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DECO-DCC 모형을 통한 조건부 상관성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최완수 한국재무학회 2012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08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코스피시장과 코스닥시장의 주요 산업지수를 대상으로 한 포트 폴리오에 대해 Engle and Kelly(2008)가 제시한 DECO-DCC 모형을 통해 동적 동상관계수 를 추정하고, 동적상관의 특성과 이를 결정하는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동적 동상관을 결정하 는 요인으로 사용된 변수 중 비대칭 시장반응()과 코스피지수 수익률의 변동성( )의 두 변수가 모두 산업별 지수포트폴리오 수익률의 상관성 수준에 정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경기순환주기 상의 경기침체상태를 나타내는 가변수와 주식시장 하락국면(bear market)을 나타내는 가변수는 동적 상관성의 수준에 유의적인 영향을미치지 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양 시장 모두 동 시기 종합주가지수의 변동성이 커지면 커질수록 동적 상관성이 높 아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시장 변동성이 클수록 포트폴리오의 상관성 수준이 높은 것은 아니다. 변동성이 낮은 시기에도 상관성의 수준은 그다지 낮게 형성되지 않으며, 반대로 변동성이 높다고 해서 반드시 상관성 수준이 높아지는 것은 아니다. 특히, 2001년 IT버블과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비교하면 변동성 은 후자가 더 높지만 상관성 수준은 오히려 IT버블 시기에 더 높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상 관성의 수준은 예를 들어 경기순환국면이나 주식시장 국면 등과 같은 특정 시기와 관련 없 이 항상 일정한 밴드 내에서 동적으로 변화한다. 즉, 특별히 상관성 수준이 높은 기간과 낮 은 기간을 명확히 구분하기가 매우 어렵다. 이는 소위 ‘상관성의 구조적 단절’(correlation breakdown)현상이 적어도 본 연구표본의 경우에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 으로, 상관성의 수준은 일정한 수준으로 회귀하는 경향이 있으나 변동성의 급격한 증가로 나타나는 외부의 거대한 충격(extreme shock)이 발생하면 상당히 급격하게 변동하는 것으 로 보인다. 단, 이러한 충격은 일시적인 영향에 그치고 산업간 상관성은 다시 원래의 평균수 준으로 회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 KCI등재

        케이프사이즈와 파나막스 시장간의 비대칭 시간가변 파급효과에 관한 분석

        정상국(Sangkuck Chung) 한국항만경제학회 2011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27 No.3

        이 연구는 케이프사이즈 시장과 파나막스 시장간의 비대칭 시간 가변 파급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조건부 평균에 전통적인 공적분항과 부분공적분항을 고려하고 있고, 조건부 분산에 레버리지 효과를 고려한 고정상관관계 GARCH와 동적상관관계 GARCH 모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시장간의 선-후행관계에 대해서 부분공적분항을 고려한 결과로부터 전기의 케이프사이즈 가격은 파나막스 시장가격에 유의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일반적인 공적분항을 고려하는 경우 두 시장간의 선-후행효과는 모두 유의적으로 정(+)의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두 시장간의 장기적인 균형관계가 성립하지 않는 경우, 개별시장은 어떻게 반응하는가를 나타내는 오차항의 계수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적이고, 케이프사이즈 시장에서는 모두 음(-)의 값을 가지고 파나막스 시장의 경우에는 모두 정(+)의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두 시장간의 변동성의 파급효과에 대해서는 모든 모형에서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넷째, 레버리지 효과는 케이프사이즈 시장에서는 모두 유의적으로 정(+)의 값을 가지나, 파나막스 시장에서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그러나 두 시장 모두에서 비대칭의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interrelationships in daily returns using fractionally integrated error correction term and volatilities using constant conditional correlation and dynamic conditional correlation GARCH with asymmetries between Capesize and Panamax markets. Ou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fractionally cointegrated error correction model. there is a unidirectional relationship in returns from the Panamax market to the Capesize market, but a bidirectional causal relationship prevails for the traditional error correction models. Second, the coefficients for the error correction term a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Of particular interest are the signs of the estimates for the error correction term, which are all negative for the Capesize return equation and all positive for the Panamax return. Third, there are bidirectional volatility spillovers between both markets and the direction of the information flow seems to be stronger from Panamax to Capesize. Fourth, the coefficients for the asymmetric term are all significantly positive in the Capesize market, but the Panamax market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However, the coefficients for the asymmetric term are all significant, implying that the leverage effect does exist in the Capesize and Panamax markets.

      • KCI등재

        WTI 원유시장과 주식시장간의 동학적인 상관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김성기(Seong-Ki Kim),김중윤(Joong-Yun Kim),정상국(Sang-Kuck Chung) 한국산업경제학회 2012 산업경제연구 Vol.25 No.6

        이 연구는 WTI 기준 국제유가시장과 각국 주식시장간의 비대칭 시간 가변 파급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조건부 평균에 전통적인 공적분항과 부분공적분항을 고려하고 있고, 또한 조건부 분산에 레버리지 효과를 고려한 고정상관관계 GARCH와 동적상관관계 GARCH 모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기기억을 나타내는 모수의 추정치는 모든 국가와 모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적이었다. 둘째, 두 시장 간의 장기적인 균형관계가 성립하지 않는 경우 개별시장은 어떻게 반응하는가를 나타내는 오차항의 계수는 독일, 영국, 일본의 경우에는 부분공적분을 고려한 모형의 경우 WTI 유가시장에서, 나머지 홍콩, 중국, 한국의 경우 고려하고 있는 모든 모형의 경우 WTI 유가시장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셋째, 두 시장 간의 변동성 파급효과를 나타내는 계수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레버리지 효과는 주식시장에서는 모두 유의적으로 정(+)의 값을 가지나, WTI 유가시장에서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그러나 두 시장 모두에서 비대칭의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interrelationships in daily returns using fractionally integrated error correction term and volatilities using constant conditional correlation and dynamic conditional correlation GARCH with asymmetries between oil and stock markets. Our findings are in orders. First, the long memory parameters, d, vary from 0.1176 to 0.4553 for all models considered and a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Fractionally integrated processes exhibit long memory and generate very slow decay in the impulse-response weights in individual markets. Second, the coefficients for the error correction term a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the oil market of Hongkong, China, and Korea, but are significant only in the model with fractionally cointegrated error correction terms for the oil market of the other three countries. Of particular interest are the signs of the estimates for the error correction term, which are all negative for the oil markets, implying that when the oil price is too high relative to the stock price the current oil price will be adjusted downward to meet the long-run equilibrium relationship. Third, for the asymmetric specifications there are bidirectional volatility spillovers between both markets and the direction of the information flow seems to be stronger from stock to oil. Fourth, the coefficients for the asymmetric term are all significantly negative for both markets, but the oil market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for all models. However, the coefficients for the asymmetric term are all significant, implying that the leverage effect does exist in the oil and stock marke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