송광사 제 16국사인 고봉법장이 입적한 세종 10년이후 조선중기에 국사로 추증이 된 듯하며, 그를 포한 16국사로 추념되었을 것이다. 그 시기는 임란후 송광사가 재건되면서 비롯된 듯하다. 그리고 이전의 시기에 확립된 불보사찰 통도사와 법보사찰 해인사와 더불어 한국 사찰을 대표하는 삼보사찰로서의 위상이 정립되었다. 송광사 16국사의 추념에 이어 나옹과 그의 제자 무학이 16국사와 더불어 송광사 18주지로 추념되었다. 나옹과 그의 제자 무학은 인도승 지공선현과 더불어 여말선초 삼화상일 뿐만 아니라 조선시대 최고의 증명법사였다. 이렇듯 송광사는 조선시대 이후 사세의 부침이 있었지만 18주지의 추념을 통해 승보의 전통을 정립 계승하여 갔다. 현재 삼보사찰로 정립된 시기는 조선후기 문신 淵泉 洪奭周(1774~1842)의 문집에서 처음 보이고 있으며, 개화기 문인 김윤식도 그러한 사실을 언급한 바 있다. 하지만 『續南遊錄』 등과 같은 저술류에서는 금산사가 불보사찰이라고 특기된 바 있다. 그러한 가운데 석왕사의 고승 龍嶽 慧堅과 그의 제자 九河 天輔, 특히 송광사 주지 錦溟寶鼎, 통도사 강주였던 海曇 致益(1862~1942)과 만해 한용운 등이 삼보사찰의 지정을 특기하였다. 특히 한국불교를 집대성한 이능화가 우리가 알고 있는 삼보사찰을 그의 저술류에 특기하면서, 이것이 널리 알려지게 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