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DS 기반의 실시간 정보공유 프레임워크 사례 연구

        김기태(Kitae Kim),양승현(Seunghyun Yang),정원우(Wonwoo Jung) 한국정보과학회 2020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26 No.4

        OMG 표준 DDS는 발간/구독 구조의 확장성 및 신뢰성을 보장하는 미들웨어로 특히 미션 크리티컬한 실시간 분산시스템에서 실시간 정보 교환능력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DDS를 적용한 작전/교전통제 분야에 특화된 실시간 정보공유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 LTIM을 제안한다. LTIM은 기존 개발된 작전/교전통제 시스템에 적용된 DDS의 실시간 정보 교환능력을 확장하여 DDS 캐시를 사용한 정보의 저장소 역할도 수행하도록 하여 진화된 DDS 활용 사례를 제시하였다. LTIM을 적용한 실제 시스템 구현사례를 제시하고 기존 개발된 작전/교전통제 시스템과 비교 분석하여 실시간 정보 공유 및 저장처리 성능과 프레임워크 사용에 따른 코드 품질의 우수성을 확인하였다. Real-time distribution middleware has been adopted widely for distributed real-time systems to interconnect distributed computing nodes and share practical domain information in real-time. In particular, the OMG standard Data-Distribution Service(DDS) is a guaranteed middleware that provides real-time data-delivery capability in terms of publishing/subscribing communications for various mission-critical distributed real-time systems. This paper proposes a DDS-based real-time data sharing software framework, LTIM designed for a mission-critical tactical and engagement control domain. The proposed LTIM presents an evolved practical use case for DDS that expands the real-time data-exchange capability of legacy systems by providing real-time data sharing and DDS cache. To evaluate the performance and quality of LTIM, we compared a command and control (C2) system with LTIM and a legacy C2 system in terms of data delivery, store latency, and code metrics.

      • KCI등재

        국군의 교전규칙 작성권한: 유엔사와 연합사의 작성권한 유무 및 범위를 중심으로

        이상혁 한국국방연구원 2018 국방정책연구 Vol.33 No.4

        The Armistice Rule of Engagement (ROE), in the form of the UNC/CFC regulations, is inconsistent with the ROK-US combined command system. Currently, the UNC commander, who has no command relationship with the ROK Armed Forces, as well as the CFC commander, who only has wartime operational control over the ROK Armed Forces, have been involved in issuing the Armistice ROE. In order to comply with the ROK-US command system, the UNC commander must be excluded from the process of issuing the Armistice ROE, and the Armistice ROE issued by the CFC commander should apply to the ROK Armed Forces only after the declaration of a DEFCON-III situation. 유엔군사령관을 겸하는 연합사령관이 작성한 정전교전규칙은 유엔사/연합사 내부규정 형태로 작성되어 국군과 지휘관계가 없는 유엔군사령관이 작성에 관여하고 있고 연합사령관은 방어준비태세 3단계 이후에만 국군을 작전통제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이전 단계에서도 국군에 적용되고 있어서 국군의 평시 교전규칙 작성 권한이 현행 연합지휘체계와 불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연합사령관이 작성하는 정전교전규칙은 방어준비태세 3단계 이후에만 국군에 적용되고 그 이전에는 합참교전규칙이 적용되어야 하며 유엔군사령관이 그 작성에 관여하는 것은 재고되어야 한다.

      • KCI등재

        유엔사의 역할 변화에 대한 법적 쟁점과 과제

        안준형(Jun-hyeong AHN) 서울국제법연구원 2019 서울국제법연구 Vol.26 No.2

        현재 대한민국 방위의 근간은 한미동맹에 기초한 한미연합방위체제로서, 한미연합사령부(CFC)를 주축으로 하여 미군 4성장군인 연합사령관(유엔군사령관 겸임)이 전시작전통제권을 행사하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2018년 10월 31일 제50차 한미안보협의회의(SCM)에서 한미 양국 국방부장관이 전작권 전환 및 미래연합사 편성에 관한 4개의 핵심 전략문서에 서명함에 따라, 추후 전작권 전환 이후에는 한국군 4성장군이 미래연합사령관으로서 한국작전전구(KTO) 내에서 작전을 주도하게 된다. 전작권 전환은 곧 기존의 한미연합사를 새로운 연합지휘구조로 개편함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이와 연계하여 유엔군사령부의 역할과 기능상의 변화 역시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별개로 최근에는 2018년 4.27 판문점 선언을 계기로 정전협정의 평화협정으로의 대체가 논의되면서 유엔군사령부의 존속 여부에 대한 논란이 불거지기도 하였다. 따라서 향후 평화체제로의 전환이나 전작권 전환과 연계하여 전·평시 유엔군사령부의 임무와 기능이 어떻게 정립되어 나갈 것인지, 유엔군사령부와 미래연합사 및 한국 합참 간의 관계가 어떻게 설정될 것인지, 이에 따른 동맹 지휘구조는 어떻게 변화될 것인지 등에 대하여 심도 깊은 논의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유엔군사령부의 역할 변화 경험을 토대로 향후 유엔군사령부의 대안적 역할을 가늠해 보고, 유엔군사령부의 존속 또는 해체시 다루어져야 할 법적 쟁점과과제를 살펴보았다. Currently, the basis of defense in Korea is the ROK-US Combined Defense System based on the ROK-US alliance, and is designed in a structure centered on the ROK-US Combined Forces Command (CFC) where the Allied Commander (adjunct to the United Nations Command), a US 4 star general, exercises Wartime Operational Control. However, at the 50th ROK-US Security Consultative Meeting on October 31, 2018, as ROK-US Defense Ministers signed four key strategic documents on the formation of the Wartime Operation Control Transition and the Future Alliance Command, After the Wartime Operation Control Transition in future, the 4 star general of the ROK military will lead the operation within the ROK Korea Theater of Operation (KTO) as a Future Alliance Commander. Since the Wartime Operation Control Transition means reorganizing current ROK-US Combined Forces Command into a new alliance command structure, in this connection, changes in the role and function of UNC are also expected to be inevitable. Apart from this, recently, as a result of the April 27 Declaration of Panmunjeom, as the substitution of the Armistice Agreement with the Peace Agreement was discussed, the controversy over the existence of the UNC headquarters was also arising. Therefore, In depth discussion is needed on how the mission and function of UNC headquarters at a war time or in time of peace will be established in connection with the transition to peace regime or Wartime Operation Control Transition, how the relationship will be established between UNC, Future Alliance command, and ROK Joint Forces, and how the alliance command structure will change accordingly, etc. Thus, based on the experience of changing the role of the United Nations Command, this paper assessed the future role of the United Nations Command, and explored the legal issues and challenges to be addressed in the survival or dismantling of UN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