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경상도 남해안지역 읍성의 축조수법

        나동욱(Donguck Na)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22 충청학과 충청문화 Vol.33 No.1

        조선시대 경상도 남해안지역에서 시・발굴조사 된 읍성의 체성 내벽을 중심으로 한 변화 과정과 부속 시설물로서 등성계단의 축조수법을살펴보았다. 이 지역에서 조사된 대부분의 읍성은 조선 태종조에서 연산군조에 걸쳐 축조된 것이다. 세종조를 전후한 시기의 읍성은 세종 20년(1438)에반포된 「축성신도」와 세종 25년(1443) 이보흠의 「축성신도」를 보완한내용과 근사한 것으로 조선시대 읍성과 수군진성의 축조에 기본이 된것으로 이해된다. 이보흠의 「축성신도」의 보완 내용에서 알 수 있듯이 읍성의 석축화과정에서 도성의 축조기법에 의하여 축조할 것을 건의한 바 있다. 비록세부적인 축성수법에 있어서는 다소간의 차이가 인정되지만 「축성신도」반포 이전인 태종 17년(1417) 축성된 하동읍성이나 울산 경상좌도병영성의 남벽 조사에서 체성의 면석 내부를 층단식 석축으로 뒤채움 한 것이 조사되었다. 따라서 현재까지 남해안지역 읍성의 발굴조사 결과를 통해 보면 조선초부터 도성의 체성 축조기법과 같이 지방 읍성의 체성 내벽도 「축성신도」의 내용처럼 층단식 석축으로 축조하였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세종년간에 축조한 창원 합포성지・거제 사등성지・창원 웅천읍성 등의 발굴조사 결과 축성신도의 규식에 충실한 층단식 석축 뒤채움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사천읍성에서는 축성신도의 보완책에 부합하는 층단식 석축뒤채움 안쪽으로 토사를 경사지게 덮은 성벽도 조사되었다. 그리고 웅천읍성(단종 1년(1453) 증축) 동남벽, 거제 고현읍성(문종 원년(1451))북벽, 울산 언양읍성(연산군 6년(1500)) 북벽 등의 발굴조사를 통하여내벽 안쪽을 토사로 경사 내탁하는 기법은 동일하나 체성의 내벽 뒤채움 구조가 기존 층단식 석축에서 수직상의 석축으로 바뀌었음을 알 수있었다. 이러한 경상도 남해안지역 읍성의 체성 내벽 축조기법은 동래읍성(영조 7년(1731))이나 통영성지(숙종 4년(1678)) 등을 통하여 체성외벽의 지대석이 시공되지 않고 체성 면석 안쪽에 일정한 너비로 잡석을 채우고 토사로 적심을 채우는 기법으로 변화되어 가고 있음을 알 수있었다. 따라서 조선후기에는 체성 축조기법에 큰 변화가 있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한편, 하동읍성과 거제 사등성지에서는 부산 천성진성등의 내벽에서 성상부로 연결되는 등성계단이 확인되었다. This thesis deals with construction method of affiliated staircases oftrial-excavated and excavated eupseongs(邑城s, town walls) in southcoastal region of Gyeongsangdo province in Josun dynasty, concentratingon transition process of the inner wall. Most of the eupseongs(邑城s) investigated in the southern coastal regionof Korea were constructed during Taejong dynasty and Yeonsan-gundynasty in Josun(朝鮮). Fortresses built around Sejong dynasty show theconstruction methods similar to those written in 「Chukseongsindo (築城新圖)」, published in 1438(20th year of King Sejong’s reign) and what LeeBoheum(李甫欽) supplemented in 1443(25th year of King Sejong’s reign),which means these methods became fundamental instruction in buildingeupseongs and jinseongs(鎭城s) in Josun dynasty. As presented in Lee Boheum’s supplement, he proposed applying const-ruction method of the capital walls to stonification of the eupseong walls. Even though some differences could be found in detailed constructionmethod, terraced afterfilling of the surface stone of the wall was found inHadong-eupseong and southern wall of the Barrack of GyeonsangjwadoProvince in Ulsan. Therefore, as shown in excavation results of eupseongs in the southerncoastal region of Gyeongsangdo province, inner walls of the provincialeupseongs are built in terraced stonework system based on 「Chukseong-sindo」 like the capital walls in Early Josun dynasty. Especially, terracedmasonry afterfilling, which fairly reflects the rules and forms of 「Chuk-seongsindo」, is found in excavation of Hap-poseong Site, Ungcheon-eupseong in Changwon, Sadeungseong Site in Geoje, which are bulit in King Sejong’s reign. Moreover, walls to which supplementary measuressuggested in 「Chukseongsindo」 are applied like Sacheon-eupseong havebeen investigated. Finally, it came out that structure of the inner walls arechanged from terraced masonry afterfilling to method in which one side isupright masonry and another is slantly filled soil and stone as shown insome eupseongs like southeast wall of Ungcheon-eupseong, which wasextended in 1453(1st year of King Danjong’s reign), Gohyeon-eupseongbuilt in 1451(1st year of King Munjong’s reign) and Eonyang-eupseong inUlsan built in 1500(6th year of Yeonsan-gun). Meanwhile, staircases arefound in Hadong-eupseong and Sadeungseong. In addition, wooden pillarsinstalled in moats was found in Ungcheon-eupseong and Gohyeonseong. The Masonry method of inner walls of the southern coastal fortresses ofGyeongsangdo province shows large alteration in the late Josun Dynasty:it changes to a method of filling soil and stones to some extent behind the surface stone wall instead of setting up foundation stones on the outer wall, which can be found in Dongnae-eupseong constructed in 1731(7thyear of King Yeongjo’s reign) and Tongyeongseong site constructed in1678(4th year of King Sukjong). Meanwhile, staircase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wall are found in Hadong-eupseong and Geoje Sadeung-seong site.

      • KCI등재후보

        경상도 남해안지역 읍성의 축조수법

        나동욱 (재)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22 충청학과 충청문화 Vol.33 No.-

        조선시대 경상도 남해안지역에서 시・발굴조사 된 읍성의 체성 내벽을 중심으로 한 변화 과정과 부속 시설물로서 등성계단의 축조수법을살펴보았다. 이 지역에서 조사된 대부분의 읍성은 조선 태종조에서 연산군조에 걸쳐 축조된 것이다. 세종조를 전후한 시기의 읍성은 세종 20년(1438)에반포된 「축성신도」와 세종 25년(1443) 이보흠의 「축성신도」를 보완한내용과 근사한 것으로 조선시대 읍성과 수군진성의 축조에 기본이 된것으로 이해된다. 이보흠의 「축성신도」의 보완 내용에서 알 수 있듯이 읍성의 석축화과정에서 도성의 축조기법에 의하여 축조할 것을 건의한 바 있다. 비록세부적인 축성수법에 있어서는 다소간의 차이가 인정되지만 「축성신도」반포 이전인 태종 17년(1417) 축성된 하동읍성이나 울산 경상좌도병영성의 남벽 조사에서 체성의 면석 내부를 층단식 석축으로 뒤채움 한 것이 조사되었다. 따라서 현재까지 남해안지역 읍성의 발굴조사 결과를 통해 보면 조선초부터 도성의 체성 축조기법과 같이 지방 읍성의 체성 내벽도 「축성신도」의 내용처럼 층단식 석축으로 축조하였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세종년간에 축조한 창원 합포성지・거제 사등성지・창원 웅천읍성 등의 발굴조사 결과 축성신도의 규식에 충실한 층단식 석축 뒤채움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사천읍성에서는 축성신도의 보완책에 부합하는 층단식 석축뒤채움 안쪽으로 토사를 경사지게 덮은 성벽도 조사되었다. 그리고 웅천읍성(단종 1년(1453) 증축) 동남벽, 거제 고현읍성(문종 원년(1451))북벽, 울산 언양읍성(연산군 6년(1500)) 북벽 등의 발굴조사를 통하여내벽 안쪽을 토사로 경사 내탁하는 기법은 동일하나 체성의 내벽 뒤채움 구조가 기존 층단식 석축에서 수직상의 석축으로 바뀌었음을 알 수있었다. 이러한 경상도 남해안지역 읍성의 체성 내벽 축조기법은 동래읍성(영조 7년(1731))이나 통영성지(숙종 4년(1678)) 등을 통하여 체성외벽의 지대석이 시공되지 않고 체성 면석 안쪽에 일정한 너비로 잡석을 채우고 토사로 적심을 채우는 기법으로 변화되어 가고 있음을 알 수있었다. 따라서 조선후기에는 체성 축조기법에 큰 변화가 있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한편, 하동읍성과 거제 사등성지에서는 부산 천성진성등의 내벽에서 성상부로 연결되는 등성계단이 확인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