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산 류병덕 박사의 종교관

        신광철(Shin Kwang-Cheol)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8 한국종교 Vol.44 No.-

        류병덕은 원불교학 뿐만 아니라, 철학, 종교학, 사상사 분야에 현저한 업적을 남긴 바 있다. 류병덕은 ‘유사종교’, ‘신흥종교’, ‘신종교’의 개념을 이론적으로 변별(辨別)하였을 뿐만 아니라, ‘민족종교’와 ‘민중종교’의 개념을 구별(區別)하면서 ‘민족적 민중종교’ 개념을 주창(主唱)함으로써 실천적 방향을 제시하였다. 류병덕의 이러한 시도는 그의 종교관과 밀접한 관련을 지닌 것이었다. 필자는 류병덕의 종교관을 ‘민중종교’와 ‘실학종교’개념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민중종교’는 류병덕의 종교연구의 관점 혹은 태도와 관련하여, ‘실학 종교’는 류병덕 학문의 지향점과 관련하여 중요성을 지닌다. 류병덕은 ‘민중종교’ 개념을 통해서 ‘민족’ 혹은 ‘국가’에 묶이지 않는 창조적 종교의 향배를 읽어냈다. 류병덕은 또한 ‘실학사상’과 ‘실천실학’에 대한 논의를 통해 ‘실학종교’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Ryu Byeong-deok achieved remarkable accomplishments in the fields of philosophy, religious studies and history of thought as well as Won-Buddhism. He made theoretical distinctions between concepts such as ‘quasi religion,’ ‘newly-arising religion,’ and ‘new religion,’ and separated the concepts of a ‘national religion (minjok chonggyo)’ and a ‘general people’s religion (minjung chonggyo).’ He argued for the concept of a ‘national general-people’s religion (minjok minjung chonggyo)’ and suggested how it might be put into practice. Such undertakings were closely related closely with his views on religions. This paper analyzed his views on religions focusing on the concepts of ‘general-people’s religion,’ and the ‘religion of Practical Learning (silhak chonggyo).’ The ‘religion of general people’ has an importance in relation with Ryu Byeong-deok’s perspective or attitude on his religious study, and the ‘religion of Practical Learning’ in relation with the orientation of his studies. He uncovered the meaning, significance or essence of a creative religion that is not bound to any particular nation or country through the concept of the general people’s religion. Furthermore, he, through discussions on the thinking behind Practical Learning and the Practical Learning of practice (silch’ŏn silhak), suggested an orientation of a religion of Practical Learning.

      • KCI등재

        여산학(如山學)의 연구 방향

        양은용(Yang Eun-Yong)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8 한국종교 Vol.44 No.-

        본고는 여산학이라는 이름으로 여산 류병덕 박사의 생애와 연구업적을 살펴 본 것이다. 여산은 원불교 교역자로 일생을 원광대학교에서 봉직하면서 교역자 육성을 담당하고, 원불교학 연구의 기틀을 연 인물의 한 분이다. 여산은 1967년 종교문제연구소를 개설하여 초대소장을 맡으면서 신종교현상의 조사연구에 착수하였다. 이는 한국 종교학연구에 있어서 현장 조사연구라는 하나의 이정표를 제공하는 일이었다. 또한 한일불교학학술회의 개최, 『원불교사전』 편집 발간 등 괄목할만한 활동과 연구 성과를 쌓았다. 이후 여산의 영향은 원광대학교를 중심으로 원불교학․종교학․한국학 등 여러 분야에 미친다. 따라서 그에 관한 연구는 여산학으로서 체계적인 전개가 요청되며, 그에 따라 여산의 연구업적에 대한 해명과 함께, 관련 학문분야에도 새로운 연구의 장을 제공할 것이다. This paper investigated Yeosan Ryu Byeong-deok’s life and his research achievements in terms of Yeosan Studies. He, as a Won-Buddhist minister, served at Wonkwang University for his entire life, taking charge of educating Won-Buddhist preliminary ministers, and he was one of the persons who founded the basis of Won-Buddhist studies. He established the Research Center of Religions in 1967, and served as the first director. He started to investigate and conduct research on the circumstances surrounding new religions. His research activities were key to the important development of on-the-spot survey and general research into religious studies in Korea. He also demonstrated outstanding abilities in his work and achieved many research accomplishments such as holding academic conferences on Korean and Japanese Buddhist studies and compiling and publishing The Glossary of Won-Buddhism. Later, Yeosan’s influence reached various fields such as Won-Buddhist studies, religions studies and Korean studies around Wonkwang University. Accordingly, research about him is required as part of the systematic development of Yeosan studies, and as interpretations about his research accomplishments proceed, new but related research fields will arise.

      • KCI등재

        여산 류병덕의 `평화통일사상` 계승

        박지영(朴智映)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8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8 No.-

        본 논문은 류병덕 박사의 논고 「한국 민중종교의 평화통일사상」에 담긴 ‘평화통일사상’을 계승하여 오늘날 ‘한반도 평화’를 위한 해법을 원불교사상에서 찾아 본 것이다. 류병덕은 원불교사상, 한국 전통종교사상, 한국사상사에 걸친 방대한 학문세계를 구축한 원불교학계의 선학(先學)으로서, 올해 10주기를 맞았다. 그의 ‘평화통일사상’이 집약된 만년의 논고 「한국 민중종교의 평화통일사상」을 재조명함으로써 선학의 학문적 업적을 기리고, 오늘날 ‘한반도 평화’에 종교가 기여할 역할이 무엇인지 모색해 보았다. 「한국 민중종교의 평화통일사상」에는 한민족 정체성 회복을 위해 ‘5대 민중종교’ 사상을 더듬어보아야 한다는 주장이 담겨 있다. 그는 민중종교 사상을 통해 남북 양측 공감대를 형성하고, 평화통일의 정신문화를 창조할 수 있다고 확신하였다. 논자는 최근 통일 담론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시기에 맞추어 류병덕의 이러한 논지를 재조명해 보았다. 첫째, 한국 전통종교사상으로서 ‘동학’에 주목한 이병한의 발언과 북한이 한국 토착사상인 ‘동학’에 공산주의 평등사상의 근간을 두고 있음에 주목하였다. 둘째, ‘장마당’ 형성 등 북한 경제 구조 변화 주역이 체제나 제도가 아닌 북한 인민 즉, ‘민중’이라는 연구와 민중의 힘을 통해 혼란한 사회를 극복하고자 했던 ‘민중종교’에 주목한 류병덕의 ‘평화통일사상’ 사이의 접점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러한 류병덕의 「한국 민중종교의 평화통일사상」이 나오기까지 류병덕 학문의 궤적을 되짚어 ‘평화통일사상’ 형성 배경에 ‘소태산의 국가관’과 ‘한국 전통종교사상’, 두 가지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류병덕의 ‘평화통일사상’을 계승하여 오늘날 한반도 평화통일 문제에 대응할 원불교의 역할을 모색해 보았다. 먼저 오늘날 한반도 상황과 그동안 논의되었던 남북통일 방안을 검토하고, 백낙청의 ‘한반도식 통일과정’에 주목해 이를 소개하였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한반도 평화를 위한 해법으로 원불교사상 중 ‘강자·약자의 진화상 요법’을 제시하였다. ‘강자·약자의 진화상 요법’이 현실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원불교사상인 ‘일원철학’이 해당 공동체 전체에 폭넓게 공감될 수 있도록 원불교사상에 대한 ‘해석학’이 심화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남북 협력 시 남과 북의 강점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분석하는 작업이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진정한 강점으로 선도되고 진화해 나갈 것임을 제언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idea of peaceful unification’ in Dr. Ryu Byeongdeok"s treatise 「The Idea of Peaceful Unification in Korean Folk Religion」 and finds a solution in Won-Buddhist thought for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today. Ryu Byeong-deok was a Won-Buddhist scholar who built a vast academic system spanning Won-Buddhist philosophy, the philosophy of Korean traditional religions, and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This year marks the tenth anniversary of his death. By revisiting the idea of Korea’s peaceful unification in 「The Idea of Peaceful Unification in Korean Folk Religion」, this paper commemorates his academic contributions and explores how religion can contribute to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today. 「The Idea of Peaceful Unification in Korean Folk Religion」 argues that to reclaim Korean identity we need to retrace the philosophies of ‘the five major folk religions’. Ryu was convinced that the philosophies behind folk religions would enable the two Koreas to form a consensus and create a spiritual culture of peaceful unification. In line with the recent discussions surrounding unification, the author sheds new light on Ryu"s thesis. First, this paper focuses on Lee Byeong-han"s discussion of ‘Donghak’ as Korea’s traditional religious philosophy and on the fact that North Korea"s communist egalitarianism finds its roots in that same indigenous philosophy. Second, this paper tries to find links between studies claiming that the main agents of change in North Korea"s general economic structure, and particularly in the emergence of ‘jangmadang’ (market grounds), are the North Korean ‘people’ themselves, rather than their regime or system, and Ryu"s ‘idea of peaceful unification’ found in ‘folk religion’. Moreover, by tracing Ryu"s academic career, culminating in his「 The Idea of Peaceful Unification in Korean Folk Religion」, this paper confirms that the idea of peaceful unification emerges from two sources: ‘Sotaesan’s (Pak Chung-bin’s) idea of the state’ and ‘Korea’s traditional religious philosophy‘. Last, expanding upon Ryu"s ‘idea of peaceful unification’, the paper explores how Won-Buddhism can contribute to the peaceful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oday. After reviewing the current situation on the peninsula and the various measures that have been offered for reunification, it introduces Paik Nak-Chung "s ‘idea of a uniquely Korean unification process’. In this context, the Won-Buddhist theory of ‘The Essential Dharmas Regarding How the Strong and the Weak May Evolve’ is presented as a solution for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In order to apply this theory to reality, a deepening of hermeneutics in Won-Buddhist thought is necessary, so that ‘Il-Won (One Circle) philosophy’ can be acknowledged as a philosophy for all human beings. The paper also suggests that a careful analysis of the strengths of both Koreas is necessary if they are to be led by and progress toward true strength in their cooperation.

      • KCI등재

        여산 류병덕의 학문 세계와 불교관

        김방룡(Kim Bang-Ryong)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8 한국종교 Vol.44 No.-

        여산 류병덕(1930~2007)은 원불교의 성직자이자 종교학자로서 원불교학의 학문적 체계를 정립한 대표적인 학자이다. 소태산 박중빈(1891~1943)에 의하여 1916년에 창교된 불법연구회는 불법의 시대화·대중화·생활화를 표방하였다. 불법연구회는 해방이후 원불교로 교명을 바꾸면서 대표적인 민족종교로 성장하였다. 류병덕은 소태산의 사상을 ‘일원철학’으로 명명하고, 원불교학을 하나의 학문적인 체계로 확립하기 위한 진지하고도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다. 그 핵심은 소태산이 대각한 ‘일원상 진리’에 대한 철학적·종교학적 분석과 더불어 원불교학의 토대가 되는 관련 학문에 대한 연구라 할 수 있다. 원불교학을 정초하기 위하여 (동양)종교학, 신종교학, 불교학 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이에 대한 다양한 연구 성과물을 내놓았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류병덕의 학문세계와 함께 그의 불교관에 대해 조명하였다. 원불교학을 정초한 류병덕의 학문세계에 대한 조명은 원불교학을 연구하는 후속 연구자들에게 반드시 필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원불교와 불교와의 관계에 대한 해석의 문제는 현재까지도 교단 내부의 입장이 분명하게 정립되지 않은 문제여서 류병덕의 불교관은 원불교와 원불교학을 이해하고 해석하는데 중요한 단초를 준다고 할 수 있다. Yeosan Ryu Byeong-deok (1930~2007) is a representative scholar who founded an academic system of Won-Buddhism as a Won-Buddhist clergyman and a religious scholar.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Buddhadharma established in 1916 by Sotaesan Park Jung-bin (1891~1943) had claimed to teach and relay buddhadharmas in a manner that was suitable and appropriate for that time, the prevailing lifestyle, and the public at large. After liberation, the Society changed its name to Won-Buddhism and grew into a representative national religion. Ryu Byung-deok called Sotaesan"s ideas Il-Won philosophy and made serious and diverse efforts to establish Won-Buddhist studies as an academic system. The key efforts were related to research into relevant studies that serve as the foundation of Won-Buddhist Studies and to perform philosophical and religious analyses on ‘the truth of Il-Won-Sang’ which Sotaesan had realized. Yeosan suggested the need for research on (Eastern) religious studies, new religious studies, and Buddhist studies etc. and presented a variety of research achievements in those fields to establish Won-Buddhist Studies. In this paper, the writer investigated the academic world of Ryu Byeong-deok as well as his view on Buddhism. It is necessary for future researchers who research Won-Buddhist Studies to investigate Yeosan’s academic world which facilitated the beginning of Won-Buddhist Studies. Ryu Byeong-deok"s view on Buddhism gives an important clue to understanding and interpreting Won-Buddhism and Won-Buddhist Studies because the problem of interpretation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on-Buddhism and Buddhism has not been clearly resolved within the Won-Buddhist order until now.

      • KCI등재

        여산 류병덕의 남북 통일과 평화 철학

        원영상(Won Yong-Sang)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8 한국종교 Vol.44 No.-

        본 논문은 한반도 통일을 위한 류병덕의 평화철학 사상을 규명한 것이다. 원불교학은 물론 한국의 종교학을 구축하고, 나아가 철학계, 종교계, 문화계 등에서 폭넓게 활동한 그의 삶은 행동하는 지성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무엇보다도 원불교사상의 핵심인 일원철학(一圓哲學)을 구축하고자 했다. 원불교야말로 모든 사상을 원융회통시키고, 민족의 근원적인 종교성을 밝히는 동시에 동아시아의 전통적인 유불선 사상을 계승한 개혁불교임을 밝혔다. 평화철학은 이러한 일원철학과도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 류병덕은 동학, 정역, 증산교, 대종교, 원불교를 근대 민중철학의 5대맥으로 보고, 한국철학의 한 분야로 위치 지었다. 또한 이를 한반도의 평화를 확립하는 핵심철학으로 삼았다. 그 이유로는 무엇보다도 이들 민중종교는 외세에 의존하려는 사대성이 없었다는 점, 따라서 자주적인 통일을 이끌어 줄 사상으로 보았다. 한 마디로 민족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남북 공통의 민중의 심성에 기반한 통일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통일국가의 면모는 이러한 자주성에 바탕한 중립 국가가 되어야 할 것이라고 한다. 류병덕은 이들 5대민중종교의 공통점을 네 가지로 든다. 첫째는 후천개벽의 역사의식, 둘째는 민중종교로서 출발했다는 점, 셋째는 한민족 고유의 사상이 깔려 있다는 점, 넷째는 국가팽창주의이거나 폐쇄된 민족주의가 아니라는 점이다. 그리고 이 5대맥이 남북평화통일의 기조가 되는 이유에 대해서는 분단 이전에 이미 자주적으로 민중들을 깨우쳤다는 점, 교조들 스스로 자각된 힘으로 대도와 진리를 깨치고 세상을 향해 외쳤다는 점, 억눌린 민중 세계에서 새로운 도덕과 질서를 확립하고자 했다는 점, 봉건전제체제의 왕권에 항거했다는 점, 외세를 막아 내고자 하는 주체적 힘을 보여주었다는 점, 민심을 수습하며 개혁의 용단력을 보여주었다는 점을 들고 있다. 류병덕은 한반도 통일은 이처럼 민중의 역사에서 그 해법을 찾아야 한다고 보았다. 총체적으로 보았을 때, 이들 5대민중종교가 공통으로 지니고 있는 동양의 양보와 조화의 생명의 변증법은 생성의 논리와 생명의 변증법으로 나아갈 수 있으며, 이러한 사상에 기반 했을 때 새로운 평화통일의 길이 열릴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KCI등재

        여산 류병덕의 ‘원불교 실학론’

        조성환(Jo Sung-Hwan)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8 한국종교 Vol.44 No.-

        지금까지 ‘실학’ 개념은 주로 서구 근대적인 실용성이나 실증성과의 관련속에서 이해되어 왔고, 실학자의 범위도 조선후기 유학자들로 한정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근대적인 의미의 ‘실학’ 개념은 조선후기 사상가들의 것이라기보다는 후쿠자와 유키치(1835~1901)의 ‘과학으로서의 실학’ 개념을 암암리에 차용하여 조선후기사상사 서술에 적용한 것에 불과하다. 이에 반해 류병덕은 1930년대의 정산 송규의 ‘실천 실학’ 개념을 단서로, 조선후기의 실학을 ‘이론실학’으로 규정하고, 구한말의 안창호나 백용성 그리고 원불교를 이론실학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 ‘실천실학’이라고 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의미의 실학, 즉 실천학으로서의 실학 개념이야말로 사실은 조선후기 사상가들이 말하는 ‘실학’ 개념이었다. 그런 의미에서 류병덕의 실학 개념은 원래의 실학 개념으로 되돌아가도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조선후기사상가들은 어디까지나 도덕실천이라는 유학의 본질을 유지하면서 제도개혁을 주장하였는데, 그런 점에서는 원불교에서 말하는 “도학과 과학의 병진”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류병덕의 ‘원불교실학론’은 기존의 ‘실학자=유학자’라는 편협한 도식에서 벗어나서 ‘실학’의 층위와 범위를 기존과는 다른 방식으로 세분화하고 다양화해야 할 필요성을 촉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concept of Practical Learning (silhak) in the history of Korean thought has been mainly dealt with reference to Western modernity, and its scope has been limited to Korean Confucianism in the late Choson Dynasty. This concept of Practical Learning as a modern science might have come from Hukuzawa Yukichi (1835~1901) in Japan rather than Korean Confucianism in the late Choson Dynasty. Song Gyu, the second leader of Won-Buddhism in the 1930s, suggested that Won-Buddhism is a Practical Learning of action, that is, Practical Learning as a moral practice. Ryu Beong-deok in the 1990s, developed Song Gyu’s suggestion. and argued that Practical Learning in the late Choson Dynasty is a theoretical Practical Learning. In fact, the concept of Practical Learning in the late Choson Dynasty is the same as Song and Ryu’s concept of Practical Learning. Confucianists in the late Choson Dynasty pursued political reform based on moral practice. This is similar to the theory of the pursuit of both Dao Learning and science in Won-Buddhism. The Theory of Practical Learning in Won-Buddhism by Ryu Byeong-deok suggests that we should extend the scope and range of Practical Learning in the history of Korean thought.

      • KCI등재

        한국 사회의 평화 구축과 종교 역할

        박광수(Park Kwang-Soo)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8 한국종교 Vol.44 No.-

        현대사회는 다양한 민족과 문화, 그리고 종교가 공존하는 사회이다. 르네상스 이후 서구의 근대화 과정과 19-20세기에 걸쳐 서구 중심의 근대 산업화 및 세계의 식민지 건설과정에서 다양한 문명의 대립과 충돌, 안전에 대한 위협과 갈등현상이 세계 곳곳에서 일어났다. 세계 2차 대전이 1945년 막을 내린지 70년 이상의 세월이 지났다. 이는 곧 한반도 분단의 역사이기도 하다. 동북아시아 삼국은 종전 이후 정치적 혼란과 경제적 위기 상황을 극복하고 국가 경쟁력을 국제사회에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데 성공하였다. 한중일 삼국은 경제적 교류의 확대와 협력을 추구하면서도, 중국뿐만 아니라, 일본과 미국, 그리고 남북한 군사력의 경쟁적 증강은 이웃 국가 간의 상호 신뢰가 확고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현대의 경제적 신자유주의 시대에 동북아시아의 평화공동체 건설은 가능한 일인가? 한국, 중국, 일본 모두에게 주어진 과제는 건강한 공동체 의식을 확보해 동북아시아의 평화공동체를 이루는 것이다. 격변하는 시대적 혼란기에 형성된 한국 민중종교의 개벽사상과 평등사상을 토대로 한 구세이념은 새로운 사회를 갈망하고 대다수 민초들의 희망을 대변하며 당시의 시대인식과 세계인식, 사회변화인식과 윤리의식, 가치관과 민족관 등을 응축하고 있다. 이러한 평화의 문명사회를 구현하고자 한 새로운 종교운동인 원불교에서 찾아볼 수 있다. 원불교를 창시한 소태산 박중빈(少太山 朴重彬, 1891-1943) 대종사를 비롯하여 정산 송규의 삼동윤리(三同倫理), 대산 김대거의 UR(United Religions)운동, 여산 류병덕의 평화통일사상 등에서 평화의 철학과 실천운동은 현 시대에 매우 중요한 비전과 실천을 담고 있다. 이 글에서는 세계화 과정에서 나타난 남북의 분단과 동서의 차별 시대, 배타적 근본주의 시대, 약육강식의 패권주의 시대를 넘어서야 하는 문명전환이 요청되는 시점에서, ①평화공동체를 위한 세계보편적 공공(公共)윤리 실천, ②탈종교시대의 열린 종교에 대한 논의를 중점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In modern societies various nations, cultures, and religions live together. In the course of Western modernization since the Renaissance, and in the course of modern industrialization and the world-wide colonialism of the West through the 19th and 20th century, various opposing forces within and collisions among civilizations, as well as threats to safety and conflicts have occurred all over the world. Since World War Ⅱ ended in 1945, over 70 years have passed. It is also the history of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r. The three nations of Northeast Asia – Korea, Japan and China – overcame the situation of political confusion and economic crisis after the end of the war and succeeded in stably securing national competitiveness in international society. While they pursued economic interchange and cooperation, Japan and the USA, and South and North Korea increased their military power in a competitive manner alongside China. It is proof that mutual confidence among neighboring nations was not established firmly. In the modern age of economic neo-liberalism, is it possible to build a community of peace in the Northeast Asia? The common task assigned to Korea, China and Japan is to recover a spirit of healthy community and achieve a community of peace in Northeast Asia. The ideology of saving the world that was formed in the chaotic time-period of rapid changes, based on the thoughts of the Great Opening (kaebyŏk) and the concept of equality embraced by ‘religions of the general people (minjung),’ seeks to establish a new society and represents the hopes of most people. It embraces an awareness of the times, world and social changes, and a sense of ethics, values, and provides a perspective on the nation at that time of upheaval and rapid change. It can be found in Won-Buddhism which was a new religious movement that strived to realize a peaceful civilization among societies. The philosophy of peace and it’s practice movements such as the Ethics of Threefold Unity of Jeongsan Song Gyu, the UR movement of Daesan Kim Dae-geo, the thought of peaceful reunification and the practice movement of Yeonsan Ryu Byeong-deok as well as the thought of the Founding Master of Won-Buddhism, Sotaesan Park Jung-bin, contain very important notions and practical activities that are relevant in this age.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suggest 1) the practice of ‘common public ethics’ that are universal and needed for the establishment of a peaceful community, and 2) engage in discussion about the open or inclusive religions in a post-religion era, at this time when a cultural transformation is required in which we should go beyond the age of the divis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prejudices and biases that still hold in relations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the age of exclusive fundamentalism, and the age of hegemony of the law of the jungle which occurred in the course of globa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