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태윤리적 가치 형성을 위한 도덕교육

        이종흔 ( Jong Heun Lee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1 윤리교육연구 Vol.0 No.24

        오늘날 현실적 당위성, 이론적 정합성, 그리고 실질적 타당성을 갖춘 도덕교육이 강력히 요청되고 있다. 근대 도덕교육이 인간 중심적인 가치를 토대로 했었다면 앞으로는 생태윤리 기반의 도덕교육이 요구되고 있다. 새로 모색되어야 할 도덕교육은 인간만이 아니라 생태의 고유한 가치도 인정하는 가치관, 자연관, 세계관을 지향해야만 당면한 생태위기의 극복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점에서 도덕교육에 대한 생태윤리적 접근은 어느 다른것보다 유용한 함의를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는 물론이고 미래의 도덕교육에서 지향해야 할 가치 패러다임은 인간과 자연의 통합적 모델이 될 것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생태윤리의 관점을 준거로 삼아 근대 인간중심적 환경윤리와 대비적으로 분석하고, 나아가 생태가치 지향적 도덕교육을 모색하는데 있어 어떤 철학적, 개념적, 교육적 의미를 지니고 토대가 될 수 있는지 고찰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인간 본위적 자연관과 생태가치 중심적 자연관의 대비적 비교를 통해 생태 윤리적 도덕교육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다음으로, 생태 윤리적 가치형성을 위한 도덕교육의 목표를 설정하는데 있어 생태윤리는 어떤 직접적인 함의를 지니는지 분석하였다. 끝으로, 생태적 합리성, 문해력, 지행합일이 생태가치 지향적 도덕교육의 구성요소로서 어떤 의미를 지니며, 또한 어떤 기능을 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There is being asked for the moral education which furnishes a real praxis, a theoretical compact, and a practical warranty according to becoming deep globalization based on knowledge and information. In fact, as the human being centered ethics and method of the modern liberalistic moral education is a reflection of circumstance demands to a establishment and realization of a certain value, the approach of ecological ethics to moral educaion is also a accomplishment of a theoretical investigation and behavioral praxis to overcome a ecological crisis. By going to the ecological monism between human being and nature based on a reflection on a real value, a moral education directed to future has to contribute on overcoming a confronted ecological crisis. The value paradigm to which the current moral education direct should be an incorporated model between human being and nature. Therefore,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modern human centered ethics and the liberalistic education, there are researched an educational methodical meaning that the moral education directed to the ecological ethics can has in the paper. In detail, firstly,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modern human centered nature viewpoint and the ecology value centered nature viewpoint, there was discussed a necessity of moral education in the ecology ethics. Secondly, there were studied what kinds of implications have the ecological ethics in establishing a goal of moral education to form an ecological value. Finally, there were studied what kinds of roles can the ecological rationality, the ecological literacy, the unity between knowledge and behavoir play as the constituents moral education directed to ecological value.

      • KCI등재

        행복경제학적 분석을 적용한 인간중심적 자연관과 생태중심적 자연관의 비교

        조승헌 ( Seung Hun Joh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8 환경정책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경제적 가치와 환경가치를 유기적으로 결합시키는 행복경제학적 접근을 적용하여 자연관과 효용의 관계를 비교하고자 한다.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항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본 분석에서는 자연관에 따라 행복함수 형태가 다르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인간중심적 자연관``의 가치체계는 경제가치중심이며 환경, 신뢰와 같은 비물질가치 요소가 무시할 정도로 낮은 것임을 통계적 유의도를 통하여 알 수 있다. 둘째, ``생태중심적 자연관``은 경제를 포함한 환경, 사람신뢰를 동시에 고려하는 중층적 가치체계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들의 가치체계에 따르면 인간의 편의와 경제적 가치에 치우친 행위는 행복극대화 관점에서 합리적이지 않다는 점을 분석 결과에서 알 수 있다. The goal of current study is to carry out comparative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perspectives and their corresponding utilities by taking integrated approach combining economic values with environmental on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mpirical evidence shows that the structures of happiness function differ according to nature perspectives. The anthropocentric-nature perspective is centered on economic value. Whilst, environment and social trust play an statistically insignificant role in deciding happiness levels. Secondly, the eco-centric perspective possesses a multi-facted structure of happiness function composing of income, environment, and social trust. In this vein, it is no reasonable behavior, from happiness maximization view, to focus on economic value vis-a-vis use val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