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Study on eUCP 2.0

        강다현(Da-Hyeon Kang),한재필(Jae-Phil Hahn) 한국국제상학회 2020 國際商學 Vol.35 No.2

        4차 산업의 발달과 디지털화의 가속화에 맞춰 ICC에서는 UCP 600의 추록인 eUCP V 1.1을 2019년 7월 1일 eUCP의 새로운 버전인 V 2.0으로 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eUCP V 2.0은 ‘제시인’, ‘데이터 처리 시스템’, ‘재제시’ 등 새로운 용어의 정의를 추가하였으며, 실무적용을 위한 사전준비사항 및 표준 지침, 사전고려사항, 면책조항인 불가항력, UCP 600에서 다루고 있지 않은 전자기록에 대해 보다 명확하고 투명성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기록 및 종이서류 v. 물품, 용역 또는 의무이행을 추가하였다. 또한, 전자기록의 제시 및 심사 등의 조항들에서 제시인이나 은행들의 책임과 의무 등을 중심으로 개정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eUCP V 2.0과 eUCP V 1.1을 비교 분석하여 eUCP V 2.0의 특징과 주요 개정 내용을 제시함으로써 신용장 거래의 원활성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UCP V 2.0 which comes into force on July 1, 2019 as the revision of eUCP V 1.1 in line with the development of the 4th industry and the acceleration of digitization.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Research methodology taken by this article is the literature reviews. In this study, eUCP V 2.0 and eUCP V 1.1 are carefully compared and publications of ICC are throughly reviewed to evaluate how the digital compatibility would be ensured under eUCP V 2.0. Results : It is found that eUCP V 2.0 defines new terms, and adds preliminary considerations and new articles. In addition, as eUCP V 2.0 clarifies the liability and responsibilities of presenters and banks, it can be said that the new rule enhances clarity and transparency for utilization of electronic records in letter of credit transactions. Conclusions : This study provides reasonable practical implications for letter of credit practitioners in utilizing the electronic records through in-depth analysis of eUCP V 2.0. It is believed that eUCP V 2.0 ensures continued digital compatibility.

      • KCI우수등재

        불법목적의 회사설립과 공전자기록 등 불실기재죄 - 대법원 2020. 2. 27. 선고 2019도9293 판결 -

        맹준영 법조협회 2023 法曹 Vol.72 No.6

        대법원은 대상판결에서 피고인이 범죄에 이용할 목적으로 상법상 주식회사 설립등기를 마친 사안에서, 회사로서의 실체가 없다거나 상법상 부존재한다는 이유로는 법인등기부에 불실의 사실을 기록하고 이를 행사하였다는 내용의 공전자기록 등 불실기재죄와 그 행사죄를 무죄로 판단하였다. 대상판결에서는 우리 상법상 회사 설립등기에 창설적 효력이 인정되고, 등기관의 형식적 심사주의를 채택하고 있으며, 상법상 회사설립 시에 구체적인 영업의 실질을 갖추는 것까지 요구한다고 볼 근거가 없다는 점 등을 주된 근거로 삼고 있다. 대상판결이 적절하게 설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발기인 등의 회사설립의 의도나 목적은 공시 대상이 된다고 보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그와 같은 정도의 불법성 여하에 따라 회사 성립의 효력을 함부로 부정하는 것 역시 바람직하다고 보기 어려울 것이다. 대상판결의 결론은 기존에 대법원 판결에 의하여 정립된 회사법상의 관련 법리에도 충실하다고 볼 수 있고, 이 점에 비추어 보더라도 이를 수긍할 수 있다. The Supreme Court of Korea held that in a case where the defendant established a corporation under the Commercial Code and completed the registration process thereof for the purpose of using the company for a crime, the above defendant was not guilty of the crime of untrue entry in officially authenticated original deed, on the ground that the company registered should not be regarded as it did not have substance as a company or was inexistent under the Commercial Code. The primary grounds for the Supreme Court’s decision included the following: under the Commercial Code of Korea, the registration of company establishment is recognized as having founding effect, the principle of formal examination by the registrar is adopted by the statute, and there is no basis for assuming that the Commercial Code requires a company to have concrete business substance at the time of establishment. The Supreme Court has made clear in the decision that the intention and purpose of the incorporators concerning the establishment of the company is not subject to public disclosure, and it is undesirable to deny the validit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company based on the mere illegality as described above. The conclusion of the Supreme Court’s decision could be suppor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of company law established by the Court.

      • KCI우수등재

        불법목적의 회사설립과 공전자기록 등 불실기재죄 - 대법원 2020. 2. 27. 선고 2019도9293 판결 -

        孟峻永 ( Maeng Joon Young ) 법조협회 2023 法曹 Vol.72 No.6

        대법원은 대상판결에서 피고인이 범죄에 이용할 목적으로 상법상 주식회사 설립등기를 마친 사안에서, 회사로서의 실체가 없다거나 상법상 부존재한다는 이유로는 법인등기부에 불실의 사실을 기록하고 이를 행사하였다는 내용의 공전자기록 등 불실기재죄와 그 행사죄를 무죄로 판단하였다. 대상판결에서는 우리 상법상 회사 설립등기에 창설적 효력이 인정되고, 등기관의 형식적 심사주의를 채택하고 있으며, 상법상 회사설립 시에 구체적인 영업의 실질을 갖추는 것까지 요구한다고 볼 근거가 없다는 점 등을 주된 근거로 삼고 있다. 대상판결이 적절하게 설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발기인 등의 회사설립의 의도나 목적은 공시 대상이 된다고 보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그와 같은 정도의 불법성 여하에 따라 회사 성립의 효력을 함부로 부정하는 것 역시 바람직하다고 보기 어려울 것이다. 대상판결의 결론은 기존에 대법원 판결에 의하여 정립된 회사법상의 관련 법리에도 충실하다고 볼 수 있고, 이 점에 비추어 보더라도 이를 수긍할 수 있다. The Supreme Court of Korea held that in a case where the defendant established a corporation under the Commercial Code and completed the registration process thereof for the purpose of using the company for a crime, the above defendant was not guilty of the crime of untrue entry in officially authenticated original deed, on the ground that the company registered should not be regarded as it did not have substance as a company or was inexistent under the Commercial Code. The primary grounds for the Supreme Court’s decision included the following: under the Commercial Code of Korea, the registration of company establishment is recognized as having founding effect, the principle of formal examination by the registrar is adopted by the statute, and there is no basis for assuming that the Commercial Code requires a company to have concrete business substance at the time of establishment. The Supreme Court has made clear in the decision that the intention and purpose of the incorporators concerning the establishment of the company is not subject to public disclosure, and it is undesirable to deny the validit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company based on the mere illegality as described above. The conclusion of the Supreme Court’s decision could be suppor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of company law established by the Court.

      • KCI등재

        미국의 정보자유법(FOIA) 50년(1966-2016)

        김배원 한국비교공법학회 2019 공법학연구 Vol.20 No.1

        미국의 정보자유법(FOIA)은 알 권리를 구현하는 법률로서 1966년에 제정되고 1967년에 5 U.S.C. §552로 법전화된 이후, 1974년 개정에서부터 수차례의 개정(1976년, 1984년, 1986년, 1996년, 2002년, 2007년, 2009년)을 거친 뒤에 최근 2016년의 개정에 이르는 50년의 입법사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정보자유법의 목적은 정보로 무장한 시민을 확보하여 정부를 감시하고 부패를 방지함으로써 민주주의를 실질화하고 치자들이 피치자들에게 책임을 지도록 하려는 것이다. 그러한 목적을 일관되게 유지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 정보자유법(FOIA)은 50년 개정사를 통하여 공개와 비공개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개인의 자유와 국가 이익의 조화를 도모하여왔다. 이 논문에서는 우선, 이러한 정보자유법(FOIA)의 구조와 내용을 개관하고(Ⅱ), 다음으로, 1966년에서 2016년에 이르는 FOIA의 전개를 개정의 배경과 내용을 중심으로 간략하게 살펴보며(Ⅲ), 끝으로, 이러한 고찰을 통하여 조망할 수 있는 FOIA 50년의 통사적 의의를 검토하고(Ⅳ), 한국의 정보공개법과 관련한 시사점도 정리하고자 한다. The U.S. Freedom of Information Act(FOIA) enacted in 1966 is a statute that realizes the Public’s Right to Know and it was codified to 5 U.S.C. §552 in 1967; with the amendment of 1974 its beginning, it has been through a many number of amendments (1976, 1984, 1986, 1996, 2002, 2007, 2009) to the latest of 2016. It has the fifty-year legislative history of its own. The purpose of such FOIA is to ensure an informed citizenry to overwatch governments and to prevent corruption, in order to actualize democracy and for the governors to realize the responsibility they owe to the governed. On the other hand, the purpose has been maintained with consistency as it has stricken the balance of disclosure and withholding via fifty-year of amendment history, promoting in harmonizing the freedom of individual and the benefit of the nation. In this article,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FOIA shall be overviewed (Ⅱ), which will be followed by a brief examination of the developments of FOIA based on the background and contents of its amendments (Ⅲ); with the observation, the fifty-year history of FOIA will be reviewed on its complete historic meaning (Ⅳ) and some suggestions related to Korean Official Information Disclosure Act will be ma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