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황상준(Hwang, Sang Ju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8 佛敎學報 Vol.0 No.82
불교는 깨달음을 추구하는 종교이다. 불교의 시작은 석존의 깨달음으로부터 비롯되었다는 사실과 함께 그 목표도 석존이 깨달은 진리의 구현에 있기 때문이다. 근현대 한국불교 속에서 천태종 중창을 이뤄낸 박상월(朴上月, 1911-1974)에 의하여 전개된 불성개현사상(佛性開顯思想)은 한국불교의 유구한 흐름 위에서 펼쳐진 또 하나의 깨달음 운동이며 진리구현의 모습이다. 본 논고의 목적은 상월의 불성개현사상과 대한불교천태종의 그 실천에 대한 고찰이다. 더불어 근현대 한국불교계의 상황 속에서 그 의의를 조망함으로써 상월이 주창한 불성개현 사상의 가치를 드러내고자 한다. 스스로 깨달은 정법에 의한 법력과 원력으로 상월은 당시의 암울한 불교계의 상황 속에서도 민중을 위해 불성개현운동을 펼치고자 했다. 상월의 불성개현사상의 중심은 법화천태교관(法華天台敎觀)과 관음신앙(觀音信仰)을 중심으로 한신대승불교의 일환으로 기존의 불교에서 대중불교와 생활불교로의 전환이다. 상월의 실천수행과 교화행을 통한 천태종의 불성개현운동은 신행 중심축 이동에 의한 운동으로 한국불교 신행사(信行史)에서 매우 큰 의미가 있다. 승려와 일부 수행자의 전유물로만 인식되던 수행과 성불의 실천본원(實踐本願)의 중요성을 일깨웠으며, 실생활과 유리된 채 홀로 지향하던 승원불교(僧院佛敎)를 생활불교로 회귀시켰다. 상월은 천태종 중창이후 열반에 들 때까지 출 ․ 재가를 막론하고 구인사를 찾는 모든 대중들에게 불성(佛性)의 자각과 개현에 관한 교화를 펼쳤으며, 유훈(遺訓)으로 발보리심(發菩提心)할 것을 천태종도들에게 당부하였다. 그리고 법회의식(法會儀式)을 통한 출 ․ 재가불자의 불성개현에 대한 자각과 관음주송(觀音呪誦)을 통한 실천수행법의 제시는 기존 전통의 불교와는 차별화된 것이다. 상월의 불성개현사상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스스로 깨달은 정법에 바탕을 둔 실천수행법을 제시하였다. 둘째, 천태종도의 불성개현을 위한 천태종의 신행체제의 확립이다. 셋째, 불교신행활동과 생활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는 생활불교의 정착이다. 끝으로 불교의 근본목적인 불자들의 깨달음 추구를 위한 실제적인 방편을 제시한 것이다. 상월의 중생구제 서원과 깨달음은 불교의 근본정신으로 돌아가 석존이 깨달은 진리를 오늘의 현대사회에 되살리기 위한 종교 구원사적 의미를 지닌다고 말할 수 있다. 상월의 불성 개현사상은 불교의 본래 모습과 달리 왜곡되었던 이 시대의 불교를 새롭게 혁신한 신대승불교운동의 시작이자 현재 한국불교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Buddhism is a religion that pursues enlightenment. This is because the beginning of Buddhism comes from the truth that the Buddha realized, and the goal is the realization of the Buddha.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Sangwols thought on the manifestation of the Buddha nature is invaluable, and it is said that Sangwols thought is another movement for the Buddhists enlightenment in contemporary Korean Buddhist society. This present study focuses on both Sangwols thought on the manifestation of the Buddha nature and its practice of the Cheontae Order of Korean Buddhism. In addition, I would like to express the value of Sangwols thought by looking at its significance in the context of the modern Korean Buddhist system. Sangwol does not rely on the Korean traditional Buddhist Sangha, but rather, he built a new Buddhist order, which is based on his own enlightenment and Dharma power to guide all sentient beings in finding the manifestation of the Buddha nature even though Korean Buddhism looked away and pretended not have noticed their aspiration for the enlightenment in the situation of the gloomy Buddhist period of that time. Sangwols thought on the manifestation of the Buddha nature is the conversion from the existing Buddhism to the Popular Buddhism and the Daily Life Buddhism as a part of the New Mahayana Buddhism centered on both Cheontae Buddhism and the Avalokitesvara cult. This paradigm shift in the Buddhist faith system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It is a quite different feature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Korean Buddhist order. Sangwol theory of the awareness of the Buddha nature is that all sentient beings have it, and he revealed the Buddha nature to all Buddhists in the Cheontae Order since he reestablished the Order and left instructions as a great inspiration of the earnest aspiration to attain enlightenment. They faithfully followed their dharma teachers instruction by the Dharma ceremony, Daily Life Buddhism, and invoking the name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The awareness of the manifestation of the Buddha nature through Buddhist rituals and the presentation of Buddhist practice through the practice of Buddhism is different from traditional Korean Buddhism. Sangwols thought on the manifestation of Buddha natur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angwol suggested a practice method based on his own enlightenment and Dharma power. Second, he established the Cheontae Orders new mechanism for enlightenment as the practice of faith. Third, it is in the settlement of Daily Life Buddhism that Buddhist new activity and life can be achieved together. Finally, it is a practical way to pursue the enlightenment of the Buddha, which is a fundamental Buddhist goal. Sangwols thought, the manifestation of the Buddha nature, is the beginning of the new Buddhist movement because of the gloomy Buddhist period of Modern Korean Buddhism and presently his thought reveals the direction that Korean Buddhism should take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