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개열 아동의 자음정확도, 말 명료도 및 말 용인도 간의 상관연구

        한진순(Jin Soon Ha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4 No.2

        배경 및 목적: 조음장애에 대한 임상적 의사결정에는 자음정확도 외에 의사소통의 효율성에 대한 지표도 포함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구개열 아동의 문장발화에 대해 산출된 자음정확도, 말 명료도 및 말 용인도가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방법: 연령을 일치시킨 구개열 아동, 기능적 조음장애 아동, 일반 아동 각각 9명에게 8음절문장 7개를 따라 말하게 하여 63개 문장 발화의 자음정확도를 산출하였다. 그 다음, 문장 발화를 무선화하여 청취자료로 제작한 뒤 일반인 청취자 40명에게 들려주고 시각적 아날로그 척도를 사용하여 말 명료도와 말 용인도를 평정하게 하였다. 이후 전체 문장, 문장 유형별, 자음정확도, 말 명료도 및 말 용인도 수준별로 산출된 자음정확도, 말 명료도 및 말 용인도 간의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전체 문장에서 판정된 자음정확도와 말 명료도, 자음정확도와말 용인도, 그리고 말 명료도와 말 용인도 간의 상관은 세 아동 집단에서 모두 유의하였다.문장의 유형을 구분하여 자음정확도와 말 명료도, 자음정확도와 말 용인도의 관련성을 분석한결과, 각 집단별로 유의한 상관을 보인 문장 유형은 다르나 대체로 혓소리와 발달상 늦게습득되는 자음 문장에서 상관이 유의하였다. 자음정확도, 말 명료도 및 말 용인도의 수준에 따라 세 변인 간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대체로 말 명료도와 말 용인도 간의 상관 외에는유의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문장발화에서 판정된 자음정확도가 높을수록 말 명료도와말 용인도도 높게 평가될 수 있다. 자음정확도 외에 말 명료도와 말 용인도의 판정에 미칠수 있는 여러 조음 변인을 논의하였다. 말 명료도와 말 용인도 간의 상관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으나, 두 변인에 작용하는 조음 변인이 다를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Background & Objectives: It is important to account for the index of communication effectiveness as well as the percentage of correct consonants (PCC) in clinical decision-making when treating patients with articulation-phonological disorders.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correlation among the PCC, speech intelligibility, and speech acceptability of children with cleft palate (CP). Methods: Nine children with cleft palate, nine children with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 and nine children without developmental abnormalities, all three to six years of age and age-matched,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subjects were asked to repeat seven eight-syllable sentences. Each utterance was judged in regard to correct articulation of the target sounds, and a PCC score was calculated for each sentence. After listening to each sentence, 40 naive listeners were asked to rate both the speech intelligibility and speech acceptability of each sentence on a 10㎝ Visual Analog Scale. Results: The PCC scores, speech intelligibilities, and speech acceptabilities of the sentences produced by children with cleft palate were significantly relat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among the PCC score, speech intelligibility, and speech acceptability ratings for lingual consonants and consonants that are generally acquired later during development was detecte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PCC scores and the speech intelligibility ratings, and the PCC scores and the speech acceptability ratings were not significant when analyzed by level of PCC, speech intelligibility, and speech acceptability. Discussion & Conclusion: Although speech intelligibility and speech acceptability are influenced by PCC score, they are not interchangeable measures. Variables that may underlie the relationships between PCC, speech intelligibility, and speech acceptability was discussed.

      • KCI등재

        구개열 아동과 일반 아동 및 기능적 조음장애 아동의 자음정확도, 말 명료도 및 말 용인도 비교

        한진순(Jin Soon Han),심현섭(Hyun Sub S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3 No.3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구 개열 아동이 기질적 문제가 없는 기능적 조음장애 아동과 정상 조음발달을 보이는 일반 아동에 비 해 자음정확도, 말 명료도 및 말 용인도에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연령을 일치시킨 구개열 아동, 기능적 조음장애 아동, 일반 아동 각각 9명씩에게 8음절 문장 7개를 따라말하게 하여 녹음한 후 전체문장 및 문장 유형별 자음정확도를 산출하였다. 이후 평정명료도 및 평정용인도 측정용 청취자료를 무선화하여 제작한 뒤 40명의 일반인 청취자로 하여금 시각적 아날로그 척도를 이용하여 평정명료도와 평정용인도를 판정하게 하였다. 이후 산출된 자음정확도, 말 명료도 및 말 용인도에서 세 집단의 차이가 유의한지 검증하였다. 결과: 전반적으로 구개열 아 동 집단이 일반 아동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자음정확도, 말 명료도 및 말 용인도를 보였으나, 구개열 아동과 기능적 조음장애 아동 집단 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일부 유형의 문장 에서는 다른 경향성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논의 및 결론: 조음수행 정도에서 크게 다르지 않은 아 동 집단들은 말 명료도와 말 용인도에서도 비슷한 평가를 받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목 표자음에 따라 자음정확도가 낮아도 말 명료도는 높을 수 있으며, 자음정확도가 제한되므로 말 용 인도는 자음정확도보다 더 낮게 평가될 수 있다. Background & Objectives: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Percentage of Correct Consonants (PCC) derived from the speech of the children with cleft palate (CP) have effects on the speech intelligibility and on the speech acceptability. For this, the present study compared the PCC, the speech intelligibility, and the speech acceptability of the CP children with those of the children with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 and the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Methods: Three to six year olds age-matched 9 children with cleft palate, 9 children with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 and 9 normal developing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speakers. All subjects were asked to repeat seven 8-syllable sentences. The judgment of the correct articulation of the target sound was made and then the PCC was calculated for each sentence. After listening each sentence, 40 naive listeners were asked to rate both speech intelligibility and speech acceptability of each sentence on the 10 cm line of Visual Analog Scale. Results: The PCC, speech intelligibility, and speech acceptability of the sentences in cleft palate children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normal children in general. Discussion & Conclusion: Even though the speech intelligibility and speech acceptability are influenced by the PCC, they are not the same measures.

      • KCI등재

        구개열 아동, 기능적 조음장애 아동 및 일반 아동의 일음절 낱말 자음정확도, 말 명료도 및 말 용인도 비교

        한진순(Jin Soon Ha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5 No.3

        배경 및 목적: 구개열 화자의 임상에서 말소리 산출 특성뿐만 아니라 그 특성이 말 명료도나 말 용인도 등 의사소통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구개열 아동이 산출한 일음절 낱말의 자음정확도, 전사 말 명료도 및 평정 말 용인도가 기질적 문제가 없는 기능적 조음장애 아동과 정상 조음발달을 보이는 일반 아동에 비해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었다. 방법: 구개열 아동 9명과 연령을 일치시킨 기능적 조음장애 아동 및 일반 아동 각 9명에게 15개의 CVC 일음절 낱말을 산출하게 하여 낱말 초성 자음정확도를 산출하였다. 이후 각 집단별로 일음절 낱말을 무선화하여 청취자료를 제작한 뒤 일반인 청취자 40명에게 들려주고 받아 적기 과제를 이용하여 전사 말 명료도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시각적 아날로그 척도를 사용하여 말 용인도를 평정하게 하였다. 이후 초성 전체, 조음위치, 조음방법 및 발성유형 구분에 따라 산출된 자음정확도, 말 명료도 및 말 용인도에서 세 아동 집단 간의 차이가 유의한지 검증하였다. 결과: 전체 자음정확도는 구개열 아동이 기능적 조음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에 비해 낮았고, 기능적 조음장애 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해 낮았다. 그러나 전체 말 명료도는 구개열 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해 낮았으나, 구개열 아동과 기능적 조음장애 아동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세 집단의 전체 말 용인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조음위치, 조음방법, 발성유형에 따라 구분하여 비교하였을 때 집단차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난 자음의 종류 및 집단 대조는 자음정확도, 말 명료도 및 말 용인도에서 다소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일음절 낱말에서도 조음수행 정도에서 크게 다르지 않은 아동들은 말 명료도와 말 용인도에서도 비슷한 평가를 받을 것으로 여겨지나 목표자음의 종류에 따라 자음정확도, 말 명료도 및 말 용인도는 다르게 평가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음정확도, 말 명료도 및 말 용인도 판정에 미칠 수 있는 여러 변인에 대해 논의하였다. 『언어청각장애연구』, 2010;15;397-410. Background & Objectives: Accounting for the index of communication effectiveness as well as the percentage of correct consonants (PCC) in clinical decision-making is important when treating patients with articulation-phonological disorders.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PCC derived from single words in children with cleft palate (CP) effects speech intelligibility and speech acceptability. The present study compared the PCC, the speech intelligibility, and the speech acceptability of CP children with those of children with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 and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Methods: The present study consisted of three age-matched groups of children: nine with CP, nine with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 and nine normal developing children. All subjects were asked to repeat seven 15 one-syllable words. Each word was judged in regard to correct articulation of the initial target sounds, and a PCC score was calculated for each word. After listening to each word, 40 naive listeners were asked to write down the word on a phoneme to phoneme basis and to rate the speech acceptability of each word on a 10-cm Visual Analog Scale. Results: The PCC of the words in children with C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children with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s and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However, the speech intelligibility of the words in children with CP was lower only in comparison to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dditional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with regard to speech acceptability. Comparing the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of variable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target consonant, different tendencies were observed. Discussion & Conclusion: Even though speech intelligibility and speech acceptability are influenced by the PCC, they are not the same measures and represent different variables. Some possible variables which underlie the relationships among PCC, speech intelligibility, and speech acceptability are further discussed.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0;15;397-41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