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일어 유일어의 유일성 정도에 관하여

        정수정 한국독일어교육학회 2022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Vol.50 No.-

        In dieser Arbeit wird versucht, anhand der Auswertung vom DeReKo(Deutsches Refernykorpus) auf den Grad der phraseologischen Gebundenheit bzw. Unikalität von unikalen Elementen hin zu überprüfen. Dabei soll es beleuchtet werden, dass nicht alle bisher als unikal angesehene Wörter noch diesen Status beibehalten, und der Grad der Unikalität je nach Wort unterschiedlich sein wird. Unikale Elemente sind solche Wörter, die in der deutschen Gegenwartssprache nur im Konstituentenbestand eines Phrasems vorkommen und außerhalb eines Phrasems überhaupt nicht bzw. nur beschränkt auftreten. Die Korpusanalyse verdeutlicht, dass die Unikalia-Kandidaten hinsichtlich ihrer phraseologischen Gebundenheit sehr heterogen sind. Einige bisher als unikal angesehene Wörter weisen z. B. nur geringe Gebundenheit auf, sodass sie nichr mehr in diese Kategorie eingeordnet werden bzw. an deren Rand rücken. Hierher gehören beispielsweise Abschaum, Extrawurst, Denkzettel. Außerdem gibt es Wörter, die neu in diese Kategorie aufgenommen werden sollten, denn die Wörter besitzen einen hohen Grad der Gebundenheit, aber sie sind bisher als solche nicht entdeckt worden. Hierunter fallen z. B. Anbeginn, Anlehnung, vornherein. Korpusanalytisch lässt sich also eine graduelle Verteilung von stark phraseologisch bis hin zu fast kaum phraseologisch gebundenen Elementen feststellen.

      • KCI등재

        1930년대 어휘의 장과 문학어의 계발 - 어문운동의 맥락과 『문장강화』의 지향

        문혜윤 상허학회 2006 상허학보 Vol.17 No.-

        이 논문은 이태준의 『문장강화』를 중심에 두고, 1930년대 사회 언어의 장과 문학 언어의 장이 상호 교섭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1930년대는 근대계몽기로부터 이어져온 어문운동이 조선어문의 '근대화'를 알리는 중요한 결과물들을 속속 산출하던 시기였다. '조선어 사전'을 편찬해야 한다는 시대적인 당위에 따라, 사전 편찬의 선결 과제로서 맞춤법이 통일되고(1933), 표준어 사정(査定)이 이루어졌으며(1936), 외래어 표기 규정이 마련되었다(1940). '조선어'로 글을 쓰는 잎을 직업으로 삼았던 문학자들은, 전사회적인 관심의 대상이었던 어문운동에 직접 참여하거나 그것에 대한 의견을 빈번히 표명하면서 '조선어 사용'에 대한 예민한 의식을 유지하고 있었다. 이런 점에서 1930년대에 이루어진 문학적인 표현의 진전은, 이와 같은 시기에 나타난 사회어의 재편 문제와 관련지어 논의될 필요가 있다. 이태준의『문장강화』는 어문운동의 다양한 맥락들을 삽입하여 언어가 태생적으로 지니는 사회성을 고려하면서, 작가 개성의 표출로서의 문학 언어가 분화되는 지점을 예시하고 있는 텍스트이다. 이 논문은 특히, 어휘의 측면을 고려하였다. 『문장강화』가 드러내고 있는, 1930년대 조선어의 양상을 다음과 같이 살펴보았다. 먼저, 당시는 신어(新語)의 수입과 창조가 매우 활발하면서도, 상당히 과도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서양에서 수입된 어휘와 일본을 거친 새로운 한자 조어(造語)들이 유포되고 있었으며, 이와 동시에 기존의 한자어를 순 우리말로 바꾸거나 고어(古語)를 발굴하여 다시 사용하려는 시도가 공존하였다. 이태준은 조선어학회 인사들이 중심이 된, 신어 창조 활동이 '현대의' 조선 생활과는 맞지 않는다고 반대하면서, 수입된 어휘들에 대해서는 상당히 관대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는, 어휘가 생성, 성장, 소멸을 거치는 '생활품'이라는 점을 인식하고 있기 때문인데, 조선어 어휘의 인공적인 조정보다 자연스러운 유입을 인정하는 태도가 때로 과도한 외국어 취향까지를 용인하기도 하였다. 물론 이태준은 외국어의 남발은 안 되며, 생활을 적실하게 반영하는 '유일어'를 선택하기에 고심해야 한다고 말하지만, 조선의 '현대'가 가진 복합성이 이태준의 어휘관에도 반영되어 있다고 할 수밖에 없는 부분이다. 또한, 1930년대는 조선어문의 표준화에 대한 열망이 강했던 시대인데, 이태준은 표준어 사용을 어휘 선택의 중요한 기준으로 삼고 있다.『문장강화』에는, 서울말이 표준어가 되어야 하며 작가가 문장을 쓸 때는 반드시 표준어를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구절이 나온다. 그러나 표준어만으로 글을 써야 한다는 주장은 오히려 문학어의 가능성을 축소하는 것이었으므로, 표준어에 대한 자신의 강조와는 배치되지 않는 방법으로 '지문과 대화의 분리'를 시도하였다. 즉, 작가의 목소리인 지문에서는 표준어를 사용하지만, 인물들이 내뱉는 대화에서는 방언을 사용해도 된다는 것이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방언을 '의음(擬音)'으로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인물의 리얼리티를 살리기 위해 그의 말을 그대로 '베껴 적는' 것이지, 방언을 살리기 위한 의도는 아니라고 말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표준어를 사용해야 한다는 시대적인, 그리고 그 스스로가 부여한 당위에 거스르지 않으면서 문학적인 표현의 현실감을 살리는 방식을 고안한다. 이러한 방향은 어학적인 연구와 그 맥을 같이하... Focusing on Lee Tae-Joon's Mun-Jang-Kang-Hw(Lectures on Writing), this paper examines the ways in which the fields of social language and literary language interplay in the 1930's. The 1930's is characterized by the conspicuous results of Uh-Mun movements(Joseon language refinement movements) since the modern enlightenment age that show the 'modernization' of Joseon language. Specifically, the day is marked by the unification of Hangul spelling systems(l933) as a prerequisite for the compilation of a 'Joseon language dictionary', the establishment of the standard language(l936), and the formulation of rules for the transcription of loan words(1940), on purpose to publish a 'Joseon language dictionary.' Writing in 'Joseon language', many literati actively participated in Uh-Mun movements and presented their opinions on Joseon language refinement. In this context, the improvement of literary expressions in the 1930's can be related to the reorganization of social language as the outcome of contemporary Uh-Mun movements. Lee TaeJoon's Mun-Jang-Kang-Hwa investigated the social nature of language in the various contexts of Uh-Mun movements while showing how literary language, an expression of a writer's personality, branches from social language. Paying attention to vocabularies, this paper explores the interplay of social language and literary language in the 1930's. In his book, Mun-Jang-Kang-Hwa, Lee Tae-Joon analyzed the trends of the 1930's Joseon language as follows: To begin with, the import and invention of new words were prevalent in the 1930's. Words of Western origin and Japanized Chinese characters were current while trials for the Hangul-ization of existing Chinese characters and the reuse of archaic words coexisted. Lee Tae-Joon objected to activities for the creation of new words lead by the scholars of Jo-Seon-Uh-Hak-Wei(Joseon Language Society), in the sense that the new words are discrepant with 'modern' Joseon lifestyles. However, he was very lenient about imported words since he thought of a vocabulary as a 'product of life' in the process of creation, development, and extinction. In other words, he preferred the natural influx of foreign words to the artificial adjustment of Joseon words even though he criticized on the overuse of foreign words and suggested that writers choose a 'unitary word' to exactly reflect life world when employing a foreign word. As such, Lee Tae-Joon attempted to consider the complex aspects of 'modern' Joseon in his perspective on foreign words. Next, aspirations of standardized Joseon language distinguish the 1930's. In this context, Lee Tae-Joon underlined the use of the standard language. He proposed that Seoul language be considered as the standard language and writers use the standard language. Yet, he also understood that standard language-centered writing could reduce the functions of literary language. Therefore, he tried to divide 'conversational vs. nonconversational parts' for the purpose of harmonizing literary language with the standard language. Specifically, he asserted that personae's words, conversational parts, could include dialects whereas writers' voices, nonconversational parts, should be written in the standard language. Despite the division of 'conversational vs. nonconversational parts', however, he insisted on the priority of the standard language. In his view, dialects are considered as 'mimic sounds' copying personae's words in order to rescue their reality. That way, he thought out how to save the reality of literary expressions, in admitting the priority of the standard language. As mentioned above, Lee Tae-Joon tried to improve Joseon language literarily as well as linguistically, by analyzing the two trends of the 1930's Joseon language. He didn't distinguish the improvement of literary expressions from the refinement of vocabularies in general. In this respect, his perspective on vocabularies can be understood as a sort of the modern viewpoint 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