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國漢 混用文 聖經의 定着 過程 -『簡易 鮮漢文 新約聖書(1913/1936)』를 중심으로

        유경민 국어사학회 2011 국어사연구 Vol.0 No.13

        본고에서는 한국어 번역 성경 중 國漢 混用文 聖經을 크게 두 유형 세 계열로 나누고, 먼저 이들의 간행 역사와 교체 과정을 정리한다. 이후 자료 조사 과정에서 새로 발견된 대한성서공회 소장의 『簡易 鮮漢文 新約聖書(1913/1936)』를 상세히 소개하고, 이 자료를 기존의 『新約全書 국한문(1906)』과 『簡易 鮮漢文 新約 改譯(1940)』 및 『簡易 國漢文 新約全書 改譯(1956)』과 대비하여 초기 국한 혼용문이 현대적 국한 혼용문으로 교체되는 과정에 새롭게 발견된 ‘簡易 鮮漢文 舊譯’ 계열의 자료가 미친 영향과 그것이 지니고 있는 국어사적 의의를 밝히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연구 대상으로 삼은 국한 혼용문 성경들의 저본 및 초간 연대와 관련된 문제를 정리한다. 2장에서는 국한 혼용문 성경의 간행사 및 보급과 관련된 문제를 다룬다. 우선 새로 발견된 『簡易 鮮漢文 新約聖書(1913/1936)』와 관련 자료들의 검토를 통해 ‘簡易 鮮漢文 舊譯’ 계열의 최초본 성경의 간행 시기가 앞당겨져야 할 것과 이 성경이 한국어 성경 번역사에서 지니는 위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두 유형의 국한 혼용문 성경을 세 계열로 나누어 국한 혼용문 성경의 간행사와 간본별 특징을 현존본들을 중심으로 정리한다. 3장에서는 국한 혼용문 성경의 교체 과정을 세 시기로 나누어 살펴본다. 특히 한글 전용문을 국한 혼용문으로 다시 쓰는 방식과 국한 혼용문의 유형적 변화를 『新約全書 국한문(1906)』, 『簡易 鮮漢文 新約聖書(1913/1936)』, 『簡易 鮮漢文 新約 改譯(1940)』의 대비를 통해 설명한다. 4장에서는 『簡易 鮮漢文 新約聖書』(1913/1936)를 중심으로 한 ‘簡易 鮮漢文 舊譯’ 계열 성경의 간행과 보급이 지니고 있는 국어사적 의의를 검토한다. Korean Bibles in mixed scripts (i.e. using both native script Hangul and Chinese characters Hanja) can be categorized into two types and three series. Two types are Mixed script (國漢文) and Easy mixed script (簡易 國/鮮漢文), and three series are New Testament(NT henceforth) in Mixed Script (1906 version) (『新約全書 국한문 (1906)』), NT in Easy Mixed Script (Old Translation) (1913/1936 version) (『簡易 鮮漢文 新約聖書(舊譯) ( 1913/1936)』), and NT in Easy Mixed Script Revised Translation (1940 version) (『簡易 國漢文 新約全書 改譯 (1940)』). The aim of this paper (Section 1) is twofold. One is to trace the history of translations and publications of Korean Bibles in mixed scripts, and the other is to appreciate the role of NT in Easy Mixed Script (Old Translation version) in the evolution and settlement of writing systems in mixed scripts. In Section 2, two newly found versions of NT in Easy mixed script are introduced and it is argued that the date of first publication of NT in Easy Mixed Script should be pushed back to 1913. By closely examining the historical records, I rearrange the existing versions of Korean Bibles in mixed scripts. In Section 3, I investigate and trace the changes in mixed scripts employed in translating the Bible into Korean. The principles two types of Mixed-Script in re-writing the Hangeul text into texts mixed-script were compared and it is argued that the principle of re-witing in Easy Mixed Script has much influences on the writing system of modern mixed script. In Section 4,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NT in Easy Mixed Script (Old Translation version) is discussed.

      • KCI등재

        초기 한국어 성경의 저본 판정을 위한 성경 서명의 음역어 대비 연구

        유경민(Yu, Kyung-min) 한국언어문학회 2021 한국언어문학 Vol.116 No.-

        I show how early Protestant missionari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vernacular grammar and styles during a time of flux in Korean languages. At the time, in the late 19th to early 20th centuries, Korean languages were undergoing a variety of changes due to changes in the social structure, the popularisation of Korea’s indigenous alphabet Hangeul. Since the original Bible was written, the Bible has been continuously translated, revised and retranslated by period and language. Words and styles are being refined so that more people can read them more accurately in various cultures. The Bible is a language source consisting of 929 chapter 23,214 verse in Old Testament books 39 and 260 chapter 7959 verse in New Testament books 27. The New Testament alone is a text of about 130,000 words, and one original text is translated into languages around the world. This study explores the Korean Orthography of Loanwords in the Bible. The names of 66 books in the Bible have many Transliteration, especially related to names of people or places. So, it became the subject of my study on the Transliteration of the Bible. In the case of the Korean Bible, the names of 66 books have been unified since 『셩경젼셔 개역』(1938). However, Transliterations were written differently in previous translations. What is clear is that Loanwords in the Bible are always written only in Hangeul even in the Hybrid Script of Korean and Chinese. So, I will examine how the Korean Bible accepted the notation of the Original text or the Source Text, focusing on the early translation, and explain how the Orthography of Loanwords in the modern Korean Bible was established. However, it should be kept in mind that there are cases in which the proper nouns in the table of contents and the proper nouns in the actual text are not consistent. The results of the study of the Transliteration of the Bible are used as a criterion for judging the Source Tex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