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one-beam CT를 이용한 안면비대칭자에서 이부편위에 따른 치성보상의 양상분석

        박수병,박정희,정연화,조봉혜,김용일 대한치과교정학회 2009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9 No.5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menton deviation and dental compensation in facial asymmetry. Methods: Tooth axis and distance of first molar and canine to the reference plane were investigated by cone-beam computerized tomography. The subjects consisted of 50 patients with asymmetric mandibles (male 21, female 29, mean age 24.3 years). Control groups were also assessed (male 11, female 9, mean age 25.6 years). Nine measurements (5 linear measurements and 4 angular measurements) were measured in order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menton deviation and the linear and angular difference of first molar and canine in the deviated and none-deviated sides using the defined MPR images. The differences between deviated and non-deviated side, according to menton deviation,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rom the result, Menton devi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mandibular first molar's angular measurement (Δ∠LM6-Mn plane (dev.-ndev.)) and positively with maxillary fist molar's angular measurement (Δ∠UM6-FH plane (dev.-ndev.)) (p < 0.01). Two angular measurements (Δ∠ LM6-Mn plane (dev.-ndev.), Δ∠UM6-FH plane (dev.-ndev.)) explained the variability in menton deviation with a significant r² value of 0.589.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tooth axis of upper and lower first molars leans towards the deviated side of Menton when there is mandibular asymmetry with Menton deviation. 본 연구는 Cone-beam CT의 MPR이미지상에서 하악골 평면에 대한 하악 제1대구치와 견치의 편위측과 비편위측의 높이와 각도차이 그리고 FH 평면에 대한 상악 제1대구치와 견치의 편위측과 비편위측의 높이와 각도차이를 계측함으로써 안면비대칭자에서 이부편위에 따른 편위측과 비편위측의 제1대구치와 견치의 높이와 협설측 경사도를 CBCT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그 관련성을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하악골의 이부편위를 동반한 안면비대칭 환자 50명(여자 29명, 남자 21명, 평균나이 24세 4개월)으로 하였다. 대조군으로 평균나이 25세 7개월인 20명(남자 11명, 여자 9명)을 분석하였다. 결과는 이부편위에 대해 FH 평면에 대한 상악 제1대구치의 편위측과 비편위측의 길이 및 각도 차이(편위측 - 비편위측)는 대조군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p < 0.01). 비대칭군에서 상악 제1대구치 각도는 편위측이 비편위측보다 평균 8.62 ± 5.95˚ 컸다 (p < 0.01). 상악 견치의 경우에도 편위측과 비편위측의 각도차이가 평균 4.48 ± 5.05˚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p < 0.01). 하악골 평면에 대한 하악 제1대구치의 수직 길이와 각도는 편위측과 비편위측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할 만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p < 0.01). 각도의 차이는 평균 -11.92 ± 5.79˚로 나타났다. 이부편위에 대한 상하악 제1대구치와 견치의 수직거리 및 각도의 Pearson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 결과, FH 평면에 대한 상악 제1대구치의 편위측과 비편위측의 각도차이(Δ∠ UM6-FH plane (dev.-ndev.))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하악골 평면에 대한 하악 제1대구치의 편위측과 비편위측의 각도차이(Δ∠LM6-Mn plane (dev.-ndev.))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이부편위를 동반한 하악골 비대칭이 존재하는 경우, 이부가 편위되는 방향으로 상하악 제1대구치의 치아장축의 각도가 변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