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예비평가 이헌구의 번역가와 교육자로서의 면모

        김미영(Kim MeeYo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8 외국문학연구 Vol.- No.70

        그동안 문학인 이헌구에 관한 논의는 임화 등과 벌인 해외문학파 논쟁에 집중되어 왔다. 간혹 불문학을 전공한 그의 번역관을 김억 등의 그것과 비교한 연구도 있었고, 극예술연구회와 관련된 논의도 더러 있었다. 하지만 소천 이헌구의 진면목은 한국전쟁 이후 1960년대 중반까지 그가 이승만 정권의 반공문화전선 수장으로서 우편향의 문화논리를 이끈 데 있다. 이 핵심적 활동에 관한 연구가 그간 이헌구 론에서 소홀히 여겨져 왔다. 한국전 이후 그는 문학평론가보다 문화활동가, 수필가, 번역가, 교육자로 활동했다. 온전한 이헌구 론을 위해서 한국전쟁 이후 출간한 그의 수필집과 번역작들, 교육자로서의 활동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거기에 투영된 문화관과 현실인식이 우파 정치문학의 탄생을 가능케 했기 때문이다. 결론을 약술하면, 그의 많지 않은 번역문은 프랑스 상징주의 시와 릴케의 시, 청소년을 독자로 한 성장소설과 연애소설류의 소품들로, ‘탈(脫)정치적’이라는 공통점 외에 그의 문학적 취향이 ‘무색무취’하다 할 수 있다. 여대에 27년간 봉직한 여성교육자로서 그는 성별화된 전근대적 성인식을 극복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전체적으로 보수적인 그의 성향은 문총에서 예총으로 이어지는 1950~60년대 남한 문화예술계의 리더로서 ‘반공문학’을 주창한 사실과 일맥상통한다. 수필들에서 그는 일제강점기에 조선과 조선문단의 빈약함에 절망하였고, 전공인 불문학에 기초해 프랑스 혁명의 바탕인 ‘자유’의 추구를 지향하였으나, 죽음의 공포와 아들을 잃은 6.25체험을 계기로 그의 모토인 ‘자유’는 저항적 맥락은 상실한 채 ‘반공’이란 단성적 진영테제로 변질되어 갔다. 이런 이헌구의 사례는 탈정치와 정치의 길항관계 속에서 이념의 시대를 산 보수적 지식인의 행로를 극명하게 보여준다. Lee Heongu was a critic, essayist, translator and educator. But most of the studies on his works had focused on his criticism of ‘the debating of Hewyumoonhakpa’. His prestige was built on his official post as the head of the anti-communist cultural arts associations in south Korea after 6.25. His thoughts of arts in 1950~1960’s could be found in his essays and activities as a translator or an enlightenment educator. All of his works are revealed to be of conservative nautre. After 6.25, the meaning of liberty from the French Revolution in 18th~19thcentury had been changed to mean ‘anti-communism’, so he could be elected as a head of the conservative right wing in political literature. The life and arts of Lee can be seen as a showcase of the rivalry relationships between political literature and the anti-political literature because he had insisted on anti- political literature against KAPF in the 1930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