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GA<sub>4+7</sub>+BA의 처리방법이 사과 '갈라' 품종의 수체생장 및 과실특성에 미치는 영향

        사공동훈,윤태명,최석원,SaGong, Dong-Hoon,Yoon, Tae-Myung,Choi, Seak-Won 한국원예학회 2010 원예과학기술지 Vol.28 No.4

        $GA_{4+7}$+BA는 유목의 측지 발생 및 과실비대를 목표로 사용되는 생장조절제로써 본 실험에서는 밀식 과수원의 '갈라' 사과품종을 공시하여 4년 동안 여러 가지 살포방법을 이용하여 과실비대 및 영양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GA_{4+7}$+BA 처리시 과실 종경, 과중, L/D율은 증가되나 가용성 고형물 함량 및 산 함량, 엽면적, 엽록소함량 등은 변화가 일정하지 않았다. 과실 내 종자 수는 처리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미발육 종자의 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농도 수관전체 살포는 신초생장을 증가시켰으나 착과 부위에만 살포시에는 영향이 없었다. 살포시기에 있어서는 과실 세포분열이 끝나는 시점인 5월말에서 6월초에 살포하는 것이 과실비대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고농도 $GA_{4+7}$+BA처리는 과실의 경도를 감소시켜 과실의 저장성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갈라' 같은 소과종에 있어 고농도의 $GA_{4+7}$+BA 살포는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GA_{4+7}$+BA, a plant growth regulator for induction of feathering in young apple tree and increasing fruit size, was applied by various methods on 'Gala'/M.9 apple trees in high density orchard for 4 years to investigate its effect on fruit and shoot growth. $GA_{4+7}$+BA($80-300mg{\cdot}L^{-1}$) increased fruit length, fruit weight, and L/D ratio regardless of application methods, but it did not affect soluble solid content, acidity, leaf area, and chlorophyll. Seed number was not affected by $GA_{4+7}$+BA application, however, more immature seeds was observed in treated 'Gala' fruit. Shoot growth was increased when spraying $GA_{4+7}$+BA at tree crown but not affected when spraying at fruit directly. More significant fruit growth was observed when $GA_{4+7}$+BA was applied on the fruits between late of May and early of June when fruit cell division ended; however, high concentration of $GA_{4+7}$+BA resulted in lower fruit storability because of lower firmness. Hence,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when applying high concentration of $GA_{4+7}$+BA to small sized fruit cultivars like 'Gala'.

      • KCI등재

        GA4+7+BA의 처리방법이 사과 ‘갈라’ 품종의 수체생장 및 과실특성에 미치는 영향

        사공동훈,윤태명,최석원 한국원예학회 2010 원예과학기술지 Vol.28 No.4

        GA4+7+BA, a plant growth regulator for induction of feathering in young apple tree and increasing fruit size, was applied by various methods on ‘Gala’/M.9 apple trees in high density orchard for 4 years to investigate its effect on fruit and shoot growth. GA4+7+BA(80-300 mg・L-1) increased fruit length, fruit weight, and L/D ratio regardless of application methods, but it did not affect soluble solid content, acidity, leaf area, and chlorophyll. Seed number was not affected by GA4+7+BA application, however, more immature seeds was observed in treated ‘Gala’ fruit. Shoot growth was increased when spraying GA4+7+BA at tree crown but not affected when spraying at fruit directly. More significant fruit growth was observed when GA4+7+BA was applied on the fruits between late of May and early of June when fruit cell division ended; however, high concentration of GA4+7+BA resulted in lower fruit storability because of lower firmness. Hence,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when applying high concentration of GA4+7+BA to small sized fruit cultivars like ‘Gala’. GA4+7+BA는 유목의 측지 발생 및 과실비대를 목표로 사용되는 생장조절제로써 본 실험에서는 밀식 과수원의 ‘갈라’ 사과품종을 공시하여 4년 동안 여러 가지 살포방법을 이용하여 과실비대 및 영양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GA4+7+BA 처리시 과실 종경, 과중, L/D율은 증가되나 가용성 고형물 함량 및 산 함량, 엽면적, 엽록소함량 등은 변화가 일정하지 않았다. 과실 내 종자 수는 처리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미발육 종자의 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농도 수관전체 살포는 신초생장을 증가시켰으나 착과 부위에만 살포시에는 영향이 없었다. 살포시기에 있어서는 과실 세포분열이 끝나는 시점인 5월말에서 6월초에 살포하는 것이 과실비대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고농도 GA4+7+BA 처리는 과실의 경도를 감소시켜 과실의 저장성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갈라’ 같은 소과종에 있어 고농도의 GA4+7+BA 살포는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KCI등재

        갈색무늬병에 의한 낙엽이 '후지'/M.9 사과나무의 수체생장 및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사공동훈(Dong-Hoon Sagong),권헌중(Hun-Joong Kweon),송양익(Yang-Yik Song),박무용(Moo-Yong Park),남종철(Jong-Chul Nam),강석범(Seok-Beom Kang),이상규(Sang-Gyu Lee) 한국원예학회 2011 원예과학기술지 Vol.29 No.6

        본 실험은 ‘후지’/M.9 사과나무의 갈색무늬병에 의한 낙엽 정도가 수체생장과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갈색무늬병에 의해 9월말 수관 전체 낙엽율이 10% 이상 되면 가용성고형물 함량이 감소되었고, 30% 이상이면 평균과중이 감소되었다. 과실의 착색과 전분 함량은 과실 주변 잎들의 낙엽 정도가 심해질수록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듬해 개화율 및 과중, 총신초장은 전년도 낙엽율이 높을수록 감소되는 경향이 있었다. ‘후지’/M.9 사과나무의 과대지에서 갈색무늬병의 발생이 없는 잎은 9월말에도 광합성속도를 약 10μmol?m-2?s-1 이상 유지하여 9월말 이후의 과실비대 및 가용성고형물 함량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9월말 갈색무늬병반이 전체 잎면적의 50% 이상을 차지한 잎의 광합성속도는 건전한 잎의 30% 수준이었다. 결론적으로 낙엽구들의 과실품질 감소는 과실 내 전분 감소에 의해서 이며, 과실 내 전분 감소는 갈색무늬병에 의해 과실주변 잎들의 광합성속도가 8월 이후부터 감소되었기 때문이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defoliation by Marssonina blotch (Diplocarpon mali Harada et Sawamura) on vegetative growth and fruit quality in ‘Fuji’/M.9 apple tree. Soluble solid contents decreased when the defoliation percentage by Marssonina blotch was over 10% before the end of September, and fruit weight decreased when percentage of defoliation was over 30%. Fruit red color and starch contents tend to decrease as percentage of defoliation near the fruit increased. Return bloom, fruit weight, and shoot growth the following year tend to decrease as percentage of defoliation increased. Photosynthetic rate of healthy leaves in bourse shoot during the end of September was maintained about 10 μmol?m-2?s-1, effects in increasing fruit growth and soluble solid contents after the end of September. Photosynthetic rates for the damaged leaf, damaged area was over 50% on the leaf surface, while 30% of the photosynthetic rates of healthy leaf are without damage applied with Marssonina b lotch at the end of September. The results show that the decrease of fruit quality in defoliation treatments may be caused by the decrease of starch contents in fruit, and that was caused by the photosynthetic rates of leaves near fruit was decreased by Marssonina blotch in the wake of August.

      • SCIESCOPUSKCI등재

        GA₄??+BA의 처리방법이 사과 ‘갈라’ 품종의 수체생장 및 과실특성에 미치는 영향

        사공동훈(Dong-Hoon Sagong),윤태명(Tae-Myung Yoon),최석원(Seak-Won Choi) 한국원예학회 2010 원예과학기술지 Vol.28 No.4

        GA₄??+BA는 유목의 측지 발생 및 과실비대를 목표로 사용되는 생장조절제로써 본 실험에서는 밀식 과수원의 ‘갈라’ 사과품종을 공시하여 4년 동안 여러 가지 살포방법을 이용하여 과실비대 및 영양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GA₄??+BA 처리시 과실 종경, 과중, L/D율은 증가되나 가용성 고형물 함량 및 산 함량, 엽면적, 엽록소함량 등은 변화가 일정하지 않았다. 과실 내 종자 수는 처리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미발육 종자의 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농도 수관전체 살포는 신초생장을 증가시켰으나 착과 부위에만 살포시에는 영향이 없었다. 살포시기에 있어서는 과실 세포분열이 끝나는 시점인 5월말에서 6월초에 살포하는 것이 과실비대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고농도 GA₄??+BA 처리는 과실의 경도를 감소시켜 과실의 저장성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갈라’ 같은 소과종에 있어 고농도의 GA₄??+BA 살포는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GA₄??+BA, a plant growth regulator for induction of feathering in young apple tree and increasing fruit size, was applied by various methods on ‘Gala’/M.9 apple trees in high density orchard for 4 years to investigate its effect on fruit and shoot growth. GA₄??+BA(80-300 ㎎ㆍL?¹) increased fruit length, fruit weight, and L/D ratio regardless of application methods, but it did not affect soluble solid content, acidity, leaf area, and chlorophyll. Seed number was not affected by GA₄??+BA application, however, more immature seeds was observed in treated ‘Gala’ fruit. Shoot growth was increased when spraying GA₄??+BA at tree crown but not affected when spraying at fruit directly. More significant fruit growth was observed when GA₄??+BA was applied on the fruits between late of May and early of June when fruit cell division ended; however, high concentration of GA₄??+BA resulted in lower fruit storability because of lower firmness. Hence,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when applying high concentration of GA₄??+BA to small sized fruit cultivars like ‘Gal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