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대학에서의 한국어문학과 개설 현황 및 발전 방안 연구

        김용범,구려나,량빈,장람,김현정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연구 Vol.6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development plan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Subject in Chinese universities by analyzing the present situation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courses in Chinese universities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universities. For this purpose, 16 Chinese universitie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By the way, according to the 2016 standard, all of these universities are belong to '211 universities' or '985 universities'. As a result of the survey can be analyzed from the following aspects. First of all, the universities which offered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courses are mainly located in coastal areas adjacent to Korea. Second, professors in Chinese universities are mainly Chinese(96.1%, 147), and 84.3% (129) of them hold doctor’s degree. Especially, 51%(78) of them earned doctorates in Korea, and 33.3%(51) of them earned doctorates in China.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oportion of professors' professional distribution, the number of professors specialized in Korean Language is the largest, with a ratio of 33.3% (51). Followed by the professors of Modern Literature, with a ratio of 22.2% (34). Finally, Classical Literature and other(History, Philosophy) professional professors have a 15% ratio(23). Here we have some suggestions about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Subject in Chinese universities have been proposed before. First, Pay attention to the national policy of the One Belt One Road’, expand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Discipline and strengthen international exchanges. Second, in order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we should expand the education curriculum too. In particular, is necessary to improved the teaching methods of profess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Korean researchers with objective information about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China at the present stage, to supplement the deficiency of previous information. 이 연구는 중국 대학의 한국어문학 관련 학과 개설 현황을 살펴보고, 이들 대학의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중국 내 한국어문학 관련 학과의 발전 방안을 제안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때 분석 대상으로 삼은 중국 대학은 2016년 기준으로 ‘211대학’(116개)과 ‘985대학’(39개)에 포함되어 있는 대학 중 한국어문학 관련 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16개 대학(중국전매대학 제외)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 결과, 한국어문학 관련 학과가 개설된 대학들은 주로 한국과 인접한 해안 지역에 위치하고 있었다. 교수들은 주로 중국인(96.1%, 147명)이었으며, 박사학위 소지자는 84.3%(129명)에 이른다. 학위취득 국가로는 한국이 51.0%(78명)로 가장 많았으며, 중국에서 학위를 취득한 경우는 33.3%(51명)였다. 교수진의 전공은 국어학이 33.3%(51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대문학이 22.2%(34명), 고전문학과 기타(역사, 철학 등) 전공이 각각 15.0%(23명)로 나타났다. 중국 내 한국어문학 관련 학과의 발전 방안으로는 ‘일대일로’라는 중국의 정책에 따른 한국어문학과의 확대 및 국제교류 활성화와 함께, 한국문화 이해 증진을 위한 교육과정을 보다 확대할 것을 제안해 보았으며, 특히 개별 교수자의 교수법을 개선하기 위한 여러 가지 제도적인 뒷받침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이 연구는 그동안 중국에 개설된 한국어문학 관련 학과에 대한 정보가 부족했던 한국 연구자들에게 중국의 한국어문학 관련 학과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제시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