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新羅王京硏究와 慶州의 開發

        양정석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06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

        신라 왕경에 대한 연구는 일제강점기 이전의 전통시대에도 이미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근대적 의미의 면적에 대한 인식의 한계로 인해 더 이상 연구가 진행되기 어려웠다. 신라 왕경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地籍이라는 개념이 만들어지게 된 토지조사사업의 완료와 더불어 시작할 수밖에 없었고, 당시 조선총독부의 기사인 藤島亥治郞가 그 역할을 맡게 되었다. 이후 왕경에 대한 연구는 이때 만들어진 지적도 중심으로 이루어져 하나의 계보를 이루게 되는데, 이러한 연구에도 한계는 있을 수밖에 없다. 기본적으로 지적은 토지소유의 경계를 나타내는 수단일 뿐이기 때문에 경주가 왕경으로서의 역할이 폐기된 이후 지속적으로 변화해 온 개별지역의 소유와 경영의 변화과정과 더불어 그 외곽선도 변화하였다는 점은 파악하기는 어려운 것이다. 이러한 지형의 변화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이루어진 퇴적의 변화양상이기도 하며 체계적이고 본격적인 발굴조사가 필요한 이유이기도 한 것이다. 한편 1970년대에 들어서 경주관광개발계획과 그에 따른 경주시 종합개발사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관광개발계획을 진행하기 위한 여러 가지 연구가 이루어졌는데, 그 중 하나가 尹武炳의 논문이었다. 그는 당시 관광개발계획으로 초래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한 지적과 더불어 신라 왕경에 대한 새로운 복원안을 제기하였는데, 이는 이후 왕경에 대한 인식의 방향전환을 가져 왔다. 바로 統一期 신라 王京에 中國의 唐 長安城에 존재하였던 朱雀大路와 같은 南北大路가 존재하였다는 것이다. 이 연구 이후 신라 왕경 연구에 본격적인 계획(plan)개념이 들어오게 된다. 그러나 이 개념 중심의 연구에는 그러한 플랜이 발굴조사 등을 통해 실제적으로 확인되어야만 증명될 수 있는 문제점도 동시에 존재하였다. 플랜중심의 연구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은 동일한 관광개발계획아래에서 이루어진 황룡사지에 대한 전면적인 발굴조사가 마무리될 때부터 본격적으로 제기되었다. 이 조사에서 경주가 신라의 왕경이었던 시기의 도로유구가 확인되기 시작한 이래로 지속적으로 경주 전역에서 이루어진 개별적인 개발사업에 따른 발굴조사를 통해 왕경 시기의 도로유구가 다수 확인됨으로서 이전까지 지적도와 개념으로만 이해되어 오던 왕경의 실체가 조금씩 밝혀지게 되었다. 최근 들어서 지난 10여년간 발굴 조사되어 온 신라 왕경의 한 부분에 대한 성과가 『新羅 王京』 Ⅰ이라는 이름의 보고 서로 발간되었다. 이는 앞으로 도로중심으로 이해되어 온 기존의 왕경 연구를 그 내부에서 생활하였던 사람들에 대한 연구로 바꿀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현재 새롭게 시작하게 되는 ‘역사문화도시 경주만들기’ 사업은 이렇게 오랜 기간 동안 많은 과정을 거치면서 만들어진 신라 왕경으로서의 연구 성과와 그에 대한 인식을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지 기대와 걱정을 교차하게 한다. 이는 逆으로 바로 이전에 있어 왔던 다양한 개발 사업에 의해 경주지역의 유적이 어떻게 조사되고 보존되고 또는 훼손되었는지 그 과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이야기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를 통해 앞으로 지속적으로 있을 수밖에 없는 경주에 대한 각종 개발이 가져올 수 있는 왕경에 대한 변화, 변질, 혹은 훼손을 어느 정도라도 방지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There were also continuous development plans and projects on Gyeongju, the Capital of Shilla Kingdom before the current project for developing Gyeongju into a historic and cultural city. In their processes, man performed the surveys and researches of the Capital in general from a new perspective at each period. Specifically, the studies on the Capital of Shilla already began to be made in traditional eras before the Japanese colonial rule. In those days, it was, however, difficult to continue them due to the limited recognition of area in modern sense. Accordingly, a full-scale research was forced to be made with the completion of the land surveying project, which was implemented by Hujisima kaijiro, an engineer at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leading to the concept of land register. Based on the cadastral map, the studies of the Capital were made after then, forming a genealogy. However, this type of research could not be free from limits. Basically, the land register is only means to mark the boundaries of land ownership. It allows to grasp general circumstances easily, but not the fact that Gyeongju has changed in its external line in the change processes of ownership and management of individual regions that have continuously changed after Gyeongju did not play a role of the Capital. Such change is also the very one that has been made in accumulation with years. This is why we should make a systematic and full-scale examination as well. Meanwhile, the Gyeongju tourism development plan was pursued, followed by the ensuing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 of Gyeonju, with the advent of the 1970s. In this process, a number of studies were made to pursue the tourism development plan. One of them was written by Yun, Mu Byeong. He pointed out the problems that might be brought about by the tourism development plan, and proposed a new scheme for restoring the Capital at the same time. This resulted in the transition of recognition toward the Capital. According to Yun, there was a South-North Main street similar to the Main street(朱雀大路) in Chang an(長安), the capital of China's Tang Dynasty. His finding enabled the regular concept of plan to be introduced into the studies of the Capital. However, the studies based on the concept aroused a certain question of whether such plan had been really confirmed through excavation survey. Such question was fully raised from the time man finished the full-scale excavation survey of Hwangnyong Temple ruins that had been made under the same tourism development plan; the survey showed the structure remains of a road that had existed during the Capital's period. Since then, a large number of road structure remains of the same period were found at the relief steps through excavation against individual development projects throughout Gyeongju, thus making it possible to approach a little the realities of the Capital that had been understood only by means of cadastral map and concept. Such excavation results were systemized in Park, Bang Nyong's doctoral thesis. Recently, a report titled Shilla's Capital Ⅰ was published that contains the findings on a part of the Capital that has been excavated during the past 10 years. The report is expected to promote changing the existing road-oriented studies of the Capital into those of people inside the Capital. The current project of developing Gyeongju into a historical and cultural city makes one have expectation and worry over how it will change the long findings and recognitions about the Capital. Inversely, this makes it necessary to study how the remains in Gyeongju region have been examined, preserved and damaged by a variety of development projects. Such research will be able to prevent even a little any Capital's change, degeneration, or damage that may arise from various kinds of Gyeongju development projects that will never be interrupted in the future.

      • 신라왕경연구 Ⅱ - 왕실창고와 산성창고를 중심으로 -

        김호상,최진욱 경주사학회 2009 경주사학 Vol.0 No.30

        신라왕경연구는 신라사연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연구과제이지만 최근까지도 고고학적 연구결과에 중점을 둔 도시계획적인 측면에 치중·국한되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 결과 도시계획적 측면으로는 많은 부분에 있어 성과를 올린 것도 사실이나 왕경연구의 폭을 확대하지 못하였다는 한계점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본고에서는 그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신라왕경의 유지와 운영에 있어 반드시 필요한 요소였던 창고시설의 기능과 성격 등을 밝혀 조금이나마 신라왕경연구의 폭을 넓히고자 노력하였다. 특히 신라시대 전반적으로 모든 창고는 왕실의 권위에서 자유롭지 못했다는 사실과 왕경을 보호하는 주변 산성의 내부에 위치했던 입지를 통해 그 기능과 성격을 고찰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