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북한 통일을 위한 역사적 연속성과 이념적 동질성 확인:식민지 시대 한국민족주의 전개과정

        김혜승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16 평화학연구 Vol.17 No.5

        This study seeks a way to realize peace in the Korean Peninsula. To achieving this goal, this study will attempt to confirm historical continuity and ideological homogeneityin in the Korean nationalism. These are positive motivational forces that will increase the possibility of reunific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The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s predicted to be the greatest event of 21th century. A unified Korea is the best scenario while a divided Korea is the worst scenario. After achieving unification, how we will realize a national community for sustainable economic development? Finding an answer to this question is the goal of this study.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will concretely confirm the historical continuity and ideological homogeneity. From the basis of Rousseau’ modern nationalism, this study will provide a theoretical model balanced by theoretical objectivity and historical independence that can systemize Korean Studies. 이 연구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한반도 평화의 실현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남・북한의 역사적 연속성과 이념적 동질성을 확인함으로써 통일을 위한 가능성, 그 추동력을 도출하려는 것이다. 냉전 와해 후, 21세기 자본주의에 대한 도전으로 불리는 금융위기 속에서 경제성장의 중심이 서구에서 동아시아로, 이동하였다. 그리고 향후 21세기 가장 위대한 세계사적 사건으로 한반도의 재통일가능성이 예측되고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남ㆍ북한 통일을 가능케 할 것인가? 답을 찾기 위해 본 연구는 민족공동체 실현을 위한 가능성을, 식민지 시대 한인민족주의를 남・북한의 역사적 연속성과 이념적 동질성의 관점에서 확인해 보겠다. 20세기 최대 과제인 민족독립 과제 앞에서 남ㆍ북이 함께 한 한국민족주의를 교훈 삼아, 21세기 최대 과제인 민족통일 실현을 위한 가능성을 모색해 보겠다. 그것은 좌우이념을 초월한, 순수성을 잃지 않은 한인민족주의의 이념적 동질성과 역사적 연속성이라고 할 것이다.

      • KCI등재

        일교육 방향성 연구

        이재현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10 평화학연구 Vol.11 No.4

        This thesis is, above all, the unification subject of formation of social-common culture of the South-North Korea from this now on. As an orienta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we think communication about social. cultural field. So this approach is able to begin the solution of political tightness. The coming subjects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of South-North Korea is as following. Firstly the unification education with ideological thinking and macro historical current is necessary, and is not the orienta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of North-North Korea in current situation. Secondly, the first of all, the rehabilitation of South-North Korea nationality is necessary. And the formation of nation community is not found the same equality in the political, economical, social system, and is approached cultural characters, especially, social consciousness and customs. Ultimately, the orienta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is the coexistence of the South-North Korea. For this, firstly the national concern of governmental unification is founded in a policy dimension. Secondly, the long time plan of governmental unification is established with the embodiment and the practice. Thirdly, because the rel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have the partners, we have to the attitude, and fixed beliefs with persuasive plan. The programme with compulsion and unification is not necessary. Fourthly, the problem of unification with the whole country is approached to the special planes with national budgets, consents, supports. 본 논문은 남북한이 공유할 수 있는 문화 공동체의 형성은 현 상황에서 무엇보다 먼저 모색되어야 할 통일과제이며, 통일교육의 한 방향성으로서 이러한 사회 ‧ 문화 영역의 접근과 모색은 정치적 환경 변화에 의해 좌우되는 관계를 벗어나, 남북한의 첨예화한 정치적 경색을 타개할 수 있는 하나의 기저로 작용할 수 있다는 인식에서 시작한다. 남북한의 통일교육의 당면과제는 첫째 현 북한실상에 집착하는 근시안적 통일교육의 방향설정이 아니라 미래에 대한 이념적 예측과 거시적인 역사의 흐름을 고려한 통일교육의 방향설정이 필요하다는 점이고, 둘째는 통일교육의 가장 핵심적인 목표인 민족 동질성 회복이나 민족 공동체 의식 형성을 위해서는 남북한의 정치 ‧ 경제 ‧ 사회체제 특징 속에서 동질적인 요소를 발굴해서는 안 되며, 문화적 특징, 특히 의식이나 관습 속에서 그것을 찾아내서 통일교육의 내용구성을 하여야 한다. 셋째는 통일교육의 방향성은 궁극적으로 남북한간 평화정착의 공존을 도모하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첫째, 정부의 통일에 대한 민족적 관심이 정책적 차원에서 정립되어야 한다. 둘째, 정부의 통일에 대한 중장기적 계획이 구체화되어야 하며 이는 실천을 통해 진행되어야 한다. 셋째, 남북관계는 상대가 있는 만큼, 일차적으로 남한 내의 국민들을 통합시켜나가는 프로그램을 국민들에게 강제와 일시적 현상이 아닌 중장기적으로 설득시켜 나가는 자세와 확고한 신념이 있어야 한다. 넷째, 통일문제는 거국적 차원에서 별도의 민족예산확보와 여야, 국민의 동의와 지지를 통해 발휘되어야 한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이승만 대통령의 국가기념일 활용에 관한 연구

        강정인(Kang, Jung In),한유동(Han, Yu Dong) 서강대학교 현대정치연구소 2014 현대정치연구 Vol.7 No.1

        이 글의 목적은 이승만 대통령이 국가기념일에 행한 연설을 분석함으로써 국가기념일이 ‘반공’국민 형성에 적극적으로 활용되었다는 사실을 밝히는 것이다. 이승만 정권은 6?25전쟁과 관련된 국가기념일을 제정함으로써 남한주민들에게 ‘반공주의’를 지속적으로 주입했다. 그리고 이승만 정권은 민족기념일인 삼일절과 광복절에 6?25전쟁의 경험, 즉 전쟁 당시의 공산주의자들의 만행을 상기시키면서 ‘반공’의식을 민족의식과 연결시켰다. 이를 통해 반공주의는 자연스럽게 남한주민들에게 내면화되었다. 결국 1950년대 국가기념일은 반공주의 담론이 핵심을 이루면서 ‘반공’국민을 만드는 국민의식(國民儀式)을 거행하는 날로 전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show that President Syngman Rhee used national memorial days to make South Korean people an anti-communist nation by designating and celebrating national memorial days. The Rhee regime continuously instilled anti-communism by designating specific days related to the Korean War as national memorial days. Furthermore, the regime added anti-Communist consciousness to national consciousness by reminding South Koreans of the Korean War experience, i.e., the North Korean Communist war atrocities, on preexisting national memorial days such as March First Movement Day and the National Liberation Day(August 15th), which had originally nothing to do with anti-communism. Anti-Communism was naturally absorbed and internalized among residents in South Korea by such maneuver. In sum, national memorial days which were celebrated in the 1950s and featured with anti-Communist discourses were converted into occasions to make an anti-communist nation with the observance of solemn national ritu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