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중증장애인 2배수 산정제도의 효과성 분석

        한승훈 ( Seounghoon Han ),왕태규 ( Tae Kyu Wang ) 한국정책학회 2021 韓國政策學會報 Vol.30 No.4

        중증장애인 2배수 산정 제도는 2010년부터 도입되어 10여 년간 중증장애인의 고용 촉진을 위한 제도로 존속해왔지만, 제도가 실제로 중증장애인의 고용을 촉진하는지 아니면 단순히 장애인 고용주에 대한 혜택에 불과한지에 대한 논란이 여전히 존재한다. 본 연구는 2007년부터 2018년까지의 장애인고용공단의 행정데이터베이스 자료를 이용하여, 비선형 회귀분석 모형을 기반으로 사전-사후 및 처치-통제집단 비교를 통하여 제도의 중증장애인의 고용에 대한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해보려 하였다. 분석 결과 중증장애인 2배수 산정 제도가 중증장애인의 고용 수를 늘리고 중증장애인을 고용하는 사업체 수를 늘리는 등 중증장애인의 신규 고용 창출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를 발견한 반면, 중증장애인의 고용 증가가 경증장애인 고용의 단순한 대체라는 주장의 증거는 찾을 수 없었다. It has already been a decade since the double count system for severely disabled persons was adopted. However, there is still an ongoing debate on whether it achieves its purpose to increase employment for severely disabled persons or it simply serves employers’ benefits only. Using the 2007-2018 administrative database obtained from the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double count system for severely disable persons. For that, we conduct a non-linear Poisson panel regression analysis including both pre-post and treatment-control group comparisons. The analytical results show the positive effects of the system. The adoption of the double count system increased new employments for severely disabled persons and also the number of firms who hired those disabled persons. Furthermore, we find no such evidence that the increase in the employment of severely disabled persons simply replaced that of the mildly disabled ones.

      • KCI등재

        중증장애인 2배수 산정 제도의 효과분석

        정우근,고제훈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4 장애와 고용 Vol.2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중증장애인 2배수 산정제도 도입이후 4년여 정도 지난 현재 시점에서 본 제도가 중증장애인의 고용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중증장애인의 고용을 확대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시 50명 이상을 고용하는 고용의무사업체에서 제출한 장애인 고용계획 및 실시상황 보고서를 토대로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 매년 구축한 장애인 의무고용 현황 자료 중 2006년부터 2013년까지 8개년도 사업체 데이터 정보가 모두 확보된 사업체 11,562개소를 대상으로 패널데이터를 구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모두 제도시행 후가 종속변수인 중증장애인 근로자 수, 2배수 적용 고용률, 2배수 미적용 고용률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증장애인 2배수 산정 제도가 중증장애인의 고용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경우, 본 제도를 더욱 강화하여 중증장애인의 고용을 확대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empirically for how this system has influenced on employment of persons with sever disabilities after the introduction of Double Count System in employment of persons with sever disabilities about 4 years past, and to suggest politic implication to expand the employment of persons with sever disabilities as basis of the analysis. For the foregoing, this study established and analyzed a panel data targeting for 11,562 companies secured all of the company data information from 2006 to 2013 in the current situation data of quota levy system for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that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e report of employment plan and the present stat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from the obligatory employer who hired 50 people or more with disabilities. In result, the enforcement of Double Count System might be a effective indicator to dependent variables; the numble of severely disabled workers, employment rate that is applied to Double Count System, and employment rate that isn’t applied to Double Count System. When we consider the effect of the employment increase(quantitative expansion) of persons with sever disabilities with the Double Count System in employment of persons with sever disabilities, we should strengthen this system to expand the employment of persons with sever disabilities.

      • KCI등재

        Legislative Challenges on Disability Employment System in Korea

        Mi Kyung Cho(조미경) 한국노동연구원 2013 노동정책연구 Vol.13 No.1

        세계장애보고서(World report on disability)는 2010년 현재 세계 인구의 약 15%를 장애인구로 추정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등록장애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지만 장애인들의 고용의 기회는 일반 노동시장에서 여전히 배제되어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는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에 근거하여 장애인 의무고용제도를 시행하고 있고 장애인차별금지법도 제정하어 법제도적인 면에서는 장애인의 근로권이 보장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법정 장애인 의무고용률을 민간기업이나 국가기관 모두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인식하에 본 논문은 현행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장애인 의무고용제도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검토하면서 문제점과 법적 개선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이를 종합하여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의무고용제도하에서의 장애개념을 새롭게 정립할 필요가 있다. 의무고용대상을 장애인복지법상의 장애개념을 원용하여 적용함으로써 정책의 목적과 대상 간에 불일치가 나타난다. 또한 직업생활능력이 비장애인과 차별되지 않는 6급 장애인을 의무고용대상에 포함시키지 말고 보다 중증장애인 중심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둘째, 장애인 의무고용률을 ‘5년마다’ 정하도록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에서 규정하고 있으나 이를 ‘3년마다"로 개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본다. 장애인복지법에 근거하여 실시하고 있는 장애인실태조사도 5년에서 3년으로 개정된 바 있다. 또한 중증장애인 고용률 2배수 산정제도를 확대하여 단시간 장애인 근로자에 대하여 연구자는 0.5카운트 제도를 제안한다. 셋째, 고용부담금의 경우 장애인고용을 촉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수준으로 정하되, 기업규모에 따라 고용부담금을 차등부과하는 프랑스의 예를 참고하여 대기업의 장애인 고용유인효과를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 넷째,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도 장애인고용부담금을 납부해야 한다고 본다.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특례조항(법 제79조)에 따라 2010년 1월부터 국가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공무원이 아닌 근로자를 고용하는 경우에 그 근로자에 대하여 고용의무와 고용부담금이 적용된다. 부담금의 법적 성격 및 법 논리상으로도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도 고용부담금을 납부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본다. 다섯째, 고용장려금은 사중손실을 최대한 방지하는 선에서 설계되어야 하며, 부담금 및 장려금이 장애인 고용촉진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는지 지속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This paper provides a comprehensive overview of current legislation on the employment of disabled people and recommends a direction for future legislation aimed at improving the system currently in place in Korea.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provide evidence that will help guide revisions of relevant provisions of appropriate Acts and stimulate further discussion on disability and employment. To this end, the paper begins with an examination of existing legislation related to disability employment in Korea. It then presents the major legal challenges to improve the disability employment system. The paper concludes by providing five recommendations based on a review of the current legal system in Korea. Firstly, the impairment grading should be reevaluated in relation to the quota system. Secondly, the period of mandatory employment rate evaluation should be revised in order to reflect the changing environment. Thirdly, the employment levy should be determined by the level at which employers are induced to employ disabled people. Fourthly, part-time worker with disabilities should be factored into the quota system. Fifthly, surveys should be conducted on employers who are required to pay levies and employers who qualify for the subsidy, to ensure that the levy and subsidy are working properly.

      • KCI등재

        Legislative Challenges on Disability Employment System in Korea

        조미경 한국노동연구원 2013 노동정책연구 Vol.13 No.1

        This paper provides a comprehensive overview of current legislation on the employment of disabled people and recommends a direction for future legislation aimed at improving the system currently in place in Korea.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provide evidence that will help guide revisions of relevant provisions of appropriate Acts and stimulate further discussion on disability and employment. To this end, the paper begins with an examination of existing legislation related to disability employment in Korea. It then presents the major legal challenges to improve the disability employment system. The paper concludes by providing five recommendations based on a review of the current legal system in Korea. Firstly, the impairment grading should be reevaluated in relation to the quota system. Secondly, the period of mandatory employment rate evaluation should be revised in order to reflect the changing environment. Thirdly, the employment levy should be determined by the level at which employers are induced to employ disabled people. Fourthly, part-time worker with disabilities should be factored into the quota system. Fifthly, surveys should be conducted on employers who are required to pay levies and employers who qualify for the subsidy, to ensure that the levy and subsidy are working proper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