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환경 변화에 따른 스포츠 관련 전공의 진로 교육 내실화 방안

        구강본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24 코칭능력개발지 Vol.26 No.4

        이 연구는 취업시장의 환경 변화를 예측하여 스포츠 관련 전공 학생들의 진로 교육 내실화를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15년 이상의 학생 상담 경력이 있는 대학교수와 지도자 10명으로 선정하였고,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 문제를 구성하여사전 질문지를 통해 FGI 인터뷰 문항을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1차 대면 FGI와 2차 비대면 FGI을 실시하였고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통해 결과를 토출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시장의 환경 변화에 대한 거시적 대응이 필요하다. 취업시장의 변화에 따른 교육환경의 개선과 스포츠 시장의 근원적 개선을 통해 학생들의 진로 선택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생들이진로 불안을 경험하지 않도록 대학과 학과 차원의 역할이 강조되어야 하며 프로그램의 개선과 진로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담론이 필요하다. 셋째, 대학 진로 교육의 내실화를 위해 진로 취업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과(비교과)를 체계적으로 학생들에게 제공하여야 한다. 전문교재의 개발과 전문 강사의 육성을 병행할 때 진로 교육이 정착할 수 있다. 넷째, 진로 교육 내실화를 위해 지역사회와의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 취업의 불균형을 해소하고 지역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지역 정주형 취업에 관심이 필요하다. 지역인재의 지역 정주를 통한 지역과 지역기업의 성장은 상호작용을 통해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는 결론을 제시하였다. 향후 정량적 통계 부분과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 설계가 병행될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methods that enhance career education for sports related majors by predicting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job market. A total of 10 faculty members and coaches who have more than 15 years of student counseling experie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earch questions were formulat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FGI interview questions were developed through preliminary questionnaire. In-person FGI interviews were conducted followed by remote FGI interviews. A constant comparison method was employed for the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macro response is needed for the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job market. Specifically, it may be required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environment as well as fundamental sport market to expand students’ career options. Second, the college and department level approaches should be emphasized to reduce students’ anxiety regarding their future career. Specifically, it was necessary to have discourses that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career related program improvement as well as career education. Third, career and employment preparation programs must be developed to reinforce college career education, and provide curriculum (non-curriculum) to students systemically. A career education can be establish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specialized books along with the training of professional instructors. Fourth, it was necessary to build a network with the local community to enhance career education. In order to resolve employment imbalances and overcome regional crises, interest in regional residential employment will be needed. In addition,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local companies and the students with local talent will be able to create maximum effect of the region and local companies’ growth. Looking ahead, future studies should focus on providing specific solutions using quantitative methods is warranted.

      • KCI등재

        특수교육 교사의 직업위탁교육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원창옥 ( Chankg Ok Won ),정연수 ( Yeon Soo Jeo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6 지적장애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특수교육현장에서 직업위탁교육이 어떻게 구성되고 실행되는지 알아보고 직업위탁교육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특수교사와 직업위탁교육 강사가 경험한 인식세계와 직업위탁교육의 정착을 위한 방안에 대해 탐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시 및 경기도 내 직업위탁교육을 경험한 특수교사 4인과 직업위탁교육 강사 4인 등 총 8인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7월부터 2015년 11월까지이며 고등학교 특수학급 4곳, 중학교 특수학급 1곳, 통합형 직업교육 거점학교 2곳과 장애인종합복지관 1곳에서 이루어졌으며 면담형식은 반구조화된 심층면담(semi-structured interview)으로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개념화-부호화-소주제-대주제-결과 도출의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 현장에서 직업위탁교육의 구성과정에 대한 교사인식은 직업위탁교육의 의미와 구성, 직업위탁교육의 실시장소 및 실시 주기, 특수교사의 재량으로 운영되는 직업위탁교육, 직업교육을 위한 직업위탁교육 강사의 역할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사 관점에서 바라본 장애학생의 직업위탁교육 현상은 진로·직업교육 내실화 방안과 현실, 특수교사들의 직업교육 부담, 불합리한 예산편성과 열악한 업무환경, 사전협의가 없는 학교중심 직업위탁교육, 학생별 성취평가 부재, 직업교육 실시를 위한 사전준비 미흡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위탁교육의 정착을 위한 효과적인 방안으로는 취업에 적절한 직업교육, 다양한 직업체험교육, 교·강사 간 협력적 수업진행과 역할, 교사의 전문성확보, 직업교육과 취업연계 등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research experienc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job-commissioned education instructor and to suggest the improvement for the settlement of job-commissioned education. The participants were four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four job-commissioned education instructors in Seoul and Kyunggi-do. Data collection was composed through depth-interview. Data analysis was consisted of conceptualization-encoding-small theme-core theme-result cre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awareness about composition of job-commissioned education in special education field appeared as meaning of job-commissioned education, job-commissioned education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discretion, role of job-commissioned education instructor. Second, phenomenon of job-commissioned education for student with disabilities appeared as reinforcing method and reality of career and job education, job education burde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rrational budget formation, poor working environment, school centered job-commissioned education. absence of evaluation about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sufficient advance preparation. Third, improvement for settlement of job-commissioned education appeared as appropriate job education for employment, various job experience, cooperative teaching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job-commissioned education instructor, training for professionality development of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